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5 Download: 0

응급실 간호사의 고위험병원체 감염병환자 간호의도 및 관련 요인

Title
응급실 간호사의 고위험병원체 감염병환자 간호의도 및 관련 요인
Other Titles
Emergency Nurses’ Nursing Intention and associated Factors for Highly Infectious Disease
Authors
안정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희
Abstract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고위험병원체 감염병환자 간호의도와 관련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서울시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로 구분되어 선별 진료소를 운영하고 있는 A병원의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근무기간 1년 이상의 간호사 85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도구는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간호의도는 김현지와 최연희(2016)가 수정, 보완한 고위험 병원체 감염 환자 간호의도 도구를 사용하였고,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등(2005)의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K-NPV scale)를 이용하였으며, 개인보호장비 관련 지식은 연구자의 문헌 고찰 및 질병관리본부의 감염병별 관리지침을 참고하여 개인보호장비의 종류에 대한 지식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 Program 26.0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고위험병원체 감염병환자 간호 관련 특성에 대한 결과로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0.79±6.01세였다. 연구대상자의 92.8%(79명)가 여성이었고, 근무 경력은 평균 94.24±71.39개월(약 7.9년), 응급실에서의 근무 경력은 87.26±64.8개월(약 7.3년)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90.6%(77명)가 고위험병원체 감염병환자 간호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88.2%(75명)가 개인보호장비 등 감염 관리에 필요한 물품이 원활하게 공급되었다고 응답했으며, 96.5%(82명)가 개인보호장비 착탈의 교육을 받았고, 85.9%(73명)가 고위험병원체 감염병 정보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개인보호장비 관련 지식에 대한 결과로 6가지의 고위험병원체 감염병 중 MDR-TB에 대한 개인보호장비의 정확한 지식이 있는 응답자가 50.6%(43명)로 가장 많았고, EVD에 대한 개인보호장비의 정확한 지식이 있는 응답자가 3.5%(3명)로 가장 적었다. 특히 MERS에 대한 개인보호장비의 경우에는 정확한 지식이 없는 경우가 90.6%(77명)로 가장 많았고, EVD의 경우에는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23.5%(20명)로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평균 100.92±12.18점(가능범위 29점 ~ 145점)으로 나타났고, 간호의도는 평균 157.49±25.16점(가능범위 36점 ~ 252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개인보호장비 착탈의 교육에 따른 간호의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t=-5.49, p<.001), 개인보호장비 착탈의 교육을 받은 경우 간호의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대상자의 고위험병원체 감염병별 개인보호장비 관련 지식에 따른 간호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의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90,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대상자의 개인보호장비 관련 지식과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시행한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일반적 특성 및 고위험병원체 감염병환자 간호 관련 특성을 투입한 Model 1의 설명력은 33.4%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4.769, p<.001). 고위험병원체 감염병별 개인보호장비 관련 지식과 간호전문직관을 투입한 Model 2에서 설명력은 49.8%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3.395, p=.003). Model 1에서 연령이 간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t=2.041, p=.045), 연령이 높을수록 간호의도가 높았다. 또한, 개인보호장비 착탈의 교육 여부가 간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는데(t=-4.239, p<.001), 교육을 받은 경우 간호의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Model 2에서 개인보호장비 관련 지식은 간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t=2.623, p=.011), 간호전문직관이 높을수록 간호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각종 감염병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간호의도에 관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대상자인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의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고위험병원체 감염병환자 간호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의도에 간호전문직관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므로 간호의도를 높이기 위하여 간호전문직관을 확고하게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ursing intentions of emergency room nurses who take care of patients with highly infectious diseases and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intention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order to understand which factors affect nursing inten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5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1 year in the emergency room of a hospital located in Seoul.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ddition to the Instrument for Predictive Nursing Intention for SARS patient care developed by Yoo et al. (2005), which had been amended and supplemented by Kim (2016), to determine nursing intentions. The Korean Nursing Professional Value (K-NPV) scale, developed by Yoon et al. (2005), was used to examine nursing professionalism. Further, the researcher’s prior research and the Korea Center of Disease Control’s control instruction for each type of infectious disease were used to measure the nurses’ knowledg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 Program 26.0 to obtain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each parameter,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comprised 77 nurses with experience of nursing patients having highly infectious diseases (90.6%) and 8 nurses who did not have that experience (9.4%). A total of 75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were fully supplied with the materials required for work such a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82 participants said that they had received education on the use of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96.5%), and 73 participants said that they had received education on the highly infectious diseases (85.9%). The participant’s accurate knowledg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as shown in order of MDR-TB(50.6%), Extensively antibiotic resistant organism(23.5%), SFTS(18.8%), MERS(7.1%), SARS(4.7%) and EVD(3.5%). The average score for nursing professionalism was 100.92±12.18 and their nursing intention score for patients having highly infectious diseases was 157.49±25.16 on average. There was a sta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ing intentions and the education regard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urses who worked with patients with highly infectious diseases (t=-5.49, p<.001).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explanation power for Model 2 was found to be 49.8% in the second hierarchy that included the knowledg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infectious disease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Nursing professionalism also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ursing intentions (t=2.623, p=.011); the higher the nursing professionalism, the higher the nursing intention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nursing professionalism affects nursing intentions.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in order to enhance nursing intentions, nursing professionalism should be securely developed; for this purpose, elements such as work capability,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should be studied, and integral consideration and management are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