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3 Download: 0

디지털 매체 세대의 능동적 현대소설 학습 방안

Title
디지털 매체 세대의 능동적 현대소설 학습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Active Contemporary Novel Learning Plan for Digital Media Generation
Authors
노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ontemporary novel education is appropriately provided to learners living in the digital media era and to explore suitable direction of contemporary novel education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the era and learners. The media environment has also brought about changes in literary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field now faces the challenge of using the media environment that has already become established in reality. Therefo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media age and its learners, this study reviewed the necessity and functions of contemporary novel education and identified the role of media utilization in achieving the goal of contemporary novel education.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ge and digital natives; it assumed that digital natives, continuously exposed to various media environments since childhood, have a different language, way of thinking, and lifestyle than older generation. Next, the necessity of contemporary novel education for digital native learners was connected to novels’ functions, in a basis of narrativity, fictionality, and plots as novels’ features. However, the reading rate of digital generations is decreasing, which it is approximately much lower than that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addition, the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s of existing literary education that simply emphasize the superficial achievement targets and educational goals in curriculum and ‘literary text reading’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true goals of literature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objective of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to make value judgment or criticism based on 'literary text reading'. This study argues that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novel education appropriate for learners who are familiar with media use is to lead the learners’ active reading of literary texts. In this process, the learners can achieve not only the goal of contemporary novel education but also the goal of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to properly produce, use and communicate media langua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elements of media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revised curriculum. Moreover, by focusing on the contemporary novel materials of media-related unit of the 2005-revise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this study analyzed novel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aspects of multimodality. Thes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active use of digital media materials for in-depth reading of Chatman is required for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novel education to be provided to learners. By pointing out the use of media materials provided only at teacher's discretion and inaccessible for learners, this study revealed the necessity of cloud, a field of literature where both learners and teachers can freely access anytime and anywhere. As a second approach, this study claimed that learners should achieve active reading through creative production activities. Active novel reading is possible through creative production activities of fully understand what an individual reads. For its practical exercise, this study suggested book trailer making, a short video to promote a book, which would help learners to experience active reading of literary texts, in-depth understanding of texts, creative expression, cooperative learning and communication in the course of their activities. In order to examine whether contemporary novel education is appropriately provided to learners in the era when various digital media floods, this study reviewed the curriculum diachronically and analyzed the 2015-revised textbooks in a detailed way. With the premise that digital technology never retreats,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to efficiently apply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to learning objective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significance in that i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novel reading for digital native learners and explored the contemporary novel teaching methods that achieved the purpose of active reading by using media. Digital technology has replaced many of techniques that humans can do. However, novel reading by digital native learners can never be replac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the starting point of active research on the orientation of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매체 시대를 살아가는 학습자에게 현대소설 교육이 적절하게 제공되고 있는지 점검하고, 시대와 학습자들의 특성을 반영한 현대소설 교육의 적합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매체 환경은 문학교육에 있어서도 변화를 불러일으켰고, 교육계는 이미 현실 속에 자리 잡은 매체 환경을 이용해야만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매체의 활용이 학습자의 능동적인 현대소설 학습에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 그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먼저 디지털 매체 시대와 디지털 네이티브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분석은 어릴 적부터 다양한 매체 환경에 노출된 아동·청소년이 지금의 성인과는 다른 언어, 사고방식, 생활양식을 가진다는 주장을 전제로 이루어졌다. 이어 소설의 특성인 서사성, 허구성, 플롯을 통해 디지털 네이티브 학습자에게 있어서 현대소설 교육의 필요성을 소설의 기능들과 연계해 고찰해보았다. 그러나 디지털 세대들의 독서율은 갈수록 감소하고 있었고, 미국과 일본 등의 선진국들의 독서율에 비하면 아주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내의 성취기준과 교육목표의 달성에만 급급한 기존 문학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진정한 문학교육의 목표는 ‘문학 텍스트 읽기’가 선행요건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즉, 학습자들은 텍스트 읽기를 바탕으로 진정한 감상을 하고 이를 통해 가치 판단이나 비평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매체 활용에 익숙한 학습자들에게 적절한 현대소설 교육의 방향은 ‘매체 활용을 통한 능동적 문학 텍스트 읽기’로 향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서 학습자들은 현대소설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불어 매체언어를 올바르게 생산하고 사용하고 소통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어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에서 드러난 매체에 대한 인식과 매체 요소를 통시적으로 고찰해보았다. 또한 2015 개정 『국어』, 『문학』교과서의 매체 관련 단원의 현대소설 제재를 중심으로, 복합양식적 관점에 따른 제재 및 학습활동을 자세히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네이티브 학습자들의 심층 독서를 위해서는 디지털 매체 학습 자료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교사의 선택 하에서만 제공되고 있으며 학습자들의 접근이 어려운 매체 자료의 실태에 대해 지적하고, 학습자와 교사 모두가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접근이 가능한 문학의 장(場)이자 클라우드의 필요성을 밝혔다. 이어 ‘문학 클라우드’를 활용한 실제 수업 계획을 예시로서 제시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소설 읽기를 위해서는 창의적인 생산 활동이 학습활동으로서 제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도서를 홍보하는 짧은 동영상인 북 트레일러 제작 활동을 수업의 실제로서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은 활동 과정에서 능동적 문학 텍스트 읽기, 텍스트의 심층 이해, 창의성 발현, 협력 학습과 소통 등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각종 디지털 매체들이 쏟아지는 시대적인 환경 속에서 학습자들에게 현대소설 교육이 적절하게 제공되고 있는지 점검하기 위해 통시적으로 교육과정을 점검하고, 2015 개정 교과서를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은 결코 후퇴하지 않는다는 전제로, 매체 환경을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특히 본 연구는 학습자에게 있어서 소설 읽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매체를 활용해 능동적인 읽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현대소설 교육의 방향을 연구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디지털 기술은 인간이 할 수 있는 많은 기술을 대체했다. 그러나 학습자들의 소설 읽기는 결코 디지털 기술로 대체될 수 없다. 이 논문이 이후 이루어질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진정한 문학 교육에 대한 활발한 연구의 기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