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원-
dc.contributor.author이지선-
dc.creator이지선-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14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14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5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53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887-
dc.description.abstract개방적 탐구에서는 과학자들이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며 과학적 지식을 창출하는 일련의 과정을 학생들이 경험하도록 한다. 이때 과학자들이 연구 과정에서 다른 과학자들과 상호작용하며 비판하거나 대안적 해석을 받아들이듯 학생들도 서로의 과제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논의하는 의사소통 과정을 경험해야 한다. 과학자들이 수행하는 실질적 과학 탐구(authentic scientific inquiry)를 실제 교실 수업에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전반적인 탐구 과정에서 동료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탐구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성하는 과정을 경험해야 한다. 과학 탐구에서 의사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동료평가 활동이 활용되고 있다. 동료평가란 학습자를 평가 활동에 직접적으로 참여시켜 평가를 학습의 일부분으로 통합한 형태의 활동으로, 동료가 수행한 과제에 등급을 정하거나 피드백을 제공하는 등의 활동을 의미한다. 동료평가 활동을 통해 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받으면 자신의 과제에 대해 반성적으로 사고할 수 있으며, 다른 동료의 과제를 평가하고 비판하는 과정을 통해 논의의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과제 연구 수업의 개방적 탐구 과정에서 학생들의 논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료평가 활동을 총 세 차례 수행하여 피드백을 제공하고, 각 활동에서 나타나는 피드백과 논의의 특징 및 그 관계를 살펴보아 동료평가 활동이 논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피드백 내용이나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논의의 특징을 살펴보아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동료 피드백 활동에서 제시된 피드백은 조별 논의 진행에 기반이 되었으며 특히 동료 피드백 활동을 세 차례 진행한 것이 피드백 및 논의에 질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동료 피드백을 반복하며 학생들은 점차 거시적인 관점에서 동료의 연구를 평가했으며, 동료의 피드백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 비판적인 자세로 수용하였다. 둘째, 동료 피드백 활동에서의 피드백과 논의과정은 동료 피드백 활동이 진행된 시기와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깊은 연관이 있었다. 동료 피드백1에서는 연구 보고서상의 문맥이나 오타, 단어 등을 지적하는 피드백(CRF1)과 실험의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질문이 등장하였다. 이후 조별 논의과정에서는 주로 피드백의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논의가 이어졌다. 동료 피드백2는 실험의 진행 과정이나 실험 내용을 묻거나 실험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피드백, 특히 실험의 변인통제와 관련된 피드백이 다수 제시되었다. 이후 조별 논의에서는 동료로부터 받은 피드백에 대한 내용을 논의과정 내에 가장 활발히 공유하였으며, 피드백을 바탕으로 실험을 수정하는 과정이 이어졌다. 동료 피드백3은 조별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이 도출된 상태에서 수행되었으며 따라서 피드백과 논의과정 요소의 개수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조별 논의에서도 주로 객관적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내용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셋째, 피드백과 이후 이어진 조별 논의과정의 관계를 살펴보면 제안적 성격의 피드백이 오류를 지적하는 교정적 성격의 피드백보다 더 활발한 논의로 이어졌으며 그 논의의 타당도 또한 더 높았다. 특히 잠재적인 오류에 대해 언급하거나 생각을 유발하는(thought-provoking) 질문이 피드백이 이후 논의로 연결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논의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났을 뿐만 아니라 연구에 그 내용이 확장되어 반영되는 경우의 비율도 가장 높았다. 또한 피드백이 연구에 실제 반영되는지 여부는 어떤 유형의 피드백이 제시되었는지, 피드백의 수준이 어떠한지, 혹은 논의의 타당도가 어떠한지와 관계없이 그 내용이 논의 속에서 얼마나 활발히 다루어졌는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방적 과학탐구의 맥락에서 동료평가 활동을 개방적 탐구 수행의 시기별로 투입하여 그 효과를 파악했다는 데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특히 세 차례의 활동별로 피드백과 논의의 특징을 살펴보고 피드백에 따라 논의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추후 동료평가를 활용하는 수업에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참고하여 전략을 수립할 것을 제안한다.;Research Project class allows students the experience of scientific research. In this class, students selected a specific scientific subject through discussion, then conducted experiments and wrote reports. As scientists interact with other scientists and accept criticism in the research process, students should also interact and discuss with peers. In this study, students provided feedback to each other by conducting peer assessment activities. Doing this three times as a way to encourage and stimulate communication and argumentation in high school research project clas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eedback and discussion in three peer feedback activities to see how peer feedback affects students’ argumentation. 13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second yea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selected scientific subjects and conducted research. In the process of research, peer feedback activities were carried out. Students made the research plan after conducting preliminary experiments, and after drawing research result and making conclusions. Peer feedback activities were conducted as follows: each student read a peer’s research report and gave feedback as well as a question and answer peri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peer feedback activities, dialogic argumentation components appeared at a higher rate than explanatory argumentation components. It means that students interacted with each other during the argumentation process. Also conducting peer feedback activities for three tim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providing the feedback. Second, the type and level of feedback were different according to peer feedback activities. Feedback and argumentation were not independent but linked to each other. Third, suggestive feedbacks lead to higher level of argumentation and more frequent argumentation than corrective feedback. It means that students interacted more actively with suggestive feedback rather than corrective feedback.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eer feedback in students’ argumentation in science inquiry.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feedback and argumentation for each of the three activities. This result might prove helpful to establish a strategy for peer feedback activities in future science inquiry clas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5 II. 이론적 배경 7 A. 과학탐구에서의 논의 활동 7 1. 과학탐구 과정에서 논의 활동의 중요성 8 2. 과학탐구 맥락에서 논의에 관한 연구 12 3. 과학탐구 맥락에서 논의요소 분석 13 4. 과학탐구 맥락에서 논의 수준 분석 17 5. 논의 활성화를 위한 동료평가 활동 19 B. 학습 방법으로써의 동료평가 21 1. 동료평가의 정의 21 2. 수업에서 동료평가의 활용과 그 효과 21 3. 동료평가의 수행 절차 23 4. 동료 피드백의 유형과 수준 25 C. 과학 탐구에서의 동료평가 30 1. 과학 글쓰기와 관련된 동료평가 연구 30 2. 과학 탐구 수행과 관련된 동료평가 연구 32 D. 동료평가의 한계 및 보완 33 1. 동료평가의 한계 33 2. 동료평가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 35 III. 연구 방법 38 A. 연구 대상 39 1. 연구 참여자 39 2. 조별 연구 주제 및 연구 내용 40 B. 수업의 구성 및 동료 피드백 활동 43 1. 과학과제 연구 수업 43 2. 과학과제 연구 수업의 구성 43 3. 동료 피드백 활동의 구성 47 C. 자료 수집 51 D. 자료 분석 53 1. 피드백 유형 및 수준 분석 54 2. 논의과정 요소 및 수준 분석 58 IV. 결과 및 논의 66 A. 동료 피드백 활동별 피드백 및 논의의 특징 66 1. 동료 피드백1: 연구 계획 및 방향의 수정 71 2. 동료 피드백2: 실험의 타당도 및 신뢰도 점검 89 3. 동료 피드백3: 연구 보고서의 보완 105 B. 피드백에 따른 논의과정 특징 111 1. 피드백 유형에 따른 논의과정 특징 113 2. 피드백 수준에 따른 논의과정의 특징 119 3. 피드백 반영도 122 V. 결론 및 제언 126 참고문헌 132 부록 140 Abstract 1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87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고등학교 개방적 탐구 수업의 동료 피드백 활동에서 나타나는 피드백과 논의의 특징-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haracteristics of Peer Feedback and Argument Observed from a High School Research Class-
dc.creator.othernameLee, Jisun-
dc.format.pagevii, 14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