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0 Download: 0

조선학운동(朝鮮學運動)의 철학적 의의

Title
조선학운동(朝鮮學運動)의 철학적 의의
Authors
이주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자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학운동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다각도에서 조망하는 것을 통해 조선학운동이 당대 조선의 시대 이념을 전환시키고자 했던 철학적 운동이었음을 구체적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동아시아는 서구 근대 ‘문명’을 보편으로 삼고 이에 도달하고자 자신들의 지적 전통을 재조정하는 과정을 통해 근대 전환기를 맞이하게 된다. 특히 번역을 통한 근대 문물의 수용은 당대 지식인들에게 기존의 세계관을 조정하고 전통적 가치를 상징하는 한문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요구하게 된다. 일본과 중국은 계몽을 통한 ‘국민’의 형성을 위해 번역을 통하여 서구 근대 담론을 수용했다. 이 때 번역은 서로 다른 언어 간의 치환일 뿐만 아니라, 세계관의 전환을 의미하기도 했다. 그들은 번역과 교육을 통해 상이한 사회적 배경에서 사회 진화론을 수용하며 근대 국가를 구상해나갔다. 후쿠자와 유키치와 량 치차오는 각각 일본과 중국의 ‘국민’을 계몽시킴으로써 근대적 국가를 수립할 사상적 토대를 마련한 사상가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맥락에서 조선에 ‘문명’의 담론이 유입되었을 때, 그것은 이미 일본과 중국의 목적 의식대로 변용된 것이었다. 변동하는 세계 질서 속에서 조선의 위치를 재조정하는 요구는 조선 사회에도 제기되었다. 조선의 지식인들은 그들이 기획하는 근대 국가의 양상과 그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에 의해 서로 다른 양상을 띠게 된다. 일본과 중국의 목표 의식이 반영된 ‘문명’은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사회 진화론을 수용하여 조선 민족에게 교육과 계몽을 강조하고, 기존의 지적 전통을 근대적으로 재구성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 자강운동기 조선인들이 여러 신문과 잡지에서 사회 진화론을 번역하여 소개하고, 한문이라는 지적 전통을 근대적으로 출판함으로써 근대 담론을 비춰볼 수 있는 통로로 활용한 것은 모두 ‘문명’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그러나 이 ‘문명’에 내재한 제국주의의 옹호 논리와 같은 한계점은 곧 ‘개조’라는 사상적 대안을 이끌어낸다. 제 1차 세계 대전 이후 조선인들은 독립의 방향을 모색하며 ‘개조’의 구호 하에서 러셀의 사회개조론을 수용하였고, 각자의 사상적 지향점에 따라 방점을 달리 두게 된다. 20세기 초 조선의 지식인들은‘문명’과‘개조’의 담론을 통해 보편적인 세계와 특수한 조선의 관계를 성공적으로 규명할 수 있기 위한 사고 실험을 지속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조선 사회를 근대적 시간관으로 이행시키려던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독립이라는 지상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다시금 지식인들을 집결시킬 수 있는 대안이 요구되었다. 그 대안으로써 제안된 새로운 사상적인 구호는 다름 아닌‘조선적인 것’이었다. 이 ‘조선적인 것’은 민족문화와 역사를 재구성하는 문화적 기획의 선전 구호였고, 이러한 사회적 맥락에서 ‘조선학’이라는 개념의 사용이 빈번해졌다. 결국 이 조선학의 문제 제기는 조선학운동으로 응집되었다고 생각해볼 수 있겠다. 1930년대 조선학운동의 지적 영향권에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조선을 학술 대상으로 삼고자 했던 지식인들은 단절되었던 ‘조선’의 지적 전통에 시대적 의의를 부여하면서 재조명하고, 그것을 다시 보편적인 세계 질서 속에서 잇고자 하는 공통의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당대의 지식인들에게 ‘조선’은 잃어버린 국가 그 이상이었다. 그들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조선을 민족적인 색채를 부여하여 다시 호명하면서 독립과 근대국가 건설이라는 지상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들에게 ‘조선’은 모종의 정치적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사상적 구호였고, 조선학운동은 이 담론에서 각기 다른 목적과 지적 배경 간의 충돌이 가시적으로 드러난 결과였던 것이다. 조선학운동에서 형성된 담론은 실학이라는 이름으로 응축되면서 해방 이후 남북한의 사상계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조선학운동에서 형성되었던 담론은 여전히 지금 한국의 사상계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조선학운동이 철학적 사유의 결과임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Joseonhak Movement’ from various angles. In doing so, this study attempted to closely understand that the Joseonhak Movement was a philosophical movement to aim at changing the ideology of the Joseon Dynasty of the time in the specific context. East Asia came to a transition period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ir intellectual traditions in order to reach the universality of the Western ‘civilization’. Especially, the acceptance of modernity through translation demanded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 to reconcile the traditional world view and reconstruct the Chinese text symbolizing the traditional values. Japan and China embraced the Western modern discourse through translation for the formation of 'people' based on enlightenment. At that time, translation implied not only a substitution between different languages but also a transformation of worldview. They embraced social evolution in different social backgrounds through translation and education and envisioned a modern state. Fukuzawa Yukichi and Liang Qichao were the thinkers who provided the ideological foundation to establish a modern nation by enlightening the ‘people’ of Japan and China, respectively. In this context, when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was introduced to Joseon, the discourse had already been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goal consciousness of Japan and China. The demand to readjust the position of Joseon in the changing world order was also raised in the Joseon society. The intellectuals of Joseon differed in how they envisioned the aspects of the modern state how they tried to achieve their goals. The 'civilization' reflecting the goal consciousness of Japan and China influenced the intellectuals of Joseon to accept the social evolution theory and to emphasize education and enlightenment to the Korean people and reconstruct the existing intellectual tradition in a modern way. During the Strenuous Efforts Movement, all of the Korean people’s efforts to translating and introducing social evolution theory in various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publishing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Chinese literature in a modern way for a channel to show modern discourse were to achieve 'civilization'. However, the limitations such as the logic of the imperialist advocacy inherent in this 'civilization' led to an ideological alternative of 'reconstruction'. After the First World War, the Korean people sought Russell's social reconstruction theory under the slogan of 'reconstruction' in pursuit of independence and put different emphasis depending on each of their ideological orientations. That is, the intellectuals of the early Joseon in the 20th century continued the experiment of thinking to successfull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al world and the specific Joseon society in a discourse basis of ‘civilization’ and ‘reconstruction’ Nevertheless, as the attempts to shift the Joseon society to modern times failed, there was a need for an alternative to gather intellectuals to solve the issue of independence. The new ideological sloga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was 'the Joseonistic', which was a propaganda slogan of cultural project reconstructing national culture and history. The concept of 'the Joseonhak Movement' was frequently used in this social context. Eventually, the questioning by the Joseonhak Movement was regarded to be concentrated as the Joseonhak Movement The intellectuals who exchanged opinions with each other within the intellectual influence of the Joseonhak Movement in the 1930s and aspired to make Joseon as a scholarly subject, gave significance to the disconnected intellectual tradition of Joseon. They had a common objective of shedding light on the tradition and linking it with a universal world order. For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 'Joseon' was more than a lost country. They sought to solve the ideal task of establishing independence and modern nation by re-naming Joseon, which no longer existed, with nationalistic implications. To them, 'Joseon' was an ideological slogan that could bring some kind of political effects; the Joseonhak Movement was a result of the visible clashes between different objectives and intellectual backgrounds in this discourse. Given that the discourse formed in the Joseonhak Movement was tuned into ‘Silhak’ and influenced the ideological forma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it was found that the discourse formed in the Joseonhak Movement is still affecting the Korean ideological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oint out that the Joseonhak Movement was the consequence of philosophical though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