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2 Download: 0

잠언 1-9장의 여성 이미지 연구

Title
잠언 1-9장의 여성 이미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emale Image of Proverbs 1-9 : Within the Context of Post-Exilic Persian Period
Authors
이수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신학대학원 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윤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잠언 1-9장의 여성 이미지를 시대적 맥락에서 읽고, 이 여성 이미지가 당시 예후드 공동체 상황에서 통제적 이미지로 사용되었음을 밝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언은 시대를 초월하는 보편 타당한 진리를 담고 있는 책으로 여겨져 왔다. 따라서 잠언 1-9장에 등장하는 대조적인 두 여성, 즉 ‘지혜 여인’과 ‘이상한 여자’도 ‘어리석음’을 멀리하고 ‘지혜’를 선택하라는 시대를 초월한 교훈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잠언 1-9장은 세밀하게 계획된 잠언 전체의 서론으로 시대적 맥락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잠언 1-9장의 저작 배경이 되는 시대 상황을 파악하는 작업이 중요했다. 먼저. 잠언 1-9장의 문학적 독특성과 의도적인 배열을 확인하였다. 폐르시아 시대에 잠언 1-9장의 ‘지혜 여인’과 같은 의인화된 지혜를 표현하는 것이 유행했다는 점과 잠언 1-9장이 페르시아 시대 문헌들과 문학적 평행을 가지고 있는 점은 잠언 1-9장의 저작 연대를 페르시아 시대로 추정하는 근거가 되었다. 또한 잠언 1-9장의 ‘이상한 여자’ 이미지는 에스라-느헤미야 시대 통혼 금지 정책과 연결하여 읽을 때 잘 이해된다는 점과 잠언 1-9장의 ‘야웨 경외’ 주제가 예후드 공동체 재건의 시기에 공동체 윤리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필요했다는 점 등은 잠언 1-9장의 시대를 페르시아 시대 초기 예후드 공동체 재건의 상황으로 주장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이러한 근거로 본 논문은 잠언 1-9장의 연대를 기원전 5세기 예후드 공동체 재건의 시기로 설정하고 시대 상황을 살펴보았다. 기원전 5세기 예후드 공동체의 구성원, 갈등 상황, 그리고 권력을 잡은 이들의 정책 등을 보았다. 이를 통해 당시 통혼금지 정책은 종교적 이유뿐 아니라 사회, 경제, 정치적 필요를 모두 포함한 정책으로 특히 공동체 경계의 재설정을 위한 것임을 확인했다. 포로 귀환 공동체 밖의 사람들은 그들이 유대인이라 하더라도 타자화되었다. 1-9장의 여성 이미지는 공동체 안과 밖의 경계를 분명히 하기 위한 통제적 이미지로 사용되었다. 본 논문은 통제적 이미지로서의 잠언 1-9장의 여성 이미지를 논증하기 위해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5장과 9장에서 독특한 구조를 발견했다. 잠언 1-9장은 각 장마다 상반된 여성 이미지가 번갈아 등장하는데, 5장과 9장에서만 하나의 장 안에서 상반된 두 여인이 동시에 등장한다. 5장에서는 ‘지혜 여인’을 대신해서 ‘아내’가 등장하고, 9장에서는 ‘이상한 여자’를 대신해 ‘우매 여인’이 등장한다. ‘지혜 여인’과 ‘이상한 여자’의 연속선상에서 그녀들의 자리를 대신하는 ‘아내’와 ‘우매 여인’에 특히 주목하여 본문을 연구했다. 잠언 5장과 9장의 본문 연구는 이 장들이 유사한 구조와 메시지를 가지고 있음을 알려주었다. 본문은 예후드 공동체 재건의 상황이라는 당시 시대적 배경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었다. 잠언 1-9장의 ‘지혜 여인’과 ‘이상한 여자’도 공동체가 선택해야할 것과 버려야 할 것을 의미하지만, 특히 잠언 5장과 9장의 ‘아내’와 ‘우매 여인’이 갖는 사회 통제적 메시지는 더욱 강력했다. 그 여성들이 상징하는 것은 각각 당시 공동체가 외부인들로부터 지켜야할 기업이었고, 그들이 공동체 경계밖으로 내몰아야 할 대상이었고, 사회의 질서에 방해가 되는 이들이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잠언 1-9장의 여성 이미지가 시대적 상황에서 통제적 이미지로 사용되었음을 주장하였다. 잠언에 나타나는 온갖 부정적이고 혐오스러운 여성 이미지와 여성을 선택의 대상으로 보도록 하는 이분법적 대조의 상징이 당시 공동체 경계의 재설정을 위한 사회 통제적 목적임을 확인하였다. 시대를 넘어 여성의 정체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잠언 1-9장의 본문을 여성주의적 관점으로 문학적, 사회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내고 여성을 대상으로 여기게 하는 잠언 1-9장의 여성 이미지는 하나님의 질서가 아닌 사회의 산물임을 밝히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male images in Proverbs 1-9 in terms of its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and to demonstrate that these images were operated as controlling images in the Yehud community in the post-exilic period. In general, the book of Proverbs has been regarded as a book of timeless, universal, and valid truths. Accordingly, two opposite female characters in Proverbs 1-9, the ‘Woman Wisdom’ and the ‘Strange Woman’, have been taken as examples of the timeless lesson: Keep away from foolishness and choose wisdom. However, Proverbs 1-9 is an intentionally designed introduction of the Book of Proverbs, and it has its social context. For this study, it was important to grasp the historical context of Proverbs 1-9. In the Persian period, it was popular to personify wisdom as the ‘Woman Wisdom,’ as one would see in Proverbs 1-9. In addition, Proverbs 1-9 has a literary parallel with the Persian literature. It is well understood when the image of ‘Strange Woman’ in Proverbs 1-9 reads in relation to the prohibition of the mixed-marriage in Ezra-Nehemiah. The theme of ‘the fear of the Lord’ in Proverbs 1-9 was crucial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ommunity ethics in the context of Yehud community which was being reconstructed. These characteristics support that Proverbs 1-9 originated from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Persian period while Yehud community was rebuilt. Accordingly, this paper sees the time of the composition of Proverbs 1-9 as the 5th century BC, the period of reconstruction of the Yehud community, and puts stress on the social situation of the time. In particular, in the 5th century BC in Palestine, I tackle the social problems, such as who were the members of the Yehud community, what the conflicts were, and who was holding power. From this perspective,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rohibition the mixed-marriage was imperative not only for religious reasons but also for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needs; especially, the mixed-marriage prohibition aimed at resetting boundaries in the community. Those who were returning from Babylon saw the people outside their community as strangers even if they are the remnant of the Judaeans who did not go into exile. The female images in Proverbs 1-9 were used to control the people and to draw the boundaries within and outside the community.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 of female images in order to argue the female images in Proverbs 1-9 as a controlling image. There appears a unique structure in Chapters 5 and 9. In Proverbs 1-9, the images of opposing women appear alternately in each chapter, and only in the chapter 5 and 9, the foil characters appear at the same time. In chapter 5, a ‘Wife’ substitutes the ‘Woman Wisdom.’ In chapter 9, a ‘Foolish Woman’replaces the ‘Strange Woman.’I have studied this text by paying attention to the ‘Wife’ and ‘Foolish Woman’who replace ‘Woman Wisdom’ and ‘Strange Woman’. Our investigation of both Proverbs 5 and 9 confirms that these chapters have similar structures and messages. The text clearly reveals the social context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Yehud community. The ‘Woman Wisdom’ and ‘Strange Woman’in Proverbs 1-9 express what the community should choose and especially express what should be prohibited. The ‘Wife’ and ‘Foolish Woman’ in Proverbs 5 and 9 have a stronger social controlling message. The image of the ‘Wife’ was an inheritance of the community at that time; they had to be protected from the outsiders. The image of ‘Foolish Woman’ was the object and obstacles that they had to be driven out of the community boundaries for the order of society. Thus, this study asserts that the female images in Proverbs 1-9 were used as controlling images in that time period. The Proverbs expresses all kinds of negative and disgusting images of women and sees women as objects of choice from the dichotomous perspective. These literary devices had social and controlling purposes for resetting community boundaries at that time. I examine the text of Proverbs 1-9 from a feminist perspective, by using literary and sociological research methods. Through this study, I try to demonstrate that the female images in Proverbs 1-9, which reveals negative views about women and makes women considered the objects of choice, are not followed by the order of God, but are a mere product of social pow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