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01 Download: 0

한중 번역 소설의 연결 표지 명시화 연구

Title
한중 번역 소설의 연결 표지 명시화 연구
Other Titles
韩中翻译小说的连接标记显化研究
Authors
웨이잉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통역번역대학원 번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림
Abstract
번역학 연구에서 번역 보편소란 창작 텍스트와 비교하여 번역 텍스트에서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적 요소를 가리킨다. 현재 이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 여러 언어들 사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번역 보편소에는 명시화, 단순화, 규범화 등이 있다. 이 가운데 특히 영향력이 크고 많이 논의되는 번역 보편소는 명시화이다. 명시화는 번역 기법으로 처음 제시되었으나 후에 베이커(Baker, 1993)가 번역 보편소 개념으로 확장시키면서 번역의 보편적인 특징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의 학자 황리보(黄立波, 2008)의 언어내 명시화와 언어간 명시화 분석을 근거로 한중 혼합 코퍼스를 이용하여 한중 번역소설의 명시화 특징을 논리 관계사인 연결 표지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먼저 번역 보편소와 명시화의 개념을 정리한 다음,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명시화의 검증 방법으로 연결 표지의 역할을 살펴본 뒤, 이를 배경으로 중국어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2002년 이후의 한중 번역 소설 10편과 중국어 비번역 소설 10편을 선정하여 이를 통해 비교 코퍼스를 구축한 뒤, 동일한 번역 소설과 한국어 원문 소설을 대상으로 병렬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명시화 정도의 측정 수단인 연결 표지는 싱푸이(邢福义, 1996)의 분류 체계를 참고하여 분류하였으며, 그 중에서 인과, 역접, 병렬 관계의 연결 표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연결 표지를 강표지(연사)와 약표지(부사)로 구분하여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을 함께 진행하였다. 먼저 비교 코퍼스에 대한 분석은 선정된 한중 번역 소설과 중국어 비번역 소설에서 연결 표지의 사용 양상 차이를 도출함으로써 언어내 명시화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병렬 코퍼스의 분석은 한중 번역 소설과 한국 원문 소설에서 연결 표지의 사용 빈도 차이를 분석하여 언어간 명시화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중 번역문과 한국어 원문 사례를 대조 분석함으로써 연결 표지의 명시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국어 비번역 텍스트에 비해 한중 번역 텍스트에서 더 많은 논리 관계 연결 표지가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결 표지의 강약을 나누어 비교했을 때 강표지는 비번역 텍스트보다 번역 텍스트에서 더 많이 나타났고, 약표지는 더 적게 등장했다. 이로써 번역 텍스트가 논리 관계를 더 명확하게 나타내는 강표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고 언어내 명시화를 검증하였다. 2) 한국어 원문과 한중 번역문을 대조하여 분석한 결과는 번역 과정에서 연결 표지의 생략 사례가 추가되는 사례보다 더 많았다. 따라서 원문보다 번역문의 연결 표지 사용 빈도가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니 결과적으로 한중 번역소설의 언어간 명시화는 검증되지 않았다. 3) 사례분석은 연결 표지의 번역을 유지, 생략, 추가, 변경, 위치 변화 등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연결 표지의 생략 및 추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한중 언어의 통사적 차이나 중국어의 의합(意合)법 등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요소, 관용적 표현의 차이 및 대등어 부재 등의 문화적 요소, 그리고 논리 관계의 암시화 내지 명시화, 내용 추가 및 생략, 문장구조의 단순화, 가독성 제고 등의 번역적 요소가 있다. 한편 연결 표지의 변경은 논리 관계의 명시화에 따른 변경이나 도착어 논리에 따른 변경이 있고, 연결 표지의 위치 변화는 원문 분석 오류로 인한 변화와 효율적인 의미 전달을 위한 변화가 있다. 이 중에서 번역적 요소로 인한 연결 표지 추가와 논리 관계의 명시화에 따른 연결 표지 변경은 번역 과정에서 일어난 명시화 사례로 볼 수 있다. 즉, 한중 소설번역에서 언어간 명시화 사례를 발견하였으나, 언어적 또는 문화적 요소로 인한 생략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볼 때 언어간 명시화 현상은 두드러지지 않았다. 한국 문학의 중국어 번역은 현재 점점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는 한중 문학 번역의 보편적 특징을 파악하려는 시도로서, 비번역 중국 소설, 한국 원문 소설과의 비교를 통해 한중 번역소설의 연결 표지 명시화 현상을 확인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한국어 원문과의 대조 분석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통사적 및 화용적 차이를 파악하고 이로써 두 언어의 연결 표지 사용 특징을 분석한다. 다만 번역 보편소 연구로서 적용 코퍼스의 규모를 한정하여 번역문에 나타나는 여러 특징적인 현상에서 연결 표지의 명시화만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향후에 보다 넒은 범주의 번역 코퍼스에 따른 다차원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면서 본 연구는 한중 문학 번역 보편성 연구를 위한 하나의 탐색으로서 한중 문학 번역의 수용성과 발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翻译普遍性(Translation Universals,亦称翻译共性或翻译普遍性特征)是指翻 译语言作为一种客观存在的语言变体,相对于目标语原创语言在整体上表现出来的规律性特征。Baker(1993:243)将其定义为“翻译文本而不是原话语中出现的典型语言特征,并且这些特征不是特定语言系统干扰的结果”。在翻译普遍性中争议最少、影响最大且实证支持最多的假设是“显化假设(Explicitation)” ,即翻译文本的明确程度高于原创文本,或者说翻译过程倾向于在译文中增添信息或语言成份。近年来,翻译文本中的显化现象在各国学者中引起了较广泛的关注,但大部分研究集中于英语或欧洲语言,对于韩中翻译语言的显化研究略显不足。本文以黄立波(2008)提出的“语内显化”和“语际显化”分类为参照,利用双语混合语料库。以连接标记为中心,对韩中翻译小说的显化特征进行了考察。 本文对翻译普遍性和显化的概念进行了梳理,考察了显化研究的验证方法及连接标记在显化研究中的作用,并重点整理了针对翻译中文显化现象的先行研究。 本文选取2002年以后出版或发表的韩中翻译短篇小说、汉语原创短篇小说各十篇,以及韩中翻译小说的韩语原文小说作为研究对象。并根据邢福义(1996)的三分法对连接标记进行了分类,选取因果、转折、并列三类基本逻辑关系,再进一步将连接标记分为显性标记(连词)和隐形标记(副词),进行了定量分析和定性分析。 首先通过韩中翻译小说和汉语原创小说的比较分析,考察韩中翻译小说中连接标记的语内显化现象。其次,通过韩中翻译小说和韩语原文小说的对照分析,考察韩中翻译小说中出现的语际显化现象,并通过具体的例句分析韩中翻译中连接标记的处理特征,从而阐明韩中翻译小说连接标记显化现象的具体原因。 本文研究结果如下:1)韩中翻译小说连接标记的出现频率高于汉语原创小说,与语内显化假说一致。并且韩中翻译小说更偏好于使用连词等显性连接标记,而汉语原创小说则更加偏好于使用副词等隐形连接标记,即翻译小说倾向于更加明确地表现出文本中的逻辑关系。2)通过韩语原文与韩中翻译文章的对照分析发现,在韩中翻译的过程中,连接标记的省略远多于添加,也就是说,韩中翻译小说的连接标记使用频率低于韩语原文小说,这与语际显化假设相违。3)具体的例句分析中,将连接标记的翻译策略分为维持、添加、省略、改变、位置变换。决定连接标记添加或省略的原因主要有语言要素(汉语的意合特征、韩中语言差异)、文化要素(惯用表现差异、词汇不对等)、翻译固有特征(逻辑关系的显隐化、内容添加或删减、句子结构简化等);连接标记的改变可分为逻辑关系显化引起的改变和根据目标语逻辑进行的改变;连接标记的位置变化则是由于对于原文句子结构的分析误差,或作为增强信息传达有效性而采用的翻译策略。其中,翻译固有特征造成的连接标记添加及逻辑关系显化引起的连接标记改变可被视为翻译过程中出现的显化现象。即,韩中翻译中确实有语际显化现象的出现,但由于语言要素和文化要素引起的连接标记省略在数量上占有绝对性的优势,因此总体上来看语际显化现象并不十分明确。 本文作为韩中翻译小说普遍性特征的研究,通过与汉语原创小说、韩语原文小说的对比对照,考察了韩中翻译小说的显化现象。并通过韩中翻译与韩语原文的例句对照分析,考察了汉语和韩语在语法和语用层面上的差异,从而分析了两种语言在使用连接标记时表现出的不同特征。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통역번역대학원 > 번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