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8 Download: 0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 경험이 있는 미숙아 어머니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Title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 경험이 있는 미숙아 어머니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in mothers after giving birth premature infant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uthors
이현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숙정
Abstract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 경험이 있는 미숙아 어머니의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미숙아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신생아중환자실에서 7일 이상 입원한 경험이 있으며, 미숙아의 교정 나이가 18개월 이하인 어머니 중에서 미숙아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이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미숙아 어머니 105명이다. 웹기반 설문조사를 위해 미숙아 부모 전용 온라인 커뮤니티에 모집문건을 게시하였으며, 모집문건 하단의 링크를 통해 연구 설명문을 읽은 뒤 설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도구는 회복탄력성 측정을 위해 Connor와 Davidson (2003)이 개발한 회복탄력성 척도(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의 한국어 버전으로 측정하였고, 사회적지지는 Zimet, Dahlem, Zimet와 Farley (1988)이 개발한 사회적지지 다차원 척도(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를 신준섭과 이영분(1999)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외상 후 성장은 Tedeschi와 Calhoun (1996)이 개발한 외상 후 성장척도(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를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 김교헌(2009)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도구인 한국어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총 105명으로 출산 시 평균 연령은 31.41±3.63세로 출산 시 연령이 만 35세 이상에 해당하는 고령 산모는 19%(20명)이었으며, 현재 직업이 없다고 답한 대상자가 44.8%(4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54.3%(57명)이 종교가 있다고 답하였다. 분만형태는 제왕절개가 69.5%(73명)으로 더 많았고, 계획된 임신 여부는 56.2%(59명)였으며, 난임 시술을 통한 임신인 대상자가 22.9%(24명)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100점 만점에 평균 61.51±11.99점, 사회적지지는 5점 만점에 평균 4.01±.69점, 외상 후 성장은 80점 만점에 57.38±13.30점으로 측정되었다. 3. 대상자의 회복탄력성(r=.625, p<.001)과 사회적지지(r=.453, p<.001)는 외상 후 성장 정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회복탄력성(β=.541, p<.001), 출산 시 연령(β=.168, p=.028), 현재 직업 유무(β=.165, p=.049) 이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최종 모형은 외상 후 성장을 45.5% 설명하였다(F=13.662, p<.001). 본 연구 결과로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 경험이 있는 미숙아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은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출산 시 연령, 현재 직업 유무, 회복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숙아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키기 위해 대상자의 출산 시 연령, 현재 직업 유무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미숙아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의 가장 큰 예측요인으로 확인된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해 비슷한 스트레스 요인을 가지고 있는 자조 모임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간호 중재를 함께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in mothers after giving birth to premature infants. To provide primary resources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that encourages the post-traumatic growths in moth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have been hospitalized for more than 7 day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d have premature infants with a corrected age of fewer than 18 months. The data was gathered from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from the online community and self-help organizations between January 15th, 2019 and January 25th, 2019. From those, 105 mothers who agreed to take part were gather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Using an online survey, a recruitment paper was uploaded on the online community for the parents of premature infants which included a link to a research explanation and then the actual survey. To measure the resilienc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in korean version was used, and to measure social support Multidimensional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created by Zimet, Dahlem, Zimet and Farley (1988) in Korean version that is translated by Shin & Lee (1999) was used. Post-traumatic growth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developed by Tedeshchi and Calhoun (1996) then translated and supported by Song et al,. (2009). The data gather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otal subjects were 105, the average age of giving births was 31.41±3.63. Subjects with advanced maternal age(over the age of 35) were 19%. Subjects with no occupation were 44.8% and 54.3% had religion. For the type of births, the cesarean operation was 69.5%. 56.2% (59 subjects) had planned pregnancy and 22.9% used in vitro fertilization (IVF). 2. The mean resilience of subjects scored 61.51±11.99 out of 100, and mean social support was 4.01±.69 out of 5.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57.38±13.30 out of 80. 3. The resilience of the subject (r=.625, p<.001) and social support(r=.453, p<.001)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4. When conducted hierarchical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s of subjects, resilience (β=.541, p<.001), the age of giving birth (β=.168, p=.028), current job status (β=.165, p=.049)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mpacts on post-traumatic growth of the subjects. The final model of this research explained 45.5% of post-traumatic growth (F=13.662, p<.001).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dentified that resilience, social suppor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who are hospitalized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lso, the age of giving births, current job status, resilience affected post-traumatic growth. Therefore it is needed to create nursing interventions that use self-help organizations consist of those who share common stress factors. Because, improving resilience was found to be a major predictor in post-traumatic growth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Since improving resilience was found to be a major predictor in post-traumatic growth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