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1 Download: 0

백제어의 자음 연구

Title
백제어의 자음 연구
Other Titles
A Phonological Decipherment on the Consonants of Old Korean in Baekje- Based upon the phonological correspondences of Sinographic Readings
Authors
XU YE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창원
Abstract
百濟(B.C. 18~660)는 지정학적으로 한반도의 심장부인 한강변에 왕도를 정하고 대외적인 교류를 적극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정치, 문화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했던 진취적인 나라이다. 고대 삼국 중 백제 문화는 高句麗(B.C. 37~668), 新羅(B.C. 57 ~668)와 다른 독특한 성격과 양상을 가지면서 발전하였다. 또한 백제는 주변에 있는 東晉(317~420) 및 南朝(420~589) 시기의 중국, 飛鳥 時代(593~710)의 일본과도 교섭과 교류 면에서 가장 활발한 면모를 보여 주었다. 백제어(Old Korean in Baekje)란 고대 시기 한반도의 정치사적인 구분에 부합하는 한 나라인 백제라는 국가에서 사용했던 언어를 가리킨다. 백제의 정치사에 근거하면 백제어는 기원전 18년부터 660년까지 漢江 流域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에 西南部에서 사용되었던 韓系의 언어라고 할 수 있다. 백제어의 연구는 언어학적인 연구는 물론이려니와 고대 한반도 지역과 관련된 고고학, 역사학, 인류학, 지리학, 언어지리학, 사회언어학 등 인접 과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백제는 역사학적으로 중국 및 일본과 교류가 활발하였다는 점에서 중국, 한반도, 일본(문헌 자료가 편찬된 연대순으로)에 산재하여 있는 백제어 관련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한 백제어의 자음 연구는 타당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본격적으로 백제어의 자음 연구를 진행하기 전에 백제어를 연구사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한국의 백제학 연구사를 기준으로 하여 백제어 연구가 이루어진 시기를 초창기(The Start-up Phase, 1879~1970)와 발전기(The Development Phase, 1971~현재)로 나누고,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 구체적인 연구 내용과 성과, 학계에 미친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사적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백제어 음운 연구의 새로운 연구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백제어의 자음 연구를 위해서는 우선 백제어를 보여 주는 문헌의 전체 모습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한국, 중국, 일본의 문헌 자료에 나타나는 백제어의 어휘를 조사·정리하여 백제어의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竭澤而漁(못이나 호수의 물을 퍼내고 물고기를 잡는다는 뜻이다)와 같이 3세기 말부터 13세기 말까지 나타난 중국의 正史類 자료, 金石文類 자료, 韓國의 史書類 자료, 金石文 및 木簡類 자료, 일본의 史書類 자료, 氏族 관련 史料, 推古遺文 資料 등에 대해, 그 각각에 기재되어 있는 백제어의 어휘를 직접 조사한 후 地名·人名·王名·官職名을 포함한 백제어의 어휘에 나타난 음표자(phonograph)를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印歐語를 중심으로 한 역사비교언어학 방법론을 기반으로 백제어의 자음 연구에 한자음의 음운 대응(phonological correspondence of Sinographic readings)이라는 개념을 적용시켰다. 먼저 백제학과 관련된 歷史學·地名學의 연구와 比定에 근거하여, 백제어의 어휘를 표기한 음표소들을 한자음의 음운 대응으로 맞추고, 漢語, 韓國語, 日本語의 음운 체계에 대한 통시음운론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백제어의 자음 체계를 해독하였다. 또한 본고는 기본적으로 백제어의 어휘에 나타난 음표자들이 漢語 음운사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대하여 余迺永(2008)의 『新校互註宋本廣韻』을 참조하였으며, 시기 구분은 Schuessler(2009)에서 재구한 最低 限度 漢語 上古音(Minimal Old Chinese), 後漢音(Later Han Chinese), 中古音(Middle Chinese) 을 따랐다. 한국어의 통시음운론에 대한 연구는 주로 李基文(1972, 1998, 2011)을, 중세 한국한자음에 대한 연구는 朴炳采(1971), 權仁瀚(1997ㄴ, 2005, 2009ㄱ, 2009ㄴ), 伊藤智ゆき(2007) 등의 연구 성과를 참조하였다. 또한 上代 日本語에 대한 연구는 주로 馬渕和夫(1999), Miyake(2003a)와 Frellesvig(2010)을, 推古遺文 上代特殊假名, 萬葉假名에 대한 연구는 大矢透(1911), 大野晉(1953), 森博達(1991)와 Vovin(2009)를, 일본한자음에 대한 연구는 李敦柱(1995), 築島裕(1995, 1997)와 沼本克明(1986, 1997) 등의 연구 성과를 참조하였다. 본고의 Ⅱ장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백제어의 자음을 해독하였다. 음절초의 자음 체계는 **p-, **t-, **k-, **m-, **n-, **s-, **ts- 총 7개를 해독하였고, 중고 漢語 喉塞音 /ʔ/의 경우는 독립적인 음소로 존재하지 않았고 零聲母 **Ø로 해독하였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유음의 경우에 대하여 어중 자리에 나타난 **-r-를 해독하였고 이 **-r-가 어중 자리에 일어난 탈락 현상을 분석하였다. 본고 Ⅳ장에서는 백제어의 음절말에 나타난 자음 **-l, **-s, **-n, **-ŋ 총 4개를 해독하였다. 그중 음절말 자리에 나타난 **-l, **-s 자음은 백제어 C1V1.C2V2형 어휘의 음절 구조가 단음절인 C1V1C2’로 변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음절말 모음 V2의 탈락과 C2의 미파화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음절 구조의 변화는 (C)(G)VC형 음절 구조인 한자어의 차용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추론하였다. 본고의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요약하고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에 대한 한계점을 재반성하였으며,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반도 언어 계통론 연구의 일부로서, 韓系語 연구의 기초적인 작업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고대 한국어의 연구 및 발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This dissertation aims to decipher the consonants system of Old Korean in Baekje which is based upon the phonological correspondences of Sinographic readings which can be attested in Chinese, Korean, and Japanese chronicles, epigraphs and wooden tablets. Chapter Ⅰ firstly discusses the histrory of phonological studies on Old Korean in Baekje from the late of 19th century to the contemporary era which can be divided into two phases: The Embryonic Phase (1879~1970) and The Development Phase (1971~). The Embryonic Phase started with the toponymy research of Korean Peninsula by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Development Phase (1971~) was initiated by the publications of Baekjemunhwa, Baekjeyeongu, MahanBaekjemunhwa in South Korea, mostly including some short introductory papers, Samguksaki(1145) Jiriji based studies, Nihonshoi(720) based studied, and all chronicles combined studies, epigraphs and wooden tablets based studies. Secondly, the detailed methodologies are proposed, which include the background of history studies on Baekje; the background of historical linguistics which i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phonological correspondences of Sinographic readings in lexicons of Old Korean in Baekje; the entire sequence of this study including the textual research of all first-hand materials, the collection of all Baekjeic lexicons and phonographic morphemes, the match-made of the phonological correspondences of Sinographic readings in Old Korean in Baekje, based on archaeological, historical, toponymy studies, and the phonological analysis of Sinographic readings. In Chapter Ⅱ, textual research was carried out thoroughly. The materials used include all Baekjeic first-hand materials of Chinese, Korean, and Japanese Chronicles from the late 3rd century to 13th century, as well as epigraph materials and wooden tablets in both China and Korea. Also, Old Korean Proper Nouns such as place names, personal names, and Kings names were collected to pick out all phonographs of Old Korean in Baekje for phonological analysis in the phonological correspondences of Sinographic readings. Moreover, to decipher the consonants system of Old Korean in Baekje, the explanations of all phonographs in Guangyun are based on Yu(2008), the Chinese phonological systems include the Minimal Old Chinese, Late Han, Middle Chinese which are mainly based on the reconstructions in Schuessler(2009). The historical Korean phonological systems include Old Korean, Middle Korean, Middle Sino-Korean which are mainly based on the studies of Park(1971), Lee(1972, 1998, 2011), Lee(1995), Kwon(1997ㄴ, 2005, 2009ㄱ, 2009ㄴ), Ito(2007). The historical Japanese systems include archaic kana orthography studies, Old Japanese and Ko-on, Go-on and Kan-on of Sino-Japanese which are mainly based on ōya(1911), Vovin(2009), Miyake(2003a), Frellesvig(2010), Tsukishima(1995), Numoto(1986, 1997). At last in Chapter Ⅱ, there are 7 consonants as initials in a syllable that can be deciphered: voiceless bilabial plosive **p-, voiceless alveolar dental **t-, voiceless velar **k-, bilabial nasal **m-, alveolar dental nasal **n-, voiceless alveolar dental fricative **s-, and voiceless alveolar affricate **ts-. The oppositions of voicing and the oppositions of aspiration cannot be attested. The glottal initial /ʔ/ which is reconstructed in Middle Chinese is deciphered as Zero **Ø in the phonographs of Baekje. Chapter Ⅲ deciphers the consonant **-r- as a liquid that can be attested between syllables, instead of an initial consonant or coda in a word. And the elimination of /-r-/ as a special phonological change is well attested in old Korean lexicons including Baekje’s. Chapter Ⅳ deciphers the consonants **-l, **-s, **-n, **-ŋ as coda in a syllable in Old Korean in Baekje. Moreover, the lateral **-l is explained as the elimination of vowel V2 and the unrelease of C2 in a C1V1.C2V2 word structure. And unreleased voiceless alveolar dental fricative **-s is explained as the elimination of vowel V2 and the unrelease of C2 in a C1V1.C2V2 type word or as a genitive case between two words. The change of syllabic structural in C1V1.C2V2 type word is explained as a result of language contact with Chinese and Chinese characters whose syllabic structure is (C)(G)VC. Chapter Ⅴ concludes with an appeal for the trilateral cooperation from Chinese, Korean and Japanese historical phonology studies which include the sounds of Old, Late Han, Middle Chinese, Sino-Korean studies, and Sino-Japanese studies, as well as the interdisciplinary work on Archaeology, History, Toponymy to decipher the phonological systems of Old Korean. Meanwhil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hich include recriticizing all first-hand materials, reevaluating and developing the methodology in old Korean phonology studies are reflected. Finally the future research outlook on old Korean studies is put forward reasonab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