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 Download: 0

성폭력 피해소녀에게 적용한 역량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Title
성폭력 피해소녀에게 적용한 역량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empowerment enhancement program for girls who experienced sexual violence
Authors
이현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지영
Abstract
성과 관련된 피해 발생률은 점차 증가되고 있다. 성폭력 피해 중 대부분의 경우 미성년자에게서 일어나는데 청소년 여성들이 주로 성폭력 범죄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가해자 체포 및 처벌과 성폭력 범죄의 발생에 주로 관심을 기울일 뿐, 이로 인한 성폭력 피해 소녀들의 회복과 치유는 소외되었다. 성폭력 피해의 후유증은 신체적, 정서적, 성적, 사회적 등 거의 전 영역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이들을 대상으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2016년 경기 남부지역 성폭력 피해자 통합지원센터(거점)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전국 38개소 성폭력 통합지원센터에 배포되어 피해자들에게 교육되고 있으나 아직 그 효과성을 확인하지는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자에게 역량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유사 실험연구로 S시 소재의 5개 성폭력 피해자 통합지원센터에 내방한 성폭력 피해 소녀를 대상자로 편의 표집 하였다. 실험군 24명, 대조군 23명이었으며 실험군은 역량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기존에 센터에서 시행되던 지지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역량증진 프로그램은 매 주 2회기씩 4주 동안 총 8회기로 운영되었으며 회기당 소요시간은 60분이다. 성 지식, 성 태도, 투지, 개인내적 임파워먼트, 대인관계적 임파워먼트를 확인하기 위해 교육 전·후 자기 설문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 for Wi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역량증진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변수에 대한 점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test로 분석하였고, 변수에 대한 점수 변화의 차이는 Paired t-test와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증진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성 지식, 성 태도, 투지, 임파워먼트 점수 차이’검증 결과, 성 지식은 실험군이 18.88점(±1.65), 대조군이 17.13점(±2.26)으로 실험군이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2.981, p=.003). 투지는 실험군이 38.46점(±4.51), 대조군이 34.35점(±5.36)으로 실험군이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2.510, p=.012). 그리고, 성 태도, 개인 내적 임파워먼트, 대인관계적 임파원먼트는 그룹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지식과 투지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성 태도와 임파워먼트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제1가설은 일부 지지되었다. 둘째, ‘역량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성 지식, 성 태도, 투지, 임파워먼트에 대한 점수 변화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검증 결과, 실험군의 경우 성 지식(2.42±1.69), 성 태도(6.25±4.07), 투지(4.33±4.01), 개인 내적 임파워먼트(7.67±6.32), 대인관계적 임파워먼트(7.46±5.63) 점수가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대조군은 사전·사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므로 제2가설은 지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4주간의 역량증진 프로그램은 성폭력 피해 소녀의 성 지식, 성 태도, 투지,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 지지 상담 프로그램에 비해 성 지식과 투지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여 역량증진 프로그램이 성폭력 피해 소녀의 역량 강화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the empowerment enhancement program on the sexual knowledge, sexuality, grit and empowerment for the girls who underwent sexual violence. This quasi-experimental research was based o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A total of 47 girls experienced sexual violence were recruited from five integrated support center for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 S city. Participants were allocat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24) and a control group (n=23).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2th to April 30th, 2019.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n empowerment enhancement program while th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eviously operated support counseling program. The empowerment enhancement program was provided for eight sessions for four weeks, twice a week, and takes about 60minutes per session. Self-examination method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education to check sexual knowledge, sexuality, grit, individual internal empowerment and interpersonal empower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23. to calculated the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test, paired t-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exual knowledge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z=-2.981, p=.003). The grit score of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z=-2.510, p=.012). Sexual attitude and empowerment scor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ual knowledge (t=-4.135, p<.001), sexuality (t=-7.528, p<.001), grit (t=-3.808, p<.001), individual internal empowerment (t=-5.941, p<.001), interpersonal empowerment (t=-6.495, p<.001)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variables in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organized considering the approach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to the physical, emotional, sexual, and social areas. Through this program, we identified the sexual knowledge, sexuality, grit, empowerment and influence of the girl who suffered from sexual violence, and checked how the program to enhance the empowerment and verified to be effective. Therefore, it showed that this program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