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4 Download: 0

임신 체험복 착용유무와 스탠딩 캣 스트레칭 처치유무에 따른 자세, 보행, 요추통증지수(VAS)의 차이

Title
임신 체험복 착용유무와 스탠딩 캣 스트레칭 처치유무에 따른 자세, 보행, 요추통증지수(VAS)의 차이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posture, gait, and lumbar spine index (VAS)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pregnancy experience suit and standing cat stretch treatment
Authors
이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체험복 착용유무와 스탠딩 캣 스트레칭 처치유무에 따른 자세, 보행, 요추통증지수(VAS)의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E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임신 경험이 없는, 골반 전방경사(anterior pelvic tilt)가 15°이상인 20대 여성 17명이다. 스탠딩 캣 스트레칭은 임신 체험복을 착용하고 30분 후에 진행하였으며, 오른발, 왼발 각각 10회씩 3세트로 15분간 하였다. 독립변인은 임신 체험복 착용유무와 스탠딩 캣 스트레칭 처치유무이며, 종속변인은 자세, 보행, 요추통증지수이다. 자세는 바디스타일(Mzen, 한국)을 사용하여 관상면, 시상면의 정렬을 보았다. 보행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 Podsiadlo & Richardson, 1991)로 보행속도를 측정하였다. 보행 시의 수직지면반력(Fz)은 지면반력기(kistler, swiss)를 사용하여, 수동 힘과 능동 힘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요추통증지수는 요추의 시각적 통증지수 검사(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하였다. 위의 4가지 검사는 총 4번(임신 체험복 착용 전, 임신 체험복 착용 30분 후, 임신 체험복을 착용하고 스탠딩 캣 스트레칭 후, 임신 체험복 탈복 후) 반복하였다. 자료 처리는 Window용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임신 체험복 착용유무와 스탠딩 캣 스트레칭 처치유무에 따른 집단 간 평균 차이를 비모수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으로, 프리드만 테스트(Friedman test)를 사용하였고, 사후검정(Post hoc)으로는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p)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세는 임신 체험복을 착용한 30분 후 스탠딩 캣 스트레칭을 하였을 때, 임신 체험복 착용 전보다 시상면의 경추(-25.5%)와 골반 기울기(-16.8%)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임신 체험복을 착용하였을 때보다 관상면의 좌우 골반 기울기(-54%), 시상면의 골반 기울기(-20.6%) 각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골반뿐만 아니라 경추의 자세교정에도 도움이 되었다. 보행 운동성과 동적 균형 능력을 평가하는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에서 임신 체험복 착용 30분 후, 스탠딩 캣 스트레칭 후 보행시간은 9.9%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임신 체험복을 착용했다 하더라도 스탠딩 캣 스트레칭은 보행 운동성과 동적 균형 능력 개선에 도움을 주어 보행속도가 증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스탠딩 캣 스트레칭 후, 오른발과 왼발의 수직지면반력(Fz)은 임신 체험복 착용 전이나, 탈복 후 보다 능동적 힘이 감소하였다. 이는 스탠딩 캣 스트레칭으로 복부와 둔근을 활성화시켜 임신으로 인해 무게가 증가했다 하더라도, 내리누르고 펴는 능동 힘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요추통증지수는 임신 체험복 착용 후에 증가하였으나(57.3%), 스탠딩 캣 스트레칭 후는 임신 체험복 착용 전보다도 32.4% 감소하였으며, 임신 체험복 착용 30분 후에는 57%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골반의 전방경사각만을 고려하였고, 발 형태를 구분하지 않았다. 그러나 자세, 지면반력 모두 발 형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 변인이다. 본 연구에서 정상족 뿐만 아니라 평족, 요족에게도 자세와 보행 시 수직지면반력, 통증 지수가 감소되었다는 것은 고무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발 형태에 따른 스탠딩 캣 스트레칭 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는 것은 추후 연구로 한다. 스탠딩 캣 스트레칭은 서서하는 스트레칭이므로 장소에 구애 없이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스탠딩 캣 스트레칭은 자세 교정과 보행 효율성, 요통 감소에 효과적이므로 임산부뿐만 아니라 골반 전방경사로 요통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실제 임산부가 아닌 임신 체험복을 사용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추후 연구는 실제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여 스탠딩 캣 스트레칭의 운동 효과를 다른 동작들과 비교하는 것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osture, gait, and lumbar spine index (VAS)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pregnancy experience suit and standing cat stretch trea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 women in their twenties who had an anterior pelvic tilt of 15 ° or more and had no experience of pregnancy at E university in Seoul. Standing cat stretching was performed 30 minutes after wearing the pregnancy experience suit, and it was performed for 15 minutes in three sets of 10 times each of the right foot and left foot.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presence of pregnancy experience suit and standing cat stretch treatment,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posture, gait, and lumbar spine index. The postures were aligned on the coronal and sagittal planes using body style (Mzen, Korea). Walking speed was measured with a timed up and go test (TUG, Podsiadlo & Richardson, 1991). Th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Fz) at the time of walking was divided into passive and active forces using force platform (kistler, swiss). The lumbar spine index was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The above 4 tests were repeated 4 times (before wearing the pregnancy experience suit, 30 minutes after wearing the pregnancy experience suit, after the standing cat stretching with wearing pregnancy experience suit, and after wearing the pregnancy experience suit).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for Window. Friedman test was used as the nonparametric repetitive two-way ANOVA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egnancy experience suit and standing cat stretch treatment.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for the post hoc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is .05. The cervical slope (-25.5%) and pelvic inclination (-16.8%)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agittal plane than in the pregnancy experience suit, when standing cat stretching was performed 30 minutes after wearing the pregnancy experience suit. The angle of right and left pelvic inclination (-54%) and pelvic tilt (-20.6%) of the sagittal plane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pregnancy experience suit was worn.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standing cat stretching was helpful not only for pelvis but also posture correction of cervical vertebrae. In a timed up and go test evaluating gait mobility and dynamic balance ability, walking time was decreased by 9.9% when standing cat stretching was performed after wearing the pregnancy experience suit for 30 minutes. Standing cat stretching helped to improve gait mobility and dynamic balance ability even when wearing a pregnancy experience suit, so walking speed was increased. After standing cat stretching, th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Fz) of the right foot and left foot decreased active force before and after wearing the pregnancy experience suit. This was because the standing cat stretch activates the abdominal and gluteal muscles, so that even if the weight increases due to pregnancy, the verified ground reaction force can be effectively used. The lumbar pain index increased after wearing the pregnancy experience suit (57.3%), but decreased by 32.4% after the standing cat stretch before the wearing of the pregnancy experience suit, and by 57% after 30 minutes of wearing the pregnancy experience suit. Standing cat stretching is a stand-up stretching, so you can do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the place. This standing cat stretching was effective for posture correction, gait efficiency, and reduction of back pain, so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pregnant women but also to those suffering from low back pain with pelvic anterior tilt. This study had limitations in using pregnancy experience suits rather than actual pregnant women. The study of standing cat stretch effect on actual pregnant women will do a future tas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