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1 Download: 0

한국 노인의 사회적 배제 유형

Title
한국 노인의 사회적 배제 유형
Other Titles
The Social Exclusion of the Older People in Korea :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Authors
이석미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tegration are persistently important topic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By analyzing these topics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lusion, this study conducted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elder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elderly’s social exclusion, classify its trajectories of change and explore the predictors of such change. Ultimately,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the high-risk elderly group would provide a useful insight o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and development of preventive servi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32 participants of the biannually-conducted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ho were aged 65 and over, and data collected from Wave 2, 4 and 6 from 2008 to 2016 were used, reflecting changes in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the elderly over 8 year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ive different dimensions of social exclusion: self-assessed economic status, self-assessed health statu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social network and sense of loneliness. For the analysis, two major methodologies were used: variable-centered approach, which focused on the average level of social exclusion among the respondents, and person-centered approach, which focused on the patterns of the trajectories of change in social exclusion among the respondents. For the variable-centered approach, latent growth model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while for the person-centered approach, growth mixture model was used. In addition,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a high-risk group among the socially-excluded elderly by taking individual, famil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to accoun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A 13.0 and Mplus 7.0.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latent growth model showed that social exclusion increased over time at all dimensions of social exclusion but self-assessed economic status and sense of loneliness. The elderly’s level of social exclusion commonly showed linear growth, which strongly suggests that the elderly experience increasing social exclusion over time. It also suggests that social exclusion faced by the elderly is highly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Second, the growth mixture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elderly are not a 'homogeneous' group with individuals experiencing similar levels of exclusion and trajectories of change, but rather a group that can be divided into various latent trajectory classes with diverse intercepts and slopes. Specifically, the elderly were able to be divided into two to four types using the five dimensions of social exclusion. In addition, the growth mixture model provided useful guidelines for sorting out groups that experienced a continuous or an increasingly high level of social exclusion, therefore helping to identify a high-risk group that is subject to the highest level of social exclusion. Social exclusion level of the high-risk group drastically increased over time at all dimensions of social exclusion except for self-assessed economic status. Thir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traits of the high-risk group. Individual factors, which are gender, age and educational qualification, and familial factors, which are marital status, family size and generational type, as well as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re beneficiary status, job status and regional type, were taken into account. All the factors displayed relevance to an increase of social exclusion. Generally, the elderly who were men, had low levels of education, lived in over two generational households and lived in rural setting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greater social exclusion. Fourth, different trajectories of change in social exclusion supported that social exclusion level of the high-risk group increases drastically over time in all four dimensions except for self-assessed economic status. This finding further suggests that changes in social network were drastic enough to make the graphs intersect each other, but that the initial level of social exclusion led to the general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patterns of trajectori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growth mixture model in a longitudinal analysis, this study overcame the limits of past cross-sectional studies that merely observed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at fixed points of time, thus allowing for a thorough understanding of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the elderly. Second, the multi-dimensional framework of social exclusion used in this study allowed different trajectories of change of social exclusion to be analyzed and successfully identified a high-risk group among the elderly.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high-risk group hardly escapes from social exclusion over time, as the high-risk group becomes increasingly socially excluded while the lower-risk groups experience no change in the level of social exclusion or become decreasingly socially excluded. Third, this study illustr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risk group and lower-risk groups using multiple dimensions of social exclusion, which would help useful strategies to be devised for tackling social exclusion. In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and services for the elderly that are the most vulnerable to social exclusion. ;노인복지 연구에 있어서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내 통합은 변함없이 중요한 주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제를 사회적 배제의 시각으로 들여다보고자 하였으며 우리나라 노인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를 종단적으로 유형화하고 영향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노인들이 처한 배제 현실과 변화양상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차별화된 이해를 구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유형화로 드러난 고위험배제집단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들의 복지욕구에 최적화된 복지정책 수립 및 서비스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경제, 건강, 사회참여, 사회관계망, 정서 영역에서 노인의 배제 특성은 어떻게 유형화되며 집단유형별 노인의 배제 수준과 변화는 어떠한지 그리고 유형을 예측하는 요인에서 나타난 고위험배제집단의 특성은 무엇인지 규명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령화연구패널의 만 65세 이상 노인 4,132명이었으며, 패널의 2차, 4차, 6차의 누적된 조사자료를 분석에 투입하여 2008년부터 2016년까지 8년에 걸친 사회적 배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은 크게 잠재성장모형(LGM)과 성장혼합모형(GMM)의 두 종단적 접근법을 사용하였는데 이 두 방법의 혼용으로 노인이 처한 사회적 배제의 평균적인 변화와 다양하게 분리된 잠재집단유형의 변화 사이에 숨겨진 의미를 동시에 파악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잠재성장모형 분석으로 노인 전체의 평균적인 배제 수준과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성장혼합모형 분석으로는 연구대상 내의 이질적 차이에 기반하여 다양한 잠재집단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잠재집단 유형 중 주목해야 할 배제위험집단을 중심으로 개인요인, 가구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이 탐색된 집단유형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에는 STATA 13과 Mplus 7.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잠재성장모형에 의한 변화궤적을 살펴보면, 노인 자신의 경제상태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는 5-6 구간 사이에 위치하여 중간 이하에 머물렀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완만하게 배제가 감소하였다. 건강배제를 보면, 노인들 대부분은 건강을‘나쁜 편’으로 인식하였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제 수준은 완만히 높아졌다. 사회참여배제에서는 종교모임, 친목모임, 여가/문화/스포츠 단체, 동창회/향우회/종친회, 자원봉사, 정당/시민단체/이익단체에의 참여여부를 물었는데 사회적 배제 차원 중 가장 높은 초기값을 보여서 6개 중에 1개 미만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단체 편향도 심하여 친목과 종교모임에 치중하였고 시간이 흐르면서 배제 수준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관계적 배제는 상대적으로 낮아서 주변의 이웃이나 친척, 친구들과 한 달에 2~4회 정도의 만남을 가지고 있었다. 사적이고 친밀한 사회적 관계망을 비교적 활발하게 유지하는 편이었으나 시간이 흐르며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외로움을 통해 본 노인의 정서적 배제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초기값을 보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노인들은 일주일 중 하루/이틀 미만으로 외로움이나 고독감을 느끼며 생활한다고 볼 수 있다. 배제의 평균적인 변화궤적은 모든 차원에서 선형적으로 증가나 감소가 나타났으나 구간을 벗어날 만큼의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혼합모형으로는 배제의 차원별로 다양한 잠재집단의 수와 성장모수를 추정함으로써 노인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에서 이질적이며 다양한 변화유형을 도출하였다. 첫째, 경제적 배제는 3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고 경제적 배제-평균형, 경제적 배제-내핍형, 경제적 배제-안정형이라 명명하였다. 둘째, 건강배제는 3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고 건강배제-점증형, 건강배제-심화형, 건강배제-감소형이라고 명명하였다. 셋째, 사회참여배제는 사회참여배제-감소형과 사회참여배제-고립형의 2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리되었다. 넷째, 관계적 배제는 고/저 수준의 초기값과 유지/증가/감소의 변화율이 서로 교차하며 4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리되었다. 변화양상을 기반으로 각각 관계배제-고립형, 관계배제-축소형, 관계배제-확장형, 관계배제-적극교류형이라고 명명하였다. 다섯째, 정서적 배제는 3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 정서배제-유지형, 정서배제-심화형, 정서배제-안정형이라고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노인들이 고위험배제집단에 속하게 하는 영향요인은 무엇인지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예측해보았다. 배제의 차원별로 요인들의 영향력은 상이하였는데 성별에서는 남성노인이 더 취약하였다. 연령에서는 배제차원 간 달라서 경제적 배제, 사회참여배제와 관계적 배제에서는 75세 이상의 노인이, 건강배제와 정서적 배제에서는 75세 이하의 노인이 취약하였다. 또한 저학력은 사회참여배제와 관계적 배제를 예측하였으나 반대로 고학력은 높은 정서적 배제를 예측하였다. 가구요인 중 배우자 유무에서는 유배우자 특성이 더 높은 배제를 예측하였고, 가구원 수는 적을수록 경제적 배제를 그리고 많을수록 정서적 배제를 더 높게 경험할 가능성이 컸다. 세대유형에서는 1세대보다는 2세대 이상의 가구가 높은 배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컸다. 사회환경적 요인 중에서는 비취업자일수록, 농촌거주일수록, 수급자일수록 고위험배제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일반적으로 더 높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관련한 그간의 연구경향이 주로 횡단면으로 인과관계나 영향관계에만 치중하였던 한계를 극복하고 성장혼합모형을 이용한 종단적 접근을 통해 노인이 겪는 배제의 차별화된 유형과 변화양상을 제시했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차별화된 변화유형 속에서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배제위험 노인집단을 도출할 수 있었고 영향요인을 통해 이들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종단적 접근을 함으로써 횡적 연구에서는 파악할 수 없었던 여러 시사점을 발견하였는데 노인들의 사회적 배제는 초기수준이 한번 결정되면 고착화되어 그 틀을 벗어나기 쉽지 않다는 사실과 시간의 흐름과 함께 고위험집단의 배제는 더 크게, 저수준 배제집단은 유지나 감소의 방향으로 움직여 집단간 격차가 더 벌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노인복지의 우선적인 개입대상으로서 고위험 배제집단의 사회적 배제 완화를 위한 정책 및 서비스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제언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