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4 Download: 0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모바일기반 현장체험학습 활동 분석

Title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모바일기반 현장체험학습 활동 분석
Other Titles
Using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Mobile-based Field Experience Learning Activity Analysis : Focused on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윤소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미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역사적 맥락에서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모바일 기반 현장체험학습 활동체계를 분석하고, 그들이 직면하는 모순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기반 현장 체험학습에 참여한 영재학급 학생들의 모둠별 학습 과정을 관찰하고 동영상을 촬영하였다. 녹화된 영상 자료와 영재학급 담당교사와의 면담내용을 전사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학습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 CHAT)을 통해 학습자를 둘러싼 다양하고 역동적인 학습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바일 현장체험학습에서 영재학생들의 활동체계 구성요소와 내용을 체계화할 수 있었다. 학습자는 학습 목표를 해결하기 위해 도구와 규칙, 분업을 고려하며 목표를 실현시켜 나가고 있었다. 영재학생들은 도구에서 직접관찰하기를 사용하는데 모순을 가졌다. 이들은 직접관찰하기 대신 인터넷 검색이나 활동하는 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또한 영재학생들은 과정중심학습과 협력학습을 위한 규칙과 역할에 모순을 가졌다. 학생들은 결과중심, 개인학습의 규칙과 역할을 주장하면서 새로운 학습 환경에서 모순을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모순을 정리하면, 첫째 정답찾기 대 탐구적 해결, 둘째 혼자하기 대 같이하기 해결 사이의 모순으로 정리할 수 있다. 영재학생들에게 나타난 역사성은 과거학습경험과 현장체험학습경험사이의 모순으로 이해되어졌다. 또한 영재학생들은 변화된 체계를 통해 협력적, 탐구적 학습 공동체 형성 기회를 얻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학습자의 역사성을 내포하는 학습목표는 활동체계를 변화시키므로, 학습자의 학습목표는 새로운 학습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과정 분석은 모순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고, 새로운 학습공동체 형성 가능성을 시사하고, 영재학생들의 학습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변혁적 학습 환경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bile-based field experience learning activiti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and understand the learning process of students through the contradictions they face. To this end, Student's mobile data, recorded video, and teacher interview were gathered and transcribed for analyzing data. We then analyzed the diverse and dynamic learning processes surrounding the learners from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possible to systematize elements and content of activity system of gifted students in mobile field experience learning. The learner was considering the tools, rules, and division of labor to solve the learning objectives and realizing the goal. Gifted students used Internet search and field observation as learning tools, and faced contradictions in using direct observation as a learning tool. In addition, students faced contradictions by forming rules and roles in process-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he cause of this contradiction was in finding the students' correct answers. The learner's historical background between students' past learning experiences and field experience learning experiences influences the change of the activity system. It is meaningful that the learner understands the changed system to get the chance of forming a collaborative inquiry community. Therefore, this activity analysis suggests that goal setting and learning motivation are important for learning. It is meaningful that the contradictions of the gifted class students can understand the gifted learning culture and give implications for the transformational learning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