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지-
dc.contributor.author유지수-
dc.creator유지수-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26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26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8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86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69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vention on structural singing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and the behavioral changes of and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children who are 7-11 years o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research design was carried out including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interval using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mong the subjects, which is one of the single subject study methods. The baseline period lasted for at least 3 sessions, and intervention was intervened in order of subject 1 (20 sessions), subject 2 (17 sessions), subject 3 (14 sessions), subject 4(11 sessions), and subject 5(10 sessions). The intervention progressed i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in one session: largely monosyllabic centered vocal inducement therapy(activity), verb-centered singing therapy(activity), and mutual context inducement therapy(activity). The measurement of spontaneity communication behavior change was divided into the spontaneous communication reaction speech and the initiation speech. The spontaneous communication reaction speech was measured by the instruction event recording method and the spontaneous communication initiation speech was measured using the interval record ing method. As a result, the spontaneous communication response of the subjects after the structural singing intervention increased, and the incidence of the onset of speech increased. Additionally, the observed changes of behavior showed improvement of confidence in speech and pronouncing, as well as a reduction of aggressive behavior. These results show that structured singing therapy,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severe autistic spectrum disorder, is effective, not only in inducing spontaneous communication behaviors but also in positive behavioral chang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use of musical structure for the improvement of language skills of children with severe autistic spectrum disorder, and the staged approach to singing intervention may be effective. ;본 연구는 중증의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화된 노래 부르기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중재를 각 대상자에게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중재의 효과성을 비교하고 그에 따른 행동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만 7-11세의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5명이며,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구간을 포함하여 진행되었다. 기초선 기간은 최소 3회기 이상 진행되었으며 중재는 대상자 1(20회기), 대상자2(17회기), 대상자3(14회기). 대상자4(11회기), 대상자5(10회기)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개입되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중재는 한 회기 안에서 크게 단음절 중심의 노래 부르기 활동, 동사 중심의 노래 부르기 활동, 상호적 맥락에서의 요구표현 유도 활동으로 총 3단계로 진행되었다. 자발적인 의사소통 행동 변화에 대한 측정은 반응발화와 시작발화로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반응 발화는 지시사건 기록법으로 측정되었으며 시작발화는 등간 기록법으로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구조화된 노래 부르기 중재 이후 모든 대상자의 반응발화, 시작발화 발생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추가적으로 관찰된 행동변화로는 발성 및 발화에 대한 자신감 향상, 부정적인 의사소통 방식이 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으로 대체됨으로 공격적인 행동의 감소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증의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구조화된 노래 부르기가 아동의 자발적인 의사소통 행동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행동변화에도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중증의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언어 기술 향상을 위한 중재 시 음악적 구조의 활용과 단계적인 접근 방식의 노래 부르기 중재가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A. 학령기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6 1. 자폐범주성장애 정의 및 특징 6 2. 학령기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특성 7 B. 의사소통 행동 9 1. 의사소통 행동 정의 및 발달적 특성 9 2.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 특성 11 C.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대상 음악치료 중재 13 1.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대상 음악치료 선행연구 고찰 13 2.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15 Ⅲ. 연구방법 17 A. 연구 대상자 17 B. 실험기간 및 환경 20 C. 실험 설계 21 D. 실험 절차 21 E. 관찰 및 측정 29 F. 관찰자간 신뢰도 31 G. 중재 충실도 32 H. 사회적 타당도 32 Ⅳ. 결과 및 논의 33 A. 결과 33 B. 논의 49 Ⅴ. 결론 및 제언 52 A. 결론 52 B. 제언 54 C. 연구의 제한점 55 참고문헌 56 부록 1. 중재 타당도 체크리스트 67 부록 2. 중재 충실도 체크리스트 69 부록 3. 사회적 타당도 체크리스트 70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47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구조화된 노래 부르기가 학령기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자발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structural singing therapy to improve spontaneous utterance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c.creator.othernameYu, Ji Su-
dc.format.pagev,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