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7 Download: 0

중도입국 초등학생을 위한 협력학습 중심 한국어 교재 개발

Title
중도입국 초등학생을 위한 협력학습 중심 한국어 교재 개발
Authors
신지혜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한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포트폴리오는 중도입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문화적 적응과 학습자 동기부여를 고 려하여 개발되었다. 1장에서는 현재 한국어를 배워야 할 필요가 있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그 리고 한국어는 주로 어떤 사람들을 대상으로 교수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매년 어 린이 입국자 수가 증가하는 데에 비해 출간된 한국어 교재의 교수 대상은 아직도 성인에 초점 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런데 어린이 학습자를 위한 교수 방법 및 교수 내용은 성인과는 달라 야 하며, 이에 따라 어린이 학습자를 위한 별도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2장에서는 교재의 개발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검토 하였다. 최근의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여전히 학습자의 학습 환경이 열악한 경우가 많았으며, 학습자의 필요와는 달리 적절한 교육 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학습자들은 교육 현장인 학교와 또래 관계에서 적응하 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현장의 교사들은 충분하지 못한 수업 시간과 마구잡이로 섞인 반 편성으로 인하여 고충을 겪고 있었다. 무엇보다 현장의 교사들이 가장 문제로 여기는 것은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에 대하여 무기력하거나 동기가 없는 경우였다. 수업 시간과 반편성은 제도적으로 차츰 개선될 문제이나, 학습자의 무기력 혹은 동기 없음의 경우에는 제도적인 문 제가 아닌 관계로 이 교재 개발의 착안점이 되었다. 본 교재 개발은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 할 수 있고 다양한 한국어 수준을 가진 학습자를 통합할 수 있는 방법을 ‘전통놀이’에서 찾고 자 하였다. 3장에서는 교재 개발의 이론적 기초가 될 교수법으로 의사소통적 교수법과 협력 학습 접근 방법, 전신 반응 교수법 등을 살펴보았다. 본 포트폴리오는 기본적으로 ‘언어는 의사소통을 목 적으로 하기 때문에, 형태적(문법적) 학습이 아닌 의사소통적 활동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는 의사소통적 교수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나 어린이 학습자의 학습 현장에 대한 적응 및 효과적인 교수 방안과 같은 필요성으로 인하여 학습자 간의 협력을 최대한 이끌어낼 필요성이 있었다. 따라서 ‘협력학습접근방법’이란 이론을 적용하였다. 협력학습이란 학습자들끼리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하는 것으로, 경쟁적 교실환경이 아닌 협력적 활동들을 하도록 권장한다. 협력학습 접근방법을 통해 기대할 만한 효과는 다음과 같 은데, 첫째, 다양한 유형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제2언어 연습의 빈출도와 다양성이 증가되거나, 둘째, 인지발달과 언어 기능 향상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언어 발달과 언어 사용을 이끌 가능성 이 크며, 셋째, 언어를 ‘일반교과 중심교수(content-based instruction)’과 통합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넷째, 개념 학습은 물론 언어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과정의 자료를 포함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다섯째, 이를 통하여 교사는 의사소통을 강조하는 기술과 같은 새로운 전문 기능들을 자유롭게 완전히 습득할 수 있다. 여섯째, 학생들은 서로서로가 학 습의 자원(resources)으로 행동할 기회를 갖게 되므로, 그들의 학습에서 더 적극적인 역할을 맡게 된다. 이와 같은 협력학습접근방법의 이점들을 십분 활용하되, 어린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 큼, 온 몸으로 뛰어 놀면서 한국어를 배울 수 있다는 데에서 ‘전신반응교수법’의 이론도 도입 하였다. 전신반응교수법은 많은 부분에서 반론이나 문제점이 발견되었지만, 그래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외국어 교수 현장에서는 아직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나 초급단계의 단순한 언어상황에서 전신반응교수법은 상당히 유용하며, 또 재미있다. 그러나 이 교재 개발 에서는 본격적인 전신반응교수법의 교수방법론보다는 그 기본 전제들, 즉 어린이 학습자가 운 동과 관련된 뇌의 일부분으로 언어를 습득한다는 데에 착안하였다. 따라서 몸을 움직이는 놀 이 상황에서 한국어를 배우도록 지도하여 수업시간이 학습자와 교사에게 모두 즐겁교 효과적 인 시간이 되도록 하였다. 4장에서는 개발 교재의 교수요목과 세부 단원 구성을 제시하고, 개발 교재의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였다. 예상되는 교육적 효과로는 ① 학습자 동기부여, ② 학습자간 긍정적 관계 형성, ③ 발표 상황에서의 자신감 형성, ④ 학습자 신체 발달과 스트레스 해소 등이 있다. 교재 개발의 한계로, 학습자 다양성의 측면에서 중·고급 학습자는 ‘학습 도우미’의 역할로 참여하게 되므로 한국어 향상을 크게 기대할 수 없는 점, 그리고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없었 다는 점 등이 부족한 부분으로 남는다. 그럼에도 교사와 학습자들에게 즐겁고 의미 있는 한국 어 수업시간을 선사하기 위한 교재 개발을 시도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하고 싶다.
Description
석사학위를 수여받기 위해 제출된 포트폴리오임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한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