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소현-
dc.contributor.author장지은-
dc.creator장지은-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57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57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6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60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820-
dc.description.abstractThe inclusive classroom is an ideal place to naturally learn and utilize social interactions and social skills essential for young children in various situations. However, social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may not occur naturally,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not accepted by peers simply in an inclusive education setting. The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not only promote the various area of development, but are also closely related to social acceptance. In particular, early childhood is both the most effective time to develop social and emotional skills related to social interaction, and the important period fo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which is the basis of social life. The Nuri-curriculum, a preschool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emphasizes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practice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consider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with others in a society that lives together. In addition, the atmosphere of a receptive inclusive class positively influences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young children’s social acceptance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due to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Classwide social skill interventions are necessary, considering that social skill interven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a natural context,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the lack in generalization ability, and peer-to-peer social skills and roles are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in acquiring, accepting, and interac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conducted the classwide social skill intervention based on the Nuri-curriculum in 3-year-old inclusive classroom and examined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acceptance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and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do research, the 3-year-old inclusive classes of S and Y preschools located in I city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o implement the intervention, respectively. This intervention consists of a total of 24 sessions that are appropriate for developmental level. Furthermore, two types of social skill instruction were naturally embedded into the typical circle time sessions and large or small group activities of the inclusive class. Both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xperimental group implemented the intervention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researcher and teachers’ councils. In this study,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to examine the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and the social acceptance of young children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procedure consisted of pre-test, teacher orientation, intervention, and post-test. Meanwhil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lay scene of the child with disabilities in free choice time was collected and analyzed over total 4 times. In additio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used a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PBQ) developed by Weir and Duven(1981) to examine the pro-social behavioral changes of young childr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Moreover,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the social acceptance of young children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young children were assessed using the pictures and names of every child. The results of both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and social acceptance of young children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peer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ates of peer interaction were measured with the partial-interval recording method during free choice time. The rates of peer interaction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and further study on the change in the rates of interaction initiated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eer-initiated interaction were conducted as wel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pro-social behavior of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creased after implementing the classwide social skill intervention based on the preschool curriculum,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social acceptance of the young children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creased after implementing the classwide social skill intervention based on the preschool curriculum,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effect of classwide social skill intervention based on the preschool curriculum on the peer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the total rates of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e-test. In addition, when comparing the rates of interaction initiated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those initiated by peer, the rates of interaction initiated by pe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number of pe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reased, and the content of interaction varied. The implementation of this intervention increased both the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and the social acceptance of young children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This intervention is also effective in the positive change of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presented a system for social skill education based on the preschool curriculum.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collaboratively implemented the intervention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classwide social skill intervention based on the preschool curriculum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통합교육 환경은 유아기에 필수적인 상호작용 및 사회적 기술을 다양한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장애 유아는 전형적인 발달을 하고 있는 일반 유아와는 다르게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되는 것만으로는 또래에게 쉽게 수용되거나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는 못한다. 또래와의 활발한 사회적 상호작용은 다양한 영역의 발달을 촉진시켜줄 뿐 아니라 사회적 수용도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특히 유아기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된 사회성 기술 및 사회·정서적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시기이자 사회생활의 기본인 친사회적 행동이 형성되고 발전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서도 더불어 사는 사회에서 필요한 타인에 대한 이해, 배려, 나눔, 협력 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 향상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또한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 향상으로 인한 수용적인 통합학급의 분위기는 장애 유아의 상호작용과 이들의 사회적 수용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모든 유아의 사회적 능력 향상과 친사회적 통합학급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 학급차원의 사회성 기술 중재는 필요하다. 통합학급 모든 유아에게 실시하는 사회성 기술 중재는 자연스러운 맥락에서 실시되어야 한다는 점, 장애 유아의 일반화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 그리고 통합학급에서 또래의 사회적 능력과 역할이 장애 유아의 사회적 기술 습득, 상호작용 및 또래 수용에 중요한 환경적 변인이 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보편적 차원의 사회성 기술 중재가 필요하며 이는 유아특수교육의 추천되는 실제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만 3세 통합학급에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장애 유아 수용도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I 시에 위치한 S 와 Y 단설 유치원의 만 3세 통합학급을 한 학급씩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에 본 중재를 실행하였다. 본 중재는 사회성 기술 내용 선정을 위한 절차를 거쳐 발달 수준에 적절하고 통합학급에 필요한 17가지 사회성 기술 내용을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 자연스럽게 삽입하여 이야기나누기 활동과 대·소집단 활동을 통해 실행할 수 있도록 총 24회기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 통합학급의 유아교사와 특수교사는 연구자와 교사 협의회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중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장애 유아 수용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였고, 실험집단 장애 유아의 상호작용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사례연구를 적용하였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한편 실험집단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자유선택활동 시간 중에 장애 유아 별로 총 4회(사전검사 1회, 중재 기간 중 2회, 사후검사 1회)의 놀이 장면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인인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교사가 일반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자가 번안 및 수정한 Weir와 Duveen(1981)의 친사회적 행동 검사지(이하 PBQ)를 평정하였다. 또한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 유아가 모든 유아의 사진과 이름이 적힌 카드를 활용하여 놀이하고 싶은 정도를 평정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한편 본 중재가 실험집단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McConnell, Odom, Chandler와 McEvoy(1989)가 개발한 상호작용 관찰체계에 의한 정의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자유선택활동 시간 중 10분을 10초씩 총 60구간으로 나누어 부분 간격 기록법(partial interval recording)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전체 발생률을 측정하였으며 나아가 장애 유아가 시작한 상호작용 및 또래가 시작한 상호작용 발생률로 나누어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만 3세 통합학급에 속한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장애 유아 수용도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를 실행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속한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사전-사후검사의 변화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를 실행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 사전-사후검사의 변화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가 실험집단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장애 유아의 전체 상호작용 발생률은 개인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중재 시작 이후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장애 유아가 시작한 상호작용과 또래가 시작한 상호작용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 중재 후 또래가 시작한 상호작용 발생률이 장애 유아가 시작한 상호작용 발생률에 비해 더욱 큰 폭으로 향상되었고 상호작용에 참여한 또래와 상호작용의 내용도 다양해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는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장애 유아 수용도를 증가시키고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발달 수준에 적절한 사회성 기술 내용을 삽입하여 자연스러운 일과 안에서 효과적으로 사회성 기술 교육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유아교사 및 특수교사가 협력적으로 중재를 실행함으로써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육과정 기반의 사회성 기술 중재의 지속적인 실행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 정의 7 1.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 7 2. 친사회적 행동 7 3. 장애 유아 수용도 8 4. 또래 상호작용 8 II. 이론적 배경 10 A. 유아기 사회성 발달 및 장애 유아의 사회적 특성 10 1. 유아기 사회성 발달 10 2. 장애 유아의 사회적 특성 18 B. 통합 유치원에서의 사회성 중재 21 1. 사회성 기술 지도 21 2. 학급차원 사회성 중재 27 3.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사회성 기술 중재 39 III. 연구 방법 56 A. 연구 참여자 56 1. 일반 유아 57 2. 장애 유아 58 B. 연구 일정 62 C. 연구 장소 63 D. 독립변인: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 64 1. 중재 개요 및 구성 요소 64 2. 중재 구성 절차 66 3. 중재 실행 방법 80 E. 종속변인 및 자료 수집 83 1.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83 2.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 85 3.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85 F. 실험 설계 및 절차 87 1. 실험 설계 87 2. 실험 절차 88 G. 자료처리 및 분석 92 1. 연구문제 1, 2의 자료처리 방법 92 2. 연구문제 3의 사례분석 방법 92 H. 관찰자 훈련 및 관찰자 간 신뢰도 93 I. 중재 충실도 94 1. 연구자 중재 충실도 94 2. 교사 중재 충실도 95 J. 사회적 타당도 96 IV. 연구결과 100 A.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100 B.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가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101 C.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102 V. 논의 및 제언 113 A. 논의 114 1.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친 영향에 대한 논의 114 2.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가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에 미친 영향에 대한 논의 119 3.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친 영향에 대한 논의 122 B. 연구의 의의 128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31 참고문헌 134 부록 159 ABSTRACT 1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162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장애 유아 수용도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Classwide Social Skill Intervention Based on the Preschool Curriculum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Acceptance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and Peer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Chang, Jee Eun-
dc.format.pageix, 17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