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경숙-
dc.contributor.author권지현-
dc.creator권지현-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24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24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7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71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690-
dc.description.abstract생물학적 하 폐수 고도처리공정인 질산화 및 탈질 과정에서 배출되는 아산화질소(N2O)의 배출 저감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질산화 및 탈질 효율, N2O 배출 및 관련 기능성 유전자 거동에 미치는 운전조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속 회분식 탈질 반응조에서 질소원(아질산염 주입농도: 100-500 mg-N.L-1, 질산염 주입농도: 75-300 mg-N.L-1)과 탄소원(acetate, COD/N ratio 8)에서 탈질 효율은 90~100%이었고, N2O는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세균군집 분석 결과, 우점 탈질화 세균은 Paracoccus와 Thauera이었다. 질산화 및 탈질 반응조를 연계하여 운전한 결과, 질산화 반응조에서 암모늄이 질산염으로 산화되는 비율이 62~64%였다. 탈질 반응조에서 질산염이 질소로 환원되는 비율이 95%로 매우 높았고, COD 제거율은 84% 이었고, N2O는 거의 배출되지 않았다. 또한, 탈질 반응조에서도 암모늄의 제거가 관찰되었다. 두 반응조 모두에서 질산화 관련 유전자인 amoA, amoB와 hor이 3.92×102~7.25×105 gene copy number.ng-DNA-1로 검출되었고, 탈질 관련 유전자인 narG, nirK, norB와 nosZ가 8.37×103~3.06×104 gene copy number.ng-DNA-1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질산화 반응조에서는 nitrifier denitrification 과 탈질 반응조에서는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이 일어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미생물 생태적학적 정보는 N2O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도 폐수처리기술 개발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To mitigate nitrous oxide (N2O) emissions from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in the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the effects of operation parameters on the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performance, N2O emission and functional gene dynamics were evaluated. In sequencing batch reactor (SBR), the denitrification efficiency was 90~100% in the conditions of nitrogen source (100-500 mg-N.L-1 and 75-300 mg-N.L-1 of initial nitrite and nitrate concentrations, respectively) and carbon source (acetate and COD/N ratio 8). Moreover, little production of N2O was detected under all conditions. The dominant denitrifying-bacteria in the SBR reactor were Paracoccu and Thauera. When the coupling process with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reactors was operated, the ammonium oxidation rate to nitrate was 62-64% in the nitrification reactor. In the denitrification reactor, the nitrate reduction rate to N2 was 95% without N2O emissions and COD removal rate was 84%. In both reactors, the nitrifying functional genes such as amoA, amoB and hor were 3.92×102~7.25×105 gene copy number.ng-DNA-1, and the denitrifying functional genes such as narG, nirK, norB and nosZ were 8.37×103~3.06×104 gene copy number.ng-DNA-1. Considering the functional gene dynamics, the nitrifier denitrification would have occurred in the nitrification reactor, and the nitrification as well as denitrification would have occurred in the denitrification reactor. Microbial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essential data to develop the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y that can minimize N2O emi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3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3 1.2. 논문 구성 15 II. 선행 연구 고찰 및 이론적 배경 17 2.1. 온실가스 17 2.2. 연속 회분식 반응조를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공정 24 2.3. 아산화 질소 배출 저감 조업 인자 29 2.4. 질산화 및 탈질 반응 효율에 미치는 운전조건 33 III. 실험 재료 및 방법 35 3.1. 회분식 탈질 배양액 대상 실험 35 3.2. 연속 회분식 반응조 대상 실험 39 3.2.1 질산화 및 탈질 농화 배양 39 3.2.2 연속 회분식 탈질 반응조 43 3.2.3 질산 및 탈질 연계 반응조 44 3.3. 시료 채취, 전 처리 및 분석 47 3.4. 기능성 유전자 정량분석 49 3.4.1 DNA 추출 49 3.4.2 RNA 추출 50 3.4.3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qRT-PCR) 52 3.5. Illumina Miseq Sequencing에 의한 세균 군집 분석 55 3.6. 통계 및 network분석 57 IV. 결과 및 고찰 59 4.1. 회분식 탈질 배양에서 탈질 및 기능성 유전자 거동에 미치는 조업 인자의 영향 59 4.1.1 질소원(아질산염, 질산염)에 따른 탈질 및 기능성 유전자 거동 평가 59 4.1.2 탄소원 종류 및 C/N ratio에 따른 탈질 및 기능성 유전자 거동 평가 69 4.1.3 환경인자(pH, 온도)에 따른 탈질 및 기능성 유전자 거동 평가 80 4.1.4 탈질 거동과 조업인자의 관계 평가 89 4.2. 연속 회분식 탈질 반응조의 탈질 효율 및 기능성 유전자에 미치는 질소원의 영향 92 4.2.1 농화 배양 동안 탈질 평가 92 4.2.2 탈질에 미치는 아질산염 및 질산염의 영향 96 4.2.3 질소원에 따른 세균 군집의 OTUs 및 특성 분석 105 4.2.4 질소원과 세균 군집 간의 상관관계 평가 110 4.3. 연속 회분식 탈질 반응조의 탈질 효율 및 기능성 유전자에 미치는 탄소원의 영향 115 4.3.1 탈질 반응에 미치는 탄소원 종류 및 COD/N ratio의 영향 평가 115 4.3.2 탄소원에 따른 세균 군집의 OTUs 및 특성 분석 125 4.3.3 탄소원과 세균 군집 간의 상관관계 평가 130 4.4. 질산 및 탈질 연계 반응조의 질소거동 및 기능성 유전자 평가 135 4.4.1 질소거동에 미치는 질산 및 탈질 공정 평가 135 4.4.2 질산화 및 탈질 연계공정의 기능성 유전자 거동 평가 140 V. 결론 143 참고문헌 148 Abstract 1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718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고도처리공정의 질산화 및 탈질 특성과기능성 유전자 거동-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performance and functional genes dynamics in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dc.creator.othernameJi Hyeon Kwon-
dc.format.pagexii, 1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환경공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환경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