View : 10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수진-
dc.contributor.author오세라-
dc.creator오세라-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16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16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5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52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90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overprotection, social anxiety, internalized shame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The study participants(302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rawn from Seoul of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s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22.0 and MPlus 7.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maternal overprotec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anxiety, internalized sham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were all positive significant. Next,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overprotec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ocial anxiety, all paths except the direct path of the maternal overprotection to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were significant. Finally, there was a major mediating effect from the maternal overprotection to social anxiety through internalized sham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ual mediated effects that went through internalized shame and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equentially and into social anxiety.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maternal overprotec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directly affected social anxiety and also affected through formation of internalized shame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The maternal overprotection based on affection is becoming a common social phenomenon in Korea due to the high zeal for education and competition to enter schools. Adolescence is a time of conflict between separation and dependence from parents, and of forming one's own self-identity. During this time, the mother's maternal overprotection of her children causes social anxiety-related psychological problems for middle school children, and negatively affects social functions due to the reduced level of independent function. Moreover, in adolescence, the ability to recognize subjective discomfort or social contexts develops, so experiencing social anxie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creases dramatically compared to childhood. Therefore, social anxiety in adolescence is all the more important because it can become chronic until adulthood by directly affecting adolescents' psychological and social func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middle school students in adolescence have confirmed that the mother's maternal overprotec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s social anxiety.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internalized shame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in relation to the mother's maternal overprotec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ocial anxiety was identified. Therefore, the need for family counseling programs and work to enhance an individual's emotional control capacity should be contribute to properly cope with social anxiety that may occur during adolescence. It is meaningful that by identifying the two emotional factors that were studied individually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anxiety, it will help come up with effective therapeutic measures in the emotional treatment of social anxiety consequently.;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사회불안을 예측하는지, 이 관계를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중학교 302명의 학생을 선정하여 자기보고식 오프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표집한 자료를 기반으로 변인의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각 변인 간의 구조적 모형을 확인하고,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진행한 결과,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사회불안,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조절곤란 간 정적 상관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독립표본 t검정 결과, 모든 측정 변인에서 성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에서 정서조절곤란으로 향하는 직접 경로를 제외한 다른 경로는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조절곤란을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주는 지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진행하였다. 부트스트래핑 결과,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을 거쳐 사회불안으로 가는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할 뿐 아니라,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조절곤란을 순차적으로 거쳐 사회불안으로 가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는 사회불안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는 내면화된 수치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렇게 형성된 내면화된 수치심은 정서조절을 더욱 곤란하게 하여 높은 사회불안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로를 통해 사회불안의 심리적 발생 과정으로 환경적 요인의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정서적 요인으로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조절 곤란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청소년의 사회불안 발생 과정과 원인에 있어 구체적인 기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사회불안은 청소년기에 발병할 가능성이 높고, 증상이 만성화되어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는 특징으로 조기 예방과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기에 발발 가능한 사회불안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 가족상담프로그램과 개인의 정서조절역량을 높이는 작업이 병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사회불안의 발생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연구되던 두 정서적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사회불안의 정서적 치료에 있어 효과적인 치료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8 A. 사회불안 8 B. 과보호적 양육태도 10 1. 과보호적 양육태도 10 2.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 12 C. 내면화된 수치심 14 1. 내면화된 수치심 14 2.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 17 3. 내면화된 수치심과 과보호적 양육태도 18 D. 정서조절곤란 20 1. 정서조절곤란 20 2. 정서조절곤란과 사회불안 21 3. 정서조절곤란과 과보호적 양육태도 23 4. 정서조절곤란과 내면화된 수치심 24 Ⅲ. 연구 방법 26 A. 연구 대상 26 B. 측정 도구 27 1. 사회불안 27 2.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28 3. 내면화된 수치심 29 4. 정서조절곤란 29 C. 연구 절차 30 D. 자료 분석 31 Ⅳ. 연구 결과 32 A. 주요 변인의 기술 통계치 32 1. 주요 변인의 기술 통계 및 차이 검정 32 2.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 34 B. 사회불안,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조절곤란의 관계 37 1. 측정 모형의 검정 37 2. 구조 모형의 검정 39 3. 구조 모형의 분석 40 4.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검정 42 Ⅴ. 결론 및 제언 43 A. 요약 및 논의 43 1. 주요 변인들의 비교 및 상관 분석 43 2. 사회불안,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조절곤란의 구조적 관계 45 3.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48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50 참고문헌 53 부록 68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36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and Social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dc.creator.othernameOh, Sera-
dc.format.pagev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