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2 Download: 0

재한 중국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itle
재한 중국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Chinese Female Office Workers in Korea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Authors
ZHOU, QIAN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애경
Abstract
It is acknowledg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broadened the employment system for foreigners and has prepared a special activity (E-7) visa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professional talents. Besides, visa of this type is more readily available to international students who graduate from a Korean university. Currently, it is reported that there are more girls than boys, and about 45.8% of foreign students are located mainly in the metropolitan area. Moreover, foreigners having a higher level of education would prefer to choose to work in the office. As the number of Chinese women working in Korea is on the rise, it is highly required that they should be exposed to more new cultures, languages and regulations, and therefore it is easy to feel the pressure, which would eventually induce issues related to health and psychology. It has been shown through previous researches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hinese workers in Korea. As a positive force for individuals, resilience is actually known as the ability which could overcome common psychological stress and adapt to the environment. As a matter of fac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work efficiency can be adjusted by the ability of resilience. It is also known that the increase of job satisfaction can improve personal quality life and work efficiency, which would consequently reduce turnover. Therefore, it is of great necessity to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hinese female office workers in Korea and the moderating effects played by resilience. This study is aimed at studying the impact of acculturation stress imposed on job satisfaction of Chinese female office workers in Korea, as well as their resilience to make adjustmen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this research goal,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as follows. 1) How does the acculturation stress of Chinese female office workers in Korea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2) Can the resilience of Chinese female office workers in Korea make adjustment to the impact of acculturation stress on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employment of a similar study carried out before,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period, February to March 2019, the questionnaire was consecutively revised and supplemented after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20-year-old Chinese female office workers in Seoul and Gyeonggi. After that, a total of 16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y using the methods of direct distribution, email and online distribution from April to May 2019. After the collection, a total of 9 copies of the dishonest answer questionnaires were removed, and 150 copies in all were collected during the process. In addition, the data from 150 questionnaire was analyzed through the employment of SPSS 25.0 statistical procedures for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In terms of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the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factor of acculturation stress is able to impose a nega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mainly demonstrates the relationship constructed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hinese female office workers in Korea. Secondly, it is acknowledged that the resilience is able to make adjustmen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ith regard to the recovery of elastic subdivision, self-regulation and affirmation can make relevant adjustmen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unable to reg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t is further confirmed by this result that Chinese female office workers in Korea can adjust their job satisfaction through their internal strength even in the unfamiliar environmen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 th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further prove that the acculturation stress of Chinese female office workers in Korea can impose certain impact on job satisfaction. Secondly, it also proves that Chinese female office workers in Korea can make improvemen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employment of self-regulation. Thirdly, through this result, it is easy to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personnel policy which ha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female office workers in Korea can be developed so as to allow them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quickly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Although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area of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t is difficult to represent the entire group by the sample size of 150 only. In terms of follow-up studie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genders or to conduct comparative studies with Koreans. Moreover, other categories can also be taken into account. ;한국 정부는 외국인 고용제도를 확대하였고 우수한 전문 인력을 붙잡기 위해 특정활동(E-7)비자를 발급하고 있다. 이 비자는 한국대학을 졸업한 외국인 유학생이라면 쉽게 받을 수 있다. 현재 한국에 거주하는 유학생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많으며 45.8%가 수도권에 집중되어있다(뉴시스,2017). 고학력을 취득한 외국인들은 보통 단순노동을 하는 것보다 사무직에서 근무하기를 원하는데 재한 중국여성 사무직 근로자들은 한국에서 새로운 문화, 언어, 규범 등에 접촉하면서 여러 가지 스트레스로 인해 다양한 신체·심리적인 문제를 가지게 된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재한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김대명,2016; 전경, 2016). 회복탄력성은 개인이 심리적 스트레스와 고통을 극복하고 환경에 적응하는 긍정적인 힘으로(김주환, 2011) 스트레스와 직무성과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암이도, 2012; 김철희, 2014).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면 개인적 측면에서 삶의 질 등을 높일 수 있고, 조직적 측면에서 직무성과가 높아지며, 이직률은 낮아진다. 그러므로 재한 중국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한 중국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였다. 1) 재한 중국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재한 중국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회복탄력성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회사를 중심으로 사무직에 근무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 중국 여성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2019년 2월부터 3월까지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다음으로 2019년 4월부터 5월까지 직접 배포, 이메일 및 온라인을 이용하여 설문지 총 165부를 배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설문지 9부를 제외하고 총 150부를 회수하였고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한 중국 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조절변수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능력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재한 중국여성 사무직 근로자들은 낯선 환경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더라도 자신의 내면의 힘을 통해 직무에 대한 만족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재한 중국 여성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할 수 있다. 둘째, 재한 중국 여성 사무직 근로자들은 회복탄력성을 통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능력 및 긍정성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한국에서 근무하는 중국 여성 근로자들의 인사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결과를 기초로 낯선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고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앞서 시사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한 중국여성 사무직 근로자 150명을 대상으로 표본수가 충분하지 않아 연구결과를 전체 모든 재한 중국여성 사무직 근로자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점이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재한 중국인 근로자의 성별을 구분하거나 한국인과 비교연구를 제안하며, 재한 중국인의 다른 직종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