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원-
dc.contributor.author유지현-
dc.creator유지현-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13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13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0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09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886-
dc.description.abstract자기효능감은 그 개념이 도입된 이후로 효능감에 관한 여러 연구에서 성취와 관련된 중요한 요인임이 검증되었다. 연구자들의 연구 성취와 관련하여서도 효능감과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연구 효능감은 연구의 생산성의 중요한 예측자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효능감은 일반적 효능감과 특수한 상황에 대한 효능감으로 구분할 수 있다. Bandura(1989)는 특정 상황에 따라 상황-특수적인 자기효능감을 알아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특수한 상황에 대한 효능감은 일반적 자기효능감으로 설명하기에는 예측력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으며 상황에 대하여 구체화 시켜야 한다고 말한다. 이 연구는 과학교육의 연구 과정 중 드러나는 연구 효능감을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과학교육 연구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연구자들에게 어떠한 효능감이 발현되어 연구 과정의 어려움을 극복하게 하였으며 성과를 얻을 수 있었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효능감의 특징도 살펴보았다. 연구는 과학교육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하였으며, 면담 과정에서는 일반적 연구 효능감 측정 도구인 Research Self-Efficacy Scale(RSES; Bieschke, Bishop, & Garcia, 1996; Greely et al., 1989)를 개선하여 만든 설문지로 설문도 진행하였다. 이는 과학교육 연구효능감이 일반적 연구효능감 측정도구인 RSES로 측정하였을 때 어떠한 경향성이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질적 연구를 위한 심층 면담에서는 연구의 개념화, 사전작업, 연구의 실행, 결과 발표를 따라가며 단계마다 연구자가 겪는 어려웠던 경험과 이를 극복하게 된 동기를 물어보았고 필요한 연구자의 역량은 무엇인지 연구자의 생각을 물었다. 이상의 면담 내용을 통해 귀납적으로 과학교육 연구 효능감의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 과학교육 연구 효능감의 특징을 찾기 위하여 RSES(Research Self-Efficacy Scale)를 활용한 설문으로 나타난 과학교육 연구자의 연구 경향성을 활용하였다. 또 과학교육 학자들이 언급한 과학교육 연구의 특성과 최근 과학교육 연구 경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통하여 과학교육 연구 효능감의 특징을 찾았다. 과학교육 연구과정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역량은 크게 전문가역량과 심적 역량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역량을 가지고 있느냐 하는 인지가 연구의 자신감으로 나타났다. 과학교육 연구 효능감은 자신감, 새로운 분야의 도전 효능감, 연구 과정 중 결정 효능감, 학문적 기여 효능감, 자기조절 효능감의 5가지 범주가 발견되었다. 이중 자신감은 연구역량에 대한 자신감, 동료·주변 협력자로 인한 자신감, 연구에 대한 확신으로 나눌 수 있었고 역량에 대한 자신감은 다시 전문가적 역량에 대한 자신감과 심적 역량에 대한 자신감으로 나눌 수 있었다. 전문가적 역량은 연구자가 과학교육 연구를 진행할 때 필요한 연구 전문성과 관련된 역량이고, 심적 역량은 연구자의 정서나 태도, 특성과 관련된 역량이다. 과학교육 연구 효능감의 특징은 첫째, 인문사회학의 연관으로 인하여, 통찰력에 대한 효능감, 연구의 사회적 공감으로 인한 효능감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응용학문적 특성으로 인하여, 최근 연구 경향성에 연결을 통한 연구효능감과 문헌연구 역량으로 인한 연구 효능감, 교육발전을 위한 탐색과 연구효능감을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최근 과학교육 연구 경향과 관련하여, 인적 네트워크로 인한 연구 효능감, 장기연구에 대한 낮은 연구 효능감, 학문간 융합과 통합으로 인한 연구효능감의 특징이 있었다. 이중 학문간 융합과 통합으로 인한 연구효능감의 특징은 연구자의 창의력으로 인한 연구 효능감과 새로운 연구의 도전에 대한 연구효능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연구방법으로 인한 특징은 개념화 단계의 중요성, 추상적인 것의 조작화에 대한 효능감, 복잡한 현상의 의미 도출에 대한 효능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를 연구경력이 많은 그룹과 상대적으로 적은 그룹으로 나누어 연구 효능감의 특징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경력이 많은 그룹은 문헌연구에 대한 효능감과 자신의 연구가치에 대한 사회적 공감으로 인한 효능감이 두드러졌고, 연구의 도전정신은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연구경이 상대적으로 적은 연구자 그룹에서는 연구의 도전의식이 많이 발견되었고, 최근 연구의 경향성에 접목을 통한 연구 효능감을 찾을 수 있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문헌연구에 대한 효능감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문헌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배경지식에 대한 체계적 접근을 제언할 수 있다. 둘째, 과학교육 연구의 협조를 위하여 전문가들의 인적 네트워크가 좀 더 활성화되어야 하고 연구에 활용되어야 한다. 셋째, 장기연구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개념‧ 사고‧ 태도의 형성과 발달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함에도 장기연구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연구환경을 구하는 어려움과 연구비 지원받는 것의 어려움이 있었고 연구효능감이 낮았다. 넷째, 과학교육 연구 효능감 측정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과학교육 연구라는 특수한 상황의 효능감을 알기 위해서는 과학교육 연구의 특징을 반영한 좀더 과학교육다운 문항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은 연구 효능감이라는 개념으로 과학교육 연구자들과 그들의 연구 과정을 살펴본 연구이다. 이 연구는 장차 과학교육 전문가가 되려는 대학원생들에게 선배 연구자들의 연구과정을 배울 수 있는 전략서가 될수 있다. 또 앞으로 과학교육 연구효능감 측정 도구를 개발 하는데 있어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Since its introduction, self-efficacy has proven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achievement in several studies on efficacy.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self-efficacy is involved in the achievement of the researchers. Research efficacy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research productivity. Bandura (1989)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ituations-specific self-efficacy according to a specific situation. Efficacy to a specific situation is generally poor predictability as explained by general self-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researchers in science education. In a special situation called scientific education research, researchers were able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e research process by showing some efficacy.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efficacy. In this study, we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nterviews with science education researchers. In the interview process, the survey was also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that improved Research Self-Efficiency Scale(RSES; Bieschke, Bishop,& Garcia, 1996; Grey et al.,1989), a tool for measuring general research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efficacy when measured by RSES, a tool for measuring general research efficacy. Through the interview, the factors and categories of scientific education research efficacy were derived inductively. The in-depth interview for qualitative research asked the researchers about their difficult experiences and motivations for overcoming them through the conceptualization, early task, research implementation and presentation of results, and asked them what their competency were. Through the results of the RSES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education research mentioned by science education scholars, and the implications of recent scientific education research trends, we were able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education research efficacy. The competencies that science education researchers regarded as necessary for the research process can be classified into expert competency and mental competency. The recognition of competence appeared to be the confidence of the research. There are five categories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efficacy: self - confidence, challenge efficacy of new field, decision-making efficacy of research process, academic contribution efficacy, and self-regulation efficacy. Confidence was the confidence in research ability, confidence in colleagues and co - workers, and confidence in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efficac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ssociat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the efficacy of insight and the efficacy of social recognition of research could be found. Second, because of the application academic characteristics, we were able to find the research efficacy through the application of research trends, the efficacy of literature research, and the efficacy of academic contribution and search. Third, due to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rends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research efficacy due to human networks and research efficacy on long - term research were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efficacy due to th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were found to be the research efficacy due to the creativity of the researcher and the sense of challenge of the research. Efficacy due to research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is the efficacy of the conceptualization phase of the research, the Efficacy for manipulation competency of the abstract, and the efficacy of deriving meaning from complex phenomena.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groups with a lot of research experience and relatively few groups, 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efficacy were revealed. The group with a lot of research experience showed a great sense of efficacy due to the social empathy for their research value and the efficacy of the literature research. Research groups with relatively small research experience were able to find the challenge efficacy of new research and the efficacy due to the recent research tendency connect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a systematic approach to new background knowledge can be suggested in literature research.. Second, the human networks of experts should be activated and used for research in order to cooperate with science education research. This study is a study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ers and their research process with the concept of research efficacy not yet known. This study can be a strategy book for graduate students who want to become science education experts in the future to learn the research process of senior researchers. In addition, it can be a good reference for developing science education research efficacy measurement tool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연구의 가정 6 D. 용어의 정의 7 E. 연구의 제한점 9 Ⅱ. 이론적 배경 11 A. 과학교육 연구의 특성과 최근 연구의 경향성 11 B. 효능감 19 1. 일반적 자기효능감 19 2. 자기효능감의 측정 25 3. 효능감 이론의 활용사례 31 C. 연구 효능감 37 1. 연구 효능감의 이해 37 2. 연구 효능감 측정 도구 40 Ⅲ. 연구 방법 47 A. 연구 절차 47 1. 설문지를 이용한 연구 47 2. 질적연구 48 B. 연구참여자 52 C. 윤리적 고려 53 D. 자료 수집 54 1. 설문조사 54 2. 면담조사 55 E. 자료 분석 59 1. 설문지 분석 59 2. 면담 분석 68 3. 연구의 신뢰성을 위한 노력 69 Ⅳ. 연구 결과 71 A. 과학교육 연구 과정 중 드러난 연구 역량 71 1. 전문가 역량 71 2. 심적 역량 122 B. 과학교육 연구자의 연구 과정에서 드러나는 연구효능감 138 1. 자신감 141 2. 새로운 분야에 대한 도전 효능감 157 3. 연구 과정 중 결정 효능감 162 4. 학문적 기여 효능감 185 5. 자기조절 효능감 196 C .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연구 과정에서 드러난 연구 효능감의 특징 207 1. 과학교육의 인문사회학과의 연관으로 인한 특징 209 2. 응용 학문적 특성으로 인한 연구 효능감 216 3. 최근 과학교육 연구 경향성과 관련된 연구 효능감 226 4. 연구방법으로 인한 특징 243 5. 연구 경력에 따른 연구 효능감의 특징 251 6. 개별 연구자들의 이야기 272 Ⅴ. 결론 282 A. 과학교육 연구자의 연구역량과 연구 효능감 282 B. 과학교육 연구자의 연구 효능감의 특징 286 Ⅵ.제언 및 의의 290 A. 제언 290 B. 연구의 의의 292 참고문헌 294 부록 1 연구대상자 설명문 및 동의서 306 부록 2 연구효능감 척도 309 부록 3 면담 질문지 312 부록 4 면담자료 분석 예시 316 부록 5 Research Self-efficacy Scale 317 ABSTRACT 3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845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과학 교육연구자의 연구 과정 중 드러나는 연구 효능감 및 그 특징의 탐색-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Exploring research efficacy and its characteristics in research process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ers-
dc.creator.othernameYou, Jihyeon-
dc.format.pagevii, 32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