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도시·농촌지역 자유학년제 음악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비교 연구

Title
도시·농촌지역 자유학년제 음악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Urban and Rural Area Student' Perception and Satisfaction Towards the Free Year Program Music Activities : Centering Around the Gangwon Province
Authors
최미소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년제의 도입에 따라 도시·농촌지역의 자유학년제 음악활동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교육 지역차의 지표값이 큰 강원도를 중심으로 하여 도시지역 3개교, 농촌지역 3개교를 선정 후 중학교 1학년 5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분석에 사용된 설문자료는 502부이며 연구 문제에 따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년제 음악활동의 운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사회문화적 교육환경 격차에 따른 물리적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프로그램 선택여부, 전담선생님 여부, 희망 프로그램 반영, 참여인원, 표현 기회의 방법 문항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도시지역 대부분의 학생은 ‘음악에 흥미가 있어서’음악프로그램을 선택한 반면 농촌지역 대부분의 학생은 ‘음악에 흥미가 없어서’선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교육의 투자, 예술·문화의 다양한 접근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농촌지역의 지역적 환경이 학생들의 교육경험에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도시지역의 전담선생님은 대부분 외부강사선생님인 반면 농촌지역은 주로 교과선생님이 전담하는 것으로 보아 외부강사 지원 및 채용에 대한 농촌의 교육인프라가 도시에 비해 현저히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향후 벽지지역 학교의 사례연구를 통해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두 지역 모두 피상적인 음악활동이 이루어진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육환경 격차에 의한 물리적 차이점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다채롭고 역동적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자유학년제 음악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수업방법과 프로그램의 다양성, 자유학년제 목적 인식에 대한 재고를 도출시켰다. 교과수업과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한 학생들은 자유학년제 음악활동이 교과수업 활동방식과 같아서 인식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교과음악수업과 각 활동 간의 모호한 경계를 해결하기 위해 음악교사는 음악과의 핵심역량을 배양함과 동시에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학습, 직소모형 등의 학생참여형 교육과정모델을 활동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음악활동 경험에 따른 자유학년제의 목적 인식은 전체응답자의 대부분이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하여 자유학년제 음악활동이 목적과 부합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자유학년제 목적이 학생들의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편, 농촌지역의 다수 학생이 지도 선생님의 수업방식 또는 내용을 불편한 점으로 피력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적 환경, 프로그램 운영 외에 지도 선생님의 전문성, 지도력 또한 인식도에 큰 변인으로 작용됨을 알 수 있다. 셋째, 자유학년제 음악경험을 통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도시지역이 농촌지역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는 환경에 대한 만족도, 활동의 흥미에 대한 만족도 문항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 특히 농촌지역은 악기, 교구 등 학습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으며 담당 선생님의 지도력에 대해서도 도시와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지역적, 환경적 특성뿐만 아니라 교사의 전문성 및 역량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수업방법의 다양성, 프로그램의 다양성 문항은 두 지역 모두 낮은 만족도를 보이며 자유학년제 활동의 차별성 및 수업 방식에 있어서의 문제를 도출시켰다. 이는 학생들의 선호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및 수업 방식을 제공해야 함을 나타낸다. . 이와 같은 결과들은 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더불어 지역의 특성을 감안한 자유학년제 음악활동 정책의 재구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free year program music activities management in urban and rural areas, centering around the Gangwon Province,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u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To that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519 middle school 1st grade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three schools each in the urban and rural areas of the Gangwon Province. A total of 502 survey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a cross-analysis was performed to address the study topic accordingly. A summary of this research'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free year program music activities management in urban and rural areas revealed various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chool's location, whether or not music programs were selected, reasons for such selections, whether or not certain desired programs were open, number of program participants, teachers in charge, teaching methods, whether or not students were given opportunities for expression, and even expression methods all significantly differed. In particular, regional differences were very noticeable in the selection of music programs. In urban areas, the majority of students chose free-school-year music activities, while in rural areas most students did not. A selection factor for such a result was that urban areas selected music programs due to their interest in music, while rural areas did not have a choice. On the other hand, a majority of urban areas chose not to select music programs because they were interested in other subjects, while rural areas chose not to select music programs because they were not interested in music itself. Moreover, while urban areas' programs were established to reflect students' desires, rural areas' programs showed low levels of reflection of such desires. In other words, the reason behind music program selections were different for urban and rural areas, and the degree of musical interest and whether or not the desired programs were offered is an important variable. Second, an analysis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free year program music activities in urban and rural area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chool's location. Such significant differences could be observed from most factors except class difficulty, number of participants, and perception of the free year program purpose. When asked about the importance of music private education experience for the free year program music activities,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it was important. But the reason differed between the two regions and they each responded it was important for easier musical experience, and for compensating for musical activities difficult to catch up with accordingly.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programs and other curriculum classes is interpreted to have been perceived by most students through physical time, and those students who felt no difference perceive the programs to have the same teaching and activity methods as other curriculum classes. However, the purpose of the free year program was found to have no influence on musical activities experience. Most respondents responded ‘unsure' which shows that the music activities of the free year program are not compatible with its purpose. As well, many rural area students expressed discomfort towards the teaching methods or contents of their teachers. It can be said that in addition to the local environment and program operation, the professionalism and leadership of the teachers also serve as an important factor for perception. Third, an analysis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towards the free year program music activities in urban and rural areas revealed that urban areas show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overall. In particular, rural areas showed low levels of satisfaction regarding physical environments such as school facilities, musical instruments, and teaching aids. There were also regional differences in the leadership of the teachers in charge. These differences showed that not only regi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ut also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e greatly impacted student satisfaction. While urban areas were generally positive towards free-school-year-system music activities, no regional differences in satisfaction towards class diversity could be observed. This indicates that the free year program music activities at school sites are carried out no differently from other curriculum classes and that those programs lack differentiation, and deduced problems of the free year program music activities' differentiation and curriculum.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free year program music activities policy, which must take reg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cultivating teachers' expertise into accou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