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6 Download: 0

미취학 아동의 초기문해력에 덩이짓기와 빠른문자연결 능력이 미치는 영향

Title
미취학 아동의 초기문해력에 덩이짓기와 빠른문자연결 능력이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f Chunking Mechanism and Orthographic Fast-mapping on Early Literacy Development in Preschool Children
Authors
홍예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오랜 기간 초기문해력과 관련 있는 변인으로 음운 인식(phonological awareness) 능력이 연구되어왔다(Bird, Bishop, & Freeman, 1995; Catts, 1993; Stanovich, Cunningham, & Cramer, 1984; Torgeson, Wagner, & Rashotte, 1994). 그러나 음운 인식 능력이 초기문해 능력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연령의 증가에 따라 점차 그 영향력이 감소한다고 하였다(Foorman, Herrera, Petscher, Mitchell, & Truckenmiller, 2015; Roman, Kirby, Parrila, Wade-Woolley, & Deacon, 2009). 따라서 본 연구는 미취학 아동의 초기문해력 평가에 기존의 음운 인식 위주로 진행되는 평가 외에 덩이짓기(Chunking) 능력과 빠른문자연결(Orthographic Fast-mapping) 능력이 유용한 변인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문해 학습에 덩이짓기 능력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기문해력 단계에 따라 일반 아동 집단과 문해 지도 필요 아동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덩이짓기 능력을 측정하는 과제로 시각적 덩이짓기 과제와 청각적 덩이짓기 과제를 사용하였으며, 빠른문자학습 능력 평가를 위해 음소배열확률과 음운 규칙성(문자 투명도)에 따른 단어유사도를 설정한 과제를 제작해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생활연령 4-6세 미취학 아동으로 일반 아동 집단 19명(4;3~6;1, 남아 11명, 여아 8명)과 문해 지도 필요 아동 집단 14명(4;1~5;8, 남아 8명, 여아 6명)으로 아동 총 33명이 참여하였다.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초기문해(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Early Literacy: BSAS:EL, 김동일, 2011)를 통해 일반 아동(1~3단계, 15%ile 초과)과 문해 지도 필요 아동(4·5단계, 15%ile)을 선정하였다. 연구 과제로 시각적 덩이짓기 과제와 청각적 덩이짓기 과제, 빠른문자연결 과제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아동과 문해 지도 필요 아동의 덩이짓기 과제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시각적 및 청각적 덩이짓기 과제의 정반응률을 비교한 결과, 일반 아동이 문해 지도 필요 아동과 비교해 조건(대칭성, 어순)과 용량(기억폭, 어절 수)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일반 아동은 시각적 덩이짓기 과제에서 대칭 조건과 비대칭 조건 및 기억폭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문해 지도 필요 아동은 대칭성 및 기억폭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두 채점방식 모두에서 단어 유사도에 따른 빠른문자연결 과제의 수행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단어유사도에서도 두 채점방식 모두에서 높은 단어유사도와 낮은 단어유사도에서 수행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두 채점방식 모두에서 일반 아동이 문해 지도 필요 아동보다 문장어순과 임의어순 조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셋째, 초기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덩이짓기 과제와 빠른문자연결 정반응률을 분석하였다. 시각적 덩이짓기 과제의 대칭 및 비대칭 조건, 청각적 덩이짓기 과제의 문장어순 및 임의어순, 빠른문자연결의 모든 채점방식의 정반응률이 초기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덩이짓기 과제 중 시각적 덩이짓기 과제의 대칭과 비대칭 조건 모두에서 빠른문자연결 과제의 완전 및 부분 채점방식의 정반응률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 아동의 빠른문자연결 과제 부분 채점방식 수행도와 비대칭 조건의 시각적 덩이짓기 수행도가 초기문해력을 79.1%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문해 지도 필요 아동의 예측 요인은 수용 어휘로 55.5%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채점방식 모두에서 초기문해력과 시각적 덩이짓기 과제가 아동의 빠른문자연결 능력을 각각 82.8%, 73.6%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빠른문자연결 능력을 완전 채점방식에서는 수용 어휘가 4.6% 예측한 반면, 부분 채점방식에서는 표현 어휘가 4.1%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운유사도 및 단어 규칙성(투명도)에 따라 비단어를 설정해 비단어의 음운유사도 및 투명도의 높고 낮음에 따른 빠른문자연결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음, 첨가 등의 복잡한 음운규칙이 적용된 단어보다 음운-문자 유사도가 높은 규칙 단어와 높은 음운유사도를 가진 단어유사도가 높은 단어를 습득하는 빠른문자연결 능력이 문해 습득을 전략적으로 하는 기저라는 근거를 제시하고, 덩이짓기 능력이 발달하지 못한 아동의 경우 단어유사도가 높더라도 빠른문자연결 능력에 그렇지 않은 아동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초기문해력에 덩이짓기 능력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덩이짓기 능력이 빠른문자연결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아 아동의 향후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아동의 읽기 장애를 조기에 선별하고 중재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t is open reporte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as a major predictor. In recent studies, however, have focused on other factors such as Mental Graphemic Representation or fast-mapping. In these studies, phonological awareness affects early literacy especially at the age of preschoolers, but its influence on literacy decreased as they grow up. Therefore the goal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ny other factors may affects the early literacy skills. Visual and auditory chunking tasks and orthographic fast-mapping tasks were assessed to measure children's chunking and OFM ability. A total of 33 children from four to six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were two groups divided into 19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14 children with literacy instruction recommended. Children’s literacy skill has been measured by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 Early Literacy(김동일, 2011). three-way 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group (TD vs. LR) difference according to task presentation type and memory volum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find whether the chunking performance, OFM performance, are correlated with early literacy. Also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find whether chunking can predict early literacy and OFM performance.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Ds and LRs in the visual and auditory chunking tasks. In statistics, TD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on type and span in the visual tasks. In both scoring systems, higher performance was observed in words with high similarity in the OFM tasks. Both complete and partial scoring method of the OFM tasks showed correlation with the symmetric and asymmetric conditions of the visual chunking tasks. In TDs, the partial scoring of OFM tasks showed high predictive power, while in LRs, receptive vocabulary showed high predictive power. Altogether, both TDs and L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dition and span of chunking tasks, especially in visual chunking tasks. TDs showed higher performance in chunking and OFM tasks than LRs. The result indicate that children with poor chunking abilities may have difficulties in OFM abilities and makes hard to develop literacy. The chunking abilities, especially visual chunking performance show group difference and relation on OFM and literacy. It means for preschoolers, visual perception may more affects while developing literacy. Despite visual and auditory perception does important role for reading, literacy is based on visual text and it makes children to use visual chunking strategy. Therefore,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early literacy test contains much more base abilities, and literac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iteracy instruction recommend must consider the wordlik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