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7 Download: 0

암 생존 청소년의 자기표현력 증진을 위한 랩 만들기 사례

Title
암 생존 청소년의 자기표현력 증진을 위한 랩 만들기 사례
Other Titles
Case study of Rap Making for the Self-expression of Cancer Survivor Adolescent
Authors
최지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랩 만들기를 통해 암 생존 청소년의 자기표현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된 사례연구이다. 본교 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고 제출한 절차에 따라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총 3명의 대상자가 모집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6회(주 1~2회, 1회기 당 80분)로 자기 개방 시도, 자기 인식, 자기표현의 3 단계로 진행되었다. 매 회기는 환경적 지지모델을 적용하여 도입, 랩 음악 만들기, 마무리의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며, 랩 만들기를 단계별로 구성하여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결과는 자기표현력 척도 및 참여자의 사후 인터뷰, 참여 과정에서의 가사 및 언어적 반응을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각 대상자가 프로그램 전후 자기표현평정척도를 사용하여 평정하였을 때 3명의 평균 점수는 69.3점에서 73.3점으로 4점이 증가하였으며, 참여자 A는 69점에서 72점으로 3점, 참여자 B는 70점에서 77점으로 7점, 참여자 C는 69점에서 71점으로 2점 상승하였다. 자기표현력 평정척도 점수 변화를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내용적 자기표현의 점수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참여 과정 중 참여자들의 언어적 반응 및 가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 모두 노래 토의를 통해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자신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발견하였으며 랩 가사 작성을 통해 내면의 부적 정서와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에 대해 해결과 회복의 의지를 표현하였다. 사후 인터뷰에서 참여자 모두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존재감과 미래상을 새롭게 정립할 수 있었으며, 감정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고 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랩 만들기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 모두 자기 표현력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가창과 노래 토의를 통해 참여자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에 대해 인식할 수 있었으며, 랩 만들기가 참여자들에게 자기를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었다고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self-expression change of cancer survivor adolescent through rap making program. Three cancer survivor adolescent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A total of 6 sessions were conducted, which lasted for 80 minutes once or twice a week. The program is proceeded in three stages: self-disclosure attempts, self-awareness, and self-expression. Every session was composed of introduction, rap making, closing by using contextual support model to make participants participate in the rap making program spontaneously. To examine the results, pre- and pro- test of the self expression scale, post- interview of participants, the change of lyrics and language response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average score of the self-expression scale was increased from 69.3 to 73.3. The self-expressive self-rated scale score showed the greatest change in scores of self-expression when examined by sub-factors. By analyzing the verbal response and lyrics contents, participants recognized their emotions and self concept and express their will about recovery and solving their weakness. In the post-interview, participants were able to establish their own existence and future through the program and also they expressed the opportunity to express emotions and thoughts. In conclusion, participants had positive changes in self-expression. The result suggest that singing and song discussion can help cancer survivors to recognize their emotion or thought. Rap making program can be important tool to express about self for cancer survivor adolesc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