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현혜-
dc.contributor.author송하은-
dc.creator송하은-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35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35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5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59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73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윤동주의 삶과 그의 시에 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계승하면서 그의 삶을 추적하고 시 세계를 분석함으로써 그의 삶과 시가 어떻게 기억 전승되고 있는지 수집 정리하고 그 현황을 파악하고자 했다. 윤동주는 1917년 12월 30일에 북간도 명동마을에서 태어나 기독교적 배경에서 성장했다. 어려서부터 문학에 관심이 많았으며 일제강점기의 엄혹한 상황이었으나 윤동주는 그의 고뇌를 시로 표현하며 자신이 겪고 있는 고통을 초월하고자 했다. 윤동주는 1938년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하여서도 다양한 시와 산문을 썼으나 일제강점기라는 혹독한 현실 앞에 주변인들의 만류로 출판하지는 못했다. 그리고 윤동주는 일본으로 건너가 영문학을 전공하면서 여전히 한글로 시를 쓰며 자신을 끊임없이 성찰했다. 1943년 여름방학을 맞이해 귀성길을 준비하던 윤동주는 일본 특고 형사에게 ‘독립운동’의 이유로 체포되었다. 그는 결국 1945년 2월에 해방 6개월을 앞두고 후쿠오카 감옥에서 이름 모를 주사의 생체 실험을 받고 사망했다. 그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출판된 이후, 초기에는 그의 단편적인 시와 죽음을 근거로 하여 그를 좁은 의미의 저항 시인으로만 보는 시각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점차 그의 삶과 그의 시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자 그를 저항 시인, 민족 시인, 자기성찰의 시인, 동시 시인, 기독교 시인 혹은 한일간의 화해와 평화의 시인으로 보는 등 다양한 시각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그의 시를 부분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닌 그의 삶과 시를 총괄적으로 살펴보면 그의 시는 엄혹한 현실을 직시하며 그것을 초월하고자 하는 인간 정신의 숭고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식민지 시대의 한 청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죽어가는 모든 것들의 고통에 대한 공감과 연대를 통해 고통을 초월하며 새로운 평화와 생명의 공동체를 열어갈 것을 추구하는 인간의 가장 보편적이고 숭고한 정신이다. 이러한 그의 삶과 시는 다양한 방면에서 기억되고 전승되고 있다. 먼저 영상 매체에서는 초기 다큐멘터리에서 그의 죽음의 원인을 근거로 저항 시인으로서의 면모가 부각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후 다양한 융합 콘텐츠가 생겨나며 그에 맞추어 윤동주도 다양한 장르로 소개되고 있었으나 다큐멘터리와 예능 프로그램이라는 특성의 한계 때문에 윤동주의 숭고한 정신은 제대로 부각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영화에서는 이준익 감독이 흑백기법과 플래쉬백의 촬영기법을 활용하여 윤동주의 내면을 표현하고자 했다. 또한 윤동주는 오늘날 대중문화의 콘텐츠로 자리매김되며 음악, 소설, 뮤지컬, 공연, 기념사업회, 상품, 건축물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일본에서도 윤동주가 기억되고 있었다. 그의 정신이 계승되기 위한 다양한 기념사업회가 열렸고 그의 시가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리기까지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윤동주는 그의 시집이 8개 국가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었다. 그의 삶과 시 세계에는 저항성, 민족 서정성, 자아 성찰성, 동시성, 기독교적 성격과 평화와 화해의 성격이 총망라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윤동주와 그의 시가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기억되고 사랑받는 이유는 자유로운 인간 정신의 숭고함을 계승하려고 하는 대중들의‘자아 실현’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죽어가는 것들까지도 사랑하면서 그 고통에 공감하고 연대함으로써 평화와 생명의 새로운 세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인간 보편의 정신이 표상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 정신을 콘텐츠의 특성과 제한 속에서도 어떻게 최대한 잘 전달하고 공감하게 할 것인가가 고민되어야 할 것이다. 오늘날 인간의 보편적인 정신의 숭고함이 담긴 윤동주의 시는 시대와 국경을 초월하면 큰 위로와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 넣어줄 것이다. 또한 시대의 빛과 소금이 되지 못하는 오늘날 한국 기독교계에도 윤동주의 삶과 정신은 적지 않은 통찰력을 제공해 줄 것이다.;This paper addresses the succession of existing researches regarding DongJu Yun’s life and his masterpieces. In order to grasp the current data, this research arranged the collection of how Yun’s life and his masterpieces are remembered and inherited by tracing his life and analyzing the world of Yun’s poetry. Dongju Yun was born in Myeong-dong, Buk-gando in December 30th, 1917 and grew up in a Christian family. Since his childhood, Dongju was into literary works despite he was in the era of Japanese colonization. As he had composed some poems, he tried to surpass all of his sufferings and agonies. He had written many pieces of poems and essays but these were never be able to published in the circumstances of colonial rule due to his acquaintance’s persuasion after his graduation from Yeonhui University. He had consistently written his poems in Korean and endlessly reflected himself while he was studying English Literature in Japan. In 1943, he was arrested by Japanese police caused accusation of being an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before he went back home for Summer break. He ended up being died with taking unknown shots for medical experiment on living body in February 1945, which was 6 months prior to the year of Korean liberation. Published his collection of poetry “Sky, Wind, Star and Poem,” he was heavily regarded as the aspect of resistance poet due to initial perspectives on his fragmentary poems and his mysterious death. By gradually broadening the scope of his life and poem research, DongJu was regarded as a resistance poet, an ethnic poet, a lyric poet, a self-reflected poet, a children’s poet, a Christian poet and a poet of peace and reconciliation for Korean and Japanese from various point of views. However, when his poetries were looked at together with his life as a whole, rather than just looking at his poetry in part, his poetry represented the sublime nature of the human spirit which is facing the severe reality to transcending it. Notwithstanding a young man under colonial period, he was beyond the empathy of dying in distress of all creatures. It represents the fundamentals of humanity in which desire to begin the new peace and life community. His life and poetries are remembered and succeeded in various ways. First of all, in the Mass media, the aspect of resisting poet was emphasized on the basis of the cause of his death in the early documentary. Afterward, Dongju has been introduced in all kinds of genres in order to create various convergence content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characteristics in documentary and entertaining programs, DongJu’s aspect of noble spirit has not been properly highlighted. In the Film DongJu (2016), the director Jun-Ik Lee used editing of flashback and black and white to express DongJu’s inner side. Also, Yun has become the contents of popular culture today and has influenced in music, novels, musical, performances commemoration business events, goods and architecture. Lastly, Yun was remembered in Japan as well. Diverse commemorative events for successions of DongJu’s values were held in Japan and his poetry was even published in Japanese high school textbooks. DongJu has been loved by all around the world for his poetry was translated into more than eight different languages. His life and poetry has included full of characteristics of resistance, ethnicity, lyricism, self-reflection, Christian nature, peace and reconciliation. The reason Yun and his poetry are continuously remembered and loved these days is fulfilling the public’s needs of achieving their self-realization as they pursue the noble nature of human spirit. The universal noble spirit of humanity is to desire a new world and peace by loving, even, the dying things and empathizing and participating in the pai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o convey this spirit in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mass contents. DongJu’s poems, which contains the noble nature of human’s universal spirit today, transcends times and borders, and infuses great comfort and new vitality. Furthermore, DongJu Yun’s life and his spirit will deliver quite a bit of insights to Christians who have not been the light and the salt on this generation in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동기와 목적 1 B. 연구의 범위 8 Ⅱ. 윤동주와 그의 시대 10 A. 역사적 배경 10 1. 시대적 배경과 만주 10 2. 명동교회 13 B. 윤동주의 삶 19 1. 어린 시절 19 2. 중학교 시절 22 3. 연희전문학교 시절 27 4. 일본 유학 시절 32 Ⅲ. 윤동주의 시 세계 38 A. 초기 작품 세계 38 1. 첫 작품들 38 2. 동시의 세계 40 B. 연희전문학교 시기의 작품 세계 42 1. 자기의식의 변화 42 2. 기독교적 시 세계 47 C. 일본 유학 시절 56 1. 쉽게 씌어진 시 56 IV. 기억 전승 작업 60 A. 영상 60 1. TV 다큐멘터리 60 2. TV 예능 프로그램 67 3. 영화 73 B. 문화콘텐츠 81 1. 윤동주 기념행사 81 2. 뮤지컬 83 3. 기념시집과 굿즈 84 4. 윤동주 기념사업회 85 C. 건축 86 1. 역사적 장소 87 (가) 윤동주 생가와 묘비 87 (나) 윤동주 유고보존 가옥 90 (다) 윤동주 기념관 91 2. 기념 장소 92 (가) 윤동주 문학관 92 (나) 윤동주 도서관 94 (다) 왕곡마을 94 D. 일본에서의 윤동주 기념사업 95 1. 일본어 시집 96 2. 윤동주의 시 연구 99 3. 윤동주 기념사업 100 V. 결론 103 참고문헌 106 부록 1. 윤동주 연보 115 부록 2. 윤동주 시 연대별 정리 117 ABSTRACT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65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c.subject.ddc200-
dc.title윤동주의 삶과 문학의 기억 전승 작업에 대한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ntemplation of succeeding memories of Dongju Yun’s life and his literature-
dc.creator.othernameSong, Ha Eyn-
dc.format.pagev,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신학대학원 신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