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우애자-
dc.contributor.author최정은-
dc.creator최정은-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37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37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8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87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742-
dc.description.abstract과학 교육의 핵심적인 활동으로 주목받는 논의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사회적 맥락에서 다른 사람을 설득시킬 수 있는 논의를 제시하기 위해선 논의 요소들이 어떻게 관계되고 연결되는지 즉, 논의의 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논의 활동은 글쓰기를 통한 개인적인 활동도 포함하는데 과학 글쓰기는 인지적 영역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고차원적 사고력이나 글쓰기 능력이 부족한 학생에게 글쓰기를 통한 논의는 어려운 활동이 될 수 있다. 학생들이 글쓰기에서 겪는 어려움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전략으로 교사의 서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의 주장, 증거 글쓰기에 교사가 제공하는 서면적 피드백이 논의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서면적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어떠 한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에서 ‘탐구화학실험’을 수강하는 두 개 분반 학생 3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 모두 주장, 증거 글쓰기가 포함된 ‘탐구화학실험’을 한학기에 걸쳐 9차시 동안 참여하였다. 실험반은 각 차시 마다 작성한 주장, 증거 글쓰기에 서면적 피드백이 제공되는 반이며 비교반은 서면적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는다. 학생들의 논의의 질 향상을 보기 위해 사전과 사후에 동일한 문제로 구성된 주장, 증거 글쓰기 검사지를 실험반과 비교반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지 점수는 Mann-Whitney U 검정을 통해 집단간 비교를 하였다. 또한 실험반을 대상으로 서면적 피드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인식 설문지 검사와 개인 면담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장, 증거 글쓰기 검사지 분석 결과, 서면적 피드백을 받은 실험반이 비교반에 비해 논의의 질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p<.05). 그러나, 하위 증거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05), 주장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5). 둘째, 설문지와 면담 분석 결과, 학생들은 주장, 증거 글쓰기 초반 ‘답을 모르는 것에 대한 두려움’, ‘주장과 증거에 대한 이해 부족’, ‘설득력 있는 글쓰기를 위한 능력 부족’, ‘과학 글쓰기에 대한 경험 부재’의 이유로 인해 글쓰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러나 꾸준한 서면적 피드백을 통해 ‘글쓰기를 의사소통 수단으로 인식’, ‘설득력 있는 글쓰기를 위한 능력 함양’, ‘주장과 증거에 대한 이해’, ‘주장 증거 글쓰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자신의 생각에 대한 반성적 고찰’ 측면 등에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서면적 피드백은 주장, 증거 글쓰기 뿐 아니라 ‘탐구화학실험’에 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면담 분석 결과, 학생들은 서면적 피드백이 ‘실험 내용에 대한 재고찰’, ‘과학 탐구 능력 신장에 대한 인식’ 측면에 영향을 주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rough argumentation activities that are a key activity of science education, students should be able to present argumentation that can persuade others in the social context. In order to present a persuasive argument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the argumentation elements are related and connected, that is, the quality of the argumentation. Argumentation activities include personal activities through writing, and science writing positively influence the cognitive domain as well as the affective domain. However, argumentation through writing can be difficult for students who lack high-order thinking skills or writing skills. There is a way to provide teacher’s written feedback as a strategy that can complement students’ difficulties in writ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feedback from the teacher in the student’s claim, evidence writing had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argumentation and to see how students perceive written feedback. In this study, 31 students form the Science Education Department of the Teachers College participated in the ‘Inquiry chemistry experiment’. All of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inquiry chemistry experiment’ including claim, evidence writing for 9 sessions in on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s the written feedback in the claim and evidence writing that is made for each session, but comparison group does not provided the written feedback. In order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tudents’ argumentation, we conducted a claim-evidence writing test consisting of the same questions pre- and post- the experiment. Claim-evidence writing test score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In addition, we conducted a personal interview with the awareness questionnaire to understand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written feedback.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laim-evidence writing test, the quality of the discuss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written feedback (p<.05).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vidence area (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aim area (p>.05). Second,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analysis, the students had difficulty in writing because of the ‘The fear of not knowing the answer’, ‘Lack of understanding of claims and evidence’, ‘Lack of competence for persuasive writing’ and ‘Lack of experience in science writing’ at the early stage of claim-evidence writing.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Recognition of writing as a means of communication’, ‘Cultivating competence for persuasive writing’, ‘Understanding claims and evidence’, ‘Positive attitude towards claim-evidence writing’ and ‘Reflection on their thoughts’ with constant standing written feedback. Third,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analysis,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written feedback was also helpful in the ‘inquiry chemistry experiment’. They perceived that they had influenced aspects of ‘Reexamination of ‘inquiry chemistry experiment contents’’ and ‘Recognition of scientific inquiry ability heigh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8 A. 논의 8 B. 피드백 13 Ⅲ. 연구 방법 18 A. 연구 설계 18 B. 연구 절차 20 C. 연구 대상 22 D. 수업 처치 23 E. 검사 도구 35 F. 자료 수집 및 분석 4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9 A. 주장, 증거 글쓰기 검사지 분석 49 B. 주장, 증거 글쓰기에 대한 인식 59 C. 서면적 피드백에 대한 학생 인식 72 Ⅴ. 결론 및 제언 85 A. 결론 85 B. 제언 90 참고문헌 93 부록 100 ABSTRACT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70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서면적 피드백이 주장, 증거 글쓰기에서 논의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및 서면적 피드백에 대한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Written Feedback on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Claim and Evidence Writing and Recognition of Written Feedback.-
dc.creator.othernameChoi Jungeun-
dc.format.pagevi,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