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실-
dc.contributor.author정희진-
dc.creator정희진-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31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3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5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54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715-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의 목적은 1945년 미 군정(美 軍政) 시작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한국 사회에서 생산된‘반미 문학(anti-American narratives)’의 형성과 구조를 분석하는데 있다. 반미 문학은 지식 생산의 사회적 인프라가 없었던 지난 날 한국 사회에서 외국군의 주둔, 분단과 한국전쟁이라는 결정적 시기에서 한국 현대사의 현실을 목격하고 고발함으로서 주요 지식 담론으로서 기능하였다. 이 글은 반미 문학을 통해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중심의 세계 체제 속에서 후기 식민 사회 중의 하나인 한국이라는 로컬에서 특정한 남성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질문하였다. 근대 백인 중산층 이성애자 가족을 모델로 하는 보호자와 생계 부양자로서 남성이라는 규범적 남성성은 한국 사회에서 실천된 적이 없다. 뿐 만 아니라 규범적 남성성은 다른 남성성들과의 차이 속에서만 그 정상성을 획득하기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강대국을 대타자(the Other)로 삼는 한국의 남성성을 포스트 콜로니얼(post-colonial) 관점에서, 식민지 남성성(colonial masculinity)로 개념화하고자 하였다. 공식적으로 일제 식민주의 시대는 끝났지만 새로운 식민자이자 보호자로 등장한 미 군정 체제의 수탈과 학정, 주한 미군의 일상화된 범죄는 한국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이후 한국 사회에서 미국의 존재는 분단, 한국전쟁, 군사 독재 등을 거치면서 한국의 근대화, 국가안보, 정상(normal) 국가 건설을 상상하는 거의 유일무이한 기준이 되어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인들의 미국에 대한 의존, 분노, 비판, 동일시, 피해의식, 요구, 동맹의식 등의 분열적 사고는 한국 사회 전반의 정체성과 식민지 남성성을 형성하는 주요 요소로 작동하였다. 반미 문학은 처음부터 미국에 대한 적극적, 실제적 저항이라기보다 분단 체제를 이용한 반북, 반공 이데올로기를 통치 수단으로 한 남한 정권의 탄압과 미 군정의 정책, 미군 범죄 등 피해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되었다. 반미 문학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이분법 구조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반미 문학은 식민 지배(포스트 콜로니얼) 이후의 새로운 사회로의 이행의 지표가 되기보다는, 미국에 대항하고 동시에 따라잡아야 한다는 이중적 상황에서 생산되었다. 따라서 대안 담론이라기보다는 서구에 대한 反담론(counter discourse)의 성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반미 문학 담론을 주도했던 한국의 남성 지식인들은 자신을 국가와 동일시, 보편적 주체로 설정하고‘한국 남성 - 주한 미군(미국) - 한국 여성’이라는 구도 속에서 자신의 남성성을 구성하였다. 한국의 남성 문화는 강대국과의 위계와 억압 경험을 한국 여성에 대한 타자화된 재현을 통해 투사하였다. 요약하면, 반미 문학 담론은 첫째, 국가주의를 기초로 한 이분법의 쌍(雙) 속에서 작동하였다. 구조와 일상, 미시와 거시, 남성과 여성, 시간과 공간, 보편과 특수 등 서구를 기원으로 하는 근대성의 이항 대립 구조를 답습, 반복하였다. 이러한 이분법에 기초한 역사적 시간의 공간화(the spatialization of historical time)는 한국 사회를 앞서간 서구를 따라잡아야 하는 뒤떨어진 공간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상황을 여성의 몸을 매개로 재현하였다. 둘째, 반미 문학의 이러한 성격은‘기지촌 문학’이라는 성애화, 젠더화된 지역을 기반으로 성별적 재현에 크게 의존하였다. 반미 문학에서 한국 여성은 두 가지 방식으로 재현되었다. 여성은 한국 사회의 상황 즉‘빼앗기고 더렵혀지고 비참한’영토였고, 여성의 인격은 민족 재생산 도구로 환원되었다. 한국 여성의 몸은 한국 남성과 주한 미군 사이에서 상징적, 실제적 전쟁터가 되었으며, 이러한 방식의 재현은 당대까지도 여성에 대한 폭력과 성차별을 정상화, 자연화 하는 논리로 작동하고 있다. 반미 문학은 이전처럼 생산되지 않지만 반미 문학의 주된 구조인 국가주의, 이항 대립 논리, 서구 중심의 근대성, 여성에 대한 폭력, 외세에 대한 피해의식, 피해 의식, 배타성 등은 여전히 당대 한국 사회의 일상을 지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식민지 남성성의 형성 과정의 제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포스트 콜로니얼 담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새로운 문화 담론과 후속 연구를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aims at analyzing the Construction formation and structure of ‘anti-American narratives’ generated in South Korea from the period of American military rule to the late 1980’s. Anti-American narratives used to function as the main intellectual discourse by bearing witness to and exposing the reality of Korean modern history during the critical periods of national division, Korean War and foreign forces’stationing, when various and systematic knowledge - in other words, the societal infrastructure - could not be produced. This dissertation raises questions about how a specific form of masculinity has been shaped through anti-American narrative in the local ‘Korea’, a post-colonial society in the US-centric global system since World War II. The normal masculinity as a protector and bread winner modeled on the modern white middle class heterosexual families, has never truly been embodied in any society and realistically can only be performed in relation to the masculinity in other societies. This dissertation takes a post-colonial perspective in examining Korean masculinity, which has been built assuming great powers such as the US as the Other, and conceptualizes it as colonial masculinity. While the Japanese colonial rule formally came to an end, the American armed forces arrived as both a protector as well as a new colonizer. The crimes, exploitations and tyranny which marked the American occupation shocked the Korean people. Since then, as the country underwent division, a civil war, and military dictatorship, the US has become its sole standard for imaging its modernization, national security, and normal nation-building. In the process, the fragmented attitudes held by Koreans vis-à-vis the US, such as dependence, anger, criticism, identification, victim mentality, demand, and alliance have worked as the main factors constituting identity and colonial masculinity throughout the Korean society. Anti-American narratives were originally neither active nor actual resistances against the US. Rather, they emerged as responses to the adverse consequences of the US military policies, the prevalent crimes committed by the American armed forces, and the suppression by South Korean government, whose ruling mechanism was anti-North Korean and anti-communist ideologies. This is the reason why the anti-American narratives could not be free from the dichotomous structure placing the US at the center. Anti-American narratives rather than becoming an indicator of transition to a new post-colonial society, remained within the boundaries of counter discourse against the western world, which essentially claimed they should both catch up with the US and at the same time overcome it. Meanwhile, the Korean male intellectuals who have led the discourse of anti-American narratives positioned themselves as the universal subjects identical to the nation itself. They also organized their own masculinity in the structure of ‘Korean men vs. US armed forces in Korea vs. Korean women’. The Korean male culture has imputed and projected the hierarchy and suppression the nation suffered under great powers by otherizing Korean women. To sum up, anti-American narratives located themselves amidst dichotomous pairs based on nationalism. They have followed and repeated the binary structure of modernity which originated from the West, such as the contrast between structure and daily life, the microscopic and macroscopic perspectives, men and women, time and space, universality and specialty and so on. The spatialization of historical time based on this dichotomy determined the Korean society as the space that has fallen behind and, therefore, must catch up with the more advanced western world. This has been reproduced through the women’s body. Secondly, these characteristics of anti-American narratives extensively relied upon the different reproduction according to sexuality based on the sexualized and gendered areas. Korean women were often reproduced in two ways in anti-American narratives. They were compared to the Korean societal circumstances, in other words, ‘deprived, disgraced and miserable’ territory, and female personality was reduced to the means of national reproduction. The body of Korean women became a symbolic and virtual battle ground between Korean men and the US armed forces in Korea. This kind of reproduction has so far normalized and naturalized violence on women in everyday life. Though anti-American narratives are no longer produced, its main structure such as nationalism, binary logic, the western centered modernity, violence on women, victim mentality with the foreign power, defensive mentality and exclusiveness, has been dominating the current daily lives in Korean society. However, the follow-up researches could be expected in terms of the potential of new post-colonial culture. This possibility can be seen, for example, in the works of the poet Bae In Chul who has recited the bond with the black people during the period of American military rule or in those of the novelist Jung Chan -e.g. Blue Eyes(1989)- who has contemplated and organized his own masculinity without using women as its medium. Their works are testament to the potential of a new post-colonial culture in which people connect with the disadvantaged groups in society and contemplate on ‘the US inside oursel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문제 제기 및 연구 방법 1 A. 문제제기 1 B. 연구방법 7 1. 한국 현대사에서 지식으로서 문학의 위상 7 2. 자료 수집 방법 10 Ⅱ. 이론적 배경 11 A. 남성성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 11 B. 개념 정의 : 포스트 콜로니얼 시각의 남성성 연구 18 Ⅲ. 미 군정과 반미문학 23 A. 한미관계와 한국인의 대미인식 약사 23 B. 미 군정기, 새로운 식민 32 C. 반미 문학으로서 기지촌 문학의 등장 37 Ⅳ.반미문학장르의 형성과 식민지 남성성 43 A. 미국 중심의 이분법 - 반미는 진정한 민족주의 43 B. 한국 현대사에 대한 지식권력으로서의 반미문학 55 C. 서구의 시선/근대성으로서 반미문학 64 1. 전통과 근대를 모두 실현하는 반미 64 2. 근대성에 대한 추구와 반미문학 70 3. 일상과 구조의 대립으로서 반미문학 77 4. 미국에 대한 기대로서 반미 84 Ⅴ. 성별의 재현 정치로서의 식민지 남성성 91 A. 영토로서 여성의 몸 91 1. 영토 그 자체 92 2. 인간이 아닌 타자들의 땅 98 3. 미국영토에 대한 욕망과 폭력 101 B. 민족을 재생산하지 않는 여성에 대한 분노 111 C. 부역자 여성 119 Ⅵ. 본 연구의 한계와 제언 127 Ⅷ. 결론 131 참고문헌 133 Abstract 1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588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반미문학을 통해 본 식민지 남성성의 형성-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lonial Masculinity Shaped through Anti-American Narratives in South Korea-
dc.creator.othernameJeong Hee Jin-
dc.format.pagev, 16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