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4 Download: 0

심미적 소통을 위한 현대시의 상징 해석 교육 연구

Title
심미적 소통을 위한 현대시의 상징 해석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terpretation of poetic symbols for aesthetic communication
Authors
윤호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This study defines symbols as the core of aesthetic communication and a key principle that distinguishes aesthetic communication from daily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aesthetic communication by suggesting the three-dimensional interpretive process of symbols that consists of three different levels based on understanding of readers, authors and the community, and to present the goals and contents of symbol education in poetry education. Symbols can be defined in various ways, but as the core of aesthetic communication symbols have three essential qualities. First, symbols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meanings that can not be fixed in a single one. Aesthetic communication is done mainly by readers, because it is a reader who determines meanings of symbols among various ones. Second, symbols affect people who understand and utilize them not only in cognitive way but also in emotional way. Hence the aesthetic communication using symbols can form sensus communis, common sense in german, of the community. Third, the interpretation of symbols is constantly renewed by the appreciation of readers. So, aesthetic communication using symbols can continue to develop infinitely in principle. And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of symbols can be presented in three ways. The reader can interpret symbols using his/her own senses and information about authors, and establish symbols in forms of thought. The process of interpreting symbols can be embodied by analyzing professional readers’ interpretation of poetry. The interpretation of symbols begins by confirming whether symbols can be understood by community’s common sense. If readers think existing common sense is too conventional or irrelevant to understand new symbols, they try to reform it. Readers can interpret symbols by using his/her own experience, knowledge and imagination, referring to information about authors, and making forms of thought that can break the custom of the community. The new interpretation of symbols can be provisionally terminated by changing the existing common sense of community, and this kind of change can develop readers’ reason and emotion, and the community’s common sense. Members of the community can participate in aesthetic communication by using various symbols. Based on analysis of internet articles using symbols, an aspect of aesthetic communication can be presented in three stages. Writers of articles participate in aesthetic communication by using common meanings of symbols to express their appreciation, and address information and assertion. Also they expand aesthetic communication by changing meanings of symbols, and develop aesthetic communication by interpreting new symbols. Utilization of symbols can form aesthetic community whose members share and develop aesthetics. Members maintain the aesthetic community by using and changing common meanings of symbols and develop aesthetics by accepting new symbols.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goals and contents of symbol education in poetry can be designed. Symbol education aims to develop students’ power of thought, offer experiences that can change their reason and emotion, form and change community’s common sense, pursue constantly new interpretation, and search for self-knowledge by understanding authors as the Other and the community they belong to. And symbolic literacy for aesthetic communication consists of three different elements. The first one is a unique image based on a reader’s own experience and personality, and the second one is shared emotions and affection by trying to understand authors’ feeling and their circumstances. The last one is an ability to reason to translate concrete objects as universal ideas. And Contents of symbol education can be presented as hierarchical three steps. Students can learn essential norms of symbols, understand novelty of private symbols, and study the basis of combination of tenor and vehicle, and judge symbols whether they have power to change reason and emotion or no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three-dimensional interpretive process of symbols is an aesthetic communication that can change students’ reason and emotion and common sense of community, and make students continue new interpretation constantly. Also this paper has presented the aspects of aesthetic communication using symbols, and has suggested the goals and contents of symbol education in poetry.;이 논문은 상징을 심미적 소통의 핵심으로 정의하고, 상징 해석의 과정이 독자, 저자, 공동체 층위의 해석을 필요로 한다고 보고, 상징 해석의 과정이 ‘감각의 확인을 통한 개별적 해석’, ‘가상적 현실의 구현을 통한 관계적 해석’, ‘사유의 형식 정립을 위한 발전적 해석’으로 이루어짐을 밝혔다. 또한 상징의 활용 양상을 검토하여 심미적 소통의 양상을 ‘보편적 상징을 활용한 소통의 참여’, ‘해석의 변화를 통한 소통의 확장’, ‘새로운 상징을 활용한 소통의 발전’으로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현대시 교육에서 심미적 소통의 핵심으로서의 상징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설계하였다. 상징은 심미적 소통을 일상의 소통과 변별시키는 핵심적인 원리이다. 상징은 기표와 기의가 일대일의 관계를 이루는 기호와 달리 기표와 기의가 일대다의 관계로 결합하고, 구체적인 대상을 통해서 추상적인 관념을 사유하게 한다. 상징은 의미를 단일한 방향으로 수렴시킬 수 없는 다의성을 지니는 개념으로서 해석자의 능동적인 의지를 필요로 하고, 그 의미에 공감하는 사람들에게는 인지적으로 받아들여질 뿐 아니라 정서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해석이 일회적으로 종결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새롭게 해석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닌다. 상징의 이와 같은 특성에 따라서 상징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심미적 소통은 해석자의 이성과 감성을 변화시키고 공통감각을 형성하게 하며 새로운 해석을 통해서 무한하게 지속될 수 있다는 특성을 갖는다. 상징 해석의 과정은 상징이 구체적인 대상을 통해서 보편적인 관념을 표현하는 개념이라는 것, 그리고 퍼스의 상징이 도상과 지표를 구성 요소로 갖는 개념이라는 점을 기반으로 하여 독자가 자신의 감각을 중심으로 작품을 해석하는 단계, 현실적인 저자의 맥락을 조회하여 작품을 해석하는 단계, 공동체의 맥락에서 작품을 사유의 형식으로 해석하는 단계로 입체적으로 설정하였다. 상징 해석을 통한 심미적 소통의 과정을 체계화하기 위해서 기존의 시 해석들에서 이루어지는 상징 해석들을 검토하여 상징 해석이 ‘심미적 소통을 위한 공통감각의 확인’, ‘심미적 소통을 위한 상징의 입체적 해석’, ‘심미적 소통을 통한 공통감각의 변화 인식’으로 이루어짐을 파악하였다. 각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공통감각의 확인’은 ‘해석에 내재된 공통감각의 검토’, ‘관습의 상투성과 부적합성 인식’으로 구체화하였다. 이는 상징을 해석하기에 앞서 상징에 함축된 공통감각을 확인하여 해당 상징이 기존의 공통감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공통감각을 모색해야 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둘째, ‘심미적 소통을 위한 상징의 입체적 해석’은 ‘감각의 확인을 통한 개별적 해석’, ‘가상적 현실의 구현을 통한 관계적 해석’ , ‘사유의 형식 정립을 위한 발전적 해석’으로 구체화하였다. 이는 상징 해석의 과정이 작품의 감각과 유사한 독자의 경험과 기억을 활용하거나 상상력을 동원하여 이미지를 구체화하고, 타자의 맥락을 복원하여 발신자로서의 타자와의 관계 맺기를 시도하며, ‘문학적 지식과 이론의 재문맥화’, ‘시적 감각의 관념으로의 의미화’, ‘현실 맥락의 과념으로의 의미화’를 통해서 상징을 사유의 형식으로 정립하는 과정으로 파악한 것이다. 셋째, ‘심미적 소통을 통한 공통감각의 변화 인식’은 ‘공통감각의 변화 및 발전 확인’, ‘새로운 공통감각의 성립 확인’으로 구체화하였다. 해석자는 새로운 상징의 해석을 통해서 기존의 공동체의 공통감각의 변화 및 발전하였음을, 또는 새로운 공통감각이 성립되었음을 확인함으로써 공동체의 심미적 소통이 변화 및 발전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상징 해석의 과정을 거쳐 공동체에서는 공통감각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구성원들은 상징을 활용하여 심미적 소통에 참여한다. 구성원들은 보편적인 상징의 해석을 활용하여 감상, 정보, 주장을 전달하여 심미적 소통에 참여하고, 변화된 상징 해석을 활용하여 심미적 소통을 확장시키며, 새로운 상징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통해서 심미적 소통을 발전시키는 것으로 나아간다. 이와 같은 상징의 활용 및 변화의 과정은 구성원들의 감각을 쇄신함으로써 심미성을 공유하고 변화 및 발전시키는 심미적 공동체의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징을 매개로 한 심미적 소통은 공통감각의 형성과 재형성을 통해서 공동체를 참신한 아름다움을 느끼는 이성과 감성을 공유하는 심미적 공동체로 만든다. 독자들은 참신한 감각을 활용해 기존에 공동체에서 공유해 왔던 상투적 관습성에 균열을 일으키고 보편적 상징의 해석을 공유하고 활용하며, 상징 해석의 변화 및 새로운 상징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심미성의 확장 및 발달을 지향함으로써 심미적 공동체를 형성 및 발전시켜 나간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현대시 교육에서의 상징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설계하였다. 심미적 소통의 핵심으로서의 상징에 대한 교육은 학습자가 사유의 힘을 기르고 이성과 감성의 변화를 경험하며 공통감각을 형성 및 변화시킬 수 있는 해석자가 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심미적 소통을 위해 갖추어야 할 상징 문해력으로는 학습자가 자신의 개성을 바탕으로 한 고유한 이미지의 발견, 저자를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감정의 공유, 구체적인 대상을 보편적인 관념으로 도약하도록 할 수 있는 사유의 능력을 제시하였고, 상징 교육의 내용 요소로는 상징의 유형과 학습자의 주체적 판단의 개입 정도에 따라 ‘기호적 상징과 원형적 상징의 규범’, ‘관습성과 참신함 사이의 길항 관계’, ‘심미적 소통의 핵심으로서의 상징’으로 위계화하여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상징의 입체적 해석 과정이 학습자의 이성과 감성을 변화시키는 심미적 소통이라는 점을 밝히고, 상징을 활용한 심미적 소통의 양상, 상징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구체화하여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