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선희-
dc.contributor.author공혜림-
dc.creator공혜림-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41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4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0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03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75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the process of the liturgical renewal of the Oxford Movement in England in the nineteenth century, with its emphasis on rituals. The implication of this emphasis can give a clue for Korean church how to orient its liturgical renewal. Korean church has never stopped discussing and practicing worship renewal all through its history. The main stream of the current worship renewal turns to restore the past worship tradition which highlighted liturgy. There is a concern, however, that liturgical worship may overly focus on the presider, giving her/him an excessive authority. The Oxford Movement is an example that worship renewal through the liturgical restoration was in fact abused to reinforce presider(priest)’s authority. The Oxford Movement started out as a rebellion against Parliament's invasion of the Church of England and priests’ authorities. The Oxford activists invoked the apostolic succession of their priests to establish the independent authority of the Church of England. They sought to validate the legitimacy of the Anglican bishops and priests, claiming that they were the successors of the apostles chosen by Jesus and his disciples. To make their point stronger, they attempted to restore the doctrine and rituals of the medieval Roman Catholicism, whose priests exercised greatest authority and power. The Oxford activists retrieved Transubstantiation of the Roman Catholic, saying the bread and wine changed into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through the consecration by priests in Holy Communion. This doctrine, which was combined with that of apostolic succession, emphasized that sacred transformation of holy objects was possible because the priests possessed the power passed down from Jesus. Thus, the Roman Catholic interpretation of Holy Communion ended up highlighting the authority and role of the priest in church. Such doctrinal shift led to changes in the appearance of the Church of England. The priests came to follow the ritualistic splendor and glamor of the medieval Roman Catholicism with a desire to match rituals, vestments, ornaments, as well as the church buildings and chapels with their authority. Korean church has to note that the Liturgical restoration by The Oxford Movement was to restore the priestly authority, when it discusses and practices its own liturgical renewal. Prior to the restoration of the past liturgical tradition, Korean church should reflect on the example of the Oxford Movement to make a right decision for its successful liturgical renewal, avoiding possible abuse for the reinforcement of presider’s authority as discussed in this thesis.;본 논문은 19세기 영국에서 일어났던 옥스퍼드 운동(Oxford Movement)의 예전 갱신의 진행 과정을 설명하고, 예전성 강화를 통한 예배 갱신이 지니는 함의를 밝힘으로써, 한국 교회 예전 갱신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한국 교회는 역사적으로 부단히 예배 갱신을 논의하고 또 실행해 왔다. 그리고 현재 예배 갱신의 주 방향은 예전을 강조했던 과거의 예배 전통을 회복하자는 쪽으로 흐르고 있다. 그러나 예전적 예배로의 회복이 오히려 집례자에게 초점이 맞춰지고 그 권위로 수렴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 옥스퍼드 운동은 예전의 회복을 통한 예배 갱신이 실제로는 집례자의 권위를 강화하는 일에 오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역사적 예시이다. 옥스퍼드 운동은 영국 국교회와 국교회 사제들의 권위를 의회가 침범한 것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다. 옥스퍼드 운동가들은 국교회만의 독립적인 권위를 세우기 위해 사제의 사도적 계승을 핵심 교리로 내세웠다. 그들은 영국 국교회의 주교들과 사제들이 예수와 그의 제자들이 선택한 사도들로부터 계승되었다는 정통성을 주장함으로써 영국 국교회와 사제의 권위를 세우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주장을 더 굳건하게 만들기 위해 사제의 권위가 최고로 강력했던 중세 로마 가톨릭의 교리와 예전을 복구하고자 했던 것이다. 옥스퍼드 운동가들은 성찬식에서 사제의 축성을 통해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한다는 로마 가톨릭의 실체 변화설을 회복하였다. 이 교리는 사도적 계승 교리와 결합 되어, 사제들이 예수로부터 전달되어 내려온 능력을 보유하고 있기에 성물의 성변화(聖變化)가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성찬의 로마 가톨릭적 해석은 교회 안에서 사도의 권위와 역할을 강조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교리의 변화는 교회의 겉모습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사제들은 교회 건물의 건축과 예배당의 구성뿐만 아니라, 그에 걸맞은 예전과 예복, 장식품 등을 자신의 권위에 어울리게 만들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화려하고 장엄했던 중세 로마 가톨릭의 예전성을 답습하기 시작했다. 옥스퍼드 운동이 시행했던 예전의 복고는 사제의 권위 회복에 그 목적이 있었음을 염두에 두고 한국 교회 예전 갱신의 방향성을 모색해야 한다. 과거의 예전 전통을 예배에서 회복시키기 전에, 예전 갱신이 시대의 신학적 성찰에서 출발한 예전적 예배를 위한 것인지, 혹은 본 논문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집례자의 권위를 더 강화하려고 하는 다른 목적을 위한 것인지, 옥스퍼드 운동의 예를 거울로 삼아 경계하고 성찰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동기와 목적 1 B. 연구의 전개 8 Ⅱ. 영국의 종교 개혁과 토마스 크랜머 11 A. 토마스 크랜머의 종교 개혁 11 B. 토마스 크랜머의 반(反)가톨릭적 개혁 14 1. 토마스 크랜머의 공동기도서 14 2.공동기도서 분석 17 Ⅲ. 옥스퍼드 운동의 역사적, 신학사적, 예배사적 배경 22 A. 영국 국교회의 위기 22 1.공동기도서의 폐지와 공중예배규범의 도입 22 2.공동기도서의 재도입과 클라렌던 규칙 25 B. 종교적, 신학적 견해 29 1. 영국 국교회의 고교회주의 29 2. 존 웨슬리와 메소디스트(Methodist) 운동 35 Ⅳ. 옥스퍼드 운동 1833-1845 : 트랙태리어니즘(Tractarianism) 41 A. 옥스퍼드 운동의 원인 및 전개 43 B. 옥스퍼드 운동의 주요 사상 47 1. 시국을 위한 소책자(Tracts for the Times) 47 2. 옥스퍼드 운동의 에토스(Ethos) 57 C. 소책자 90번과 옥스퍼드 운동의 최후 62 1. 소책자 90번 62 2. 옥스퍼드 운동의 종결 67 Ⅴ. 옥스퍼드 운동의 예배학적 분석과 의의 70 A. 예전 복고 운동으로서의 옥스퍼드 운동 70 1. 토마스 크랜머의 성찬 71 2. 옥스퍼드 운동의 성찬 : 로마 가톨릭 의례로의 회귀 77 3. 성찬의 영성과 그 신비 87 B. 한국 교회에 주는 옥스퍼드 운동의 의의 92 1. 예전 복고 운동과 예전 갱신 운동 92 2. 말씀과 평등한 식탁의 회복 95 3. 단순 소박함의 예전 미학 98 Ⅵ. 결론 101 참고문헌 104 ABSTRACT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61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200-
dc.title옥스퍼드 운동(Oxford Movement)의 예배학적 함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Oxford Movement : Implications for Liturgical Renewal-
dc.creator.othernameKong, Hye Lim-
dc.format.pagevi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