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1 Download: 0

공공도서관 50+ 금융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공공도서관 50+ 금융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Literacy Program in Public Libraries
Authors
주예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미경
Abstract
공공도서관은 시민의 교육 기관으로서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리터러시는 모국어를 읽고 쓰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 공공도서관에서 리터러시 프로그램은 모국어를 읽고 쓸 줄 알도록 하는 문해 교육으로부터 시작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리터러시 습득을 지원하기 위해 정보를 탐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정보 리터러시 프로그램,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한 컴퓨터, 스마트폰 이용 교육 같은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 국립국어원의 기초문해력 조사결과 읽고 쓰는 능력이 전혀 없는 비문해자는 1.7%에 불과하였으나 OECD skills outlook 2013의 문자 독해력 조사결과 우리나라 중노년층의 실질 문해율은 조사대상 22개국 중 20위로, OECD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OECD, 2013). 단순히 읽고 쓰는 것은 가능하지만 글을 읽고 이해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공공도서관에서의 리터러시 교육도 단순한 문해 교육에서 벗어나 그 주제를 다양화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금융 리터러시는 유효한 금융정보를 선택하고, 이를 이해하고 적용하여 개인의 재정 목표를 달성 및 금융 문제 해결에 있어서 효과적인 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능력이다. 갈수록 복잡해지는 금융 환경과 쏟아지는 금융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확하고 적절한 정보를 찾아 생활 속 금융 관련 과제들을 현명하게 해결하고 올바른 금융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학교 교육이 종료된 성인이 지속적으로 금융 관련 교육을 받고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는 드물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공도서관의 금융 리터러시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고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 계획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금융 리터러시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금융 리터러시의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G20/OECD INFE의 성인을 위한 금융 리터러시 핵심 능력 프레임워크와 이러한 금융 리터러시 핵심 역량을 평가하는 도구인 OECD_INFE의 금융 리터러시 평가 도구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RUSA의 공공도서관 금융 리터러시 가이드라인(2014), 뉴욕 공공도서관의 사서 교육 프로그램인 ‘Money Matters Pro’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금융 리터러시의 핵심 역량의 주제를 크게 소득과 세금, 대출과 신용, 저축과 투자, 예산과 지출, 위험 관리, 은퇴의 여섯 가지 영역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재 미국 도서관에서 실행하고 있는 프로그램 사례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현재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어떠한 형식으로 금융 리터러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현황을 조사하였다. 국내 사례는 2019년 4월 1일부터 8일까지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 통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017년도 말 기준 전국 공공도서관 목록의 홈페이지 주소를 이용하여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금융 관련 프로그램을 확인하였다. 총 1,042개 도서관 중 36개 도서관에서 49건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고 그중 성인 대상 프로그램은 22개 도서관의 26건이었다. 조사한 사례를 바탕으로 도서관에서의 금융 리터러시 프로그램 형식을 유형화하였다. 조사결과 국내 프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형식은 금융 관련 서적의 저자나 유명 강사의 1회 성 강의였고, 다음으로 2회 이상의 금융 전반에 대한 강의가 많았다. 앞에서 도출한 핵심 역량 영역과 유형화한 프로그램 형식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금융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계획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필요로 하는 금융 리터러시의 영역은 생애 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대상을 세분화하여야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다. 프로그램 대상자의 연령을 만 50세 이상의 공공도서관 이용자로 한정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금융감독원의 2018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결과 만50세 이상 응답자의 평균은 모두 OECD 평균을 하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둘째, 국립중앙도서관의 고령자 대상 도서관 서비스 가이드라인 및 정보서비스 개발 연구(2018)에서 만50세 이상의 공공도서관 이용자에게 금융 관련 정보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셋째, 도서관 서비스 대상으로서의 고령자는 법률적인 기준에 적용되는 65세 이상의 이용자뿐 아니라 제 기능의 감퇴로 인하여 일반적인 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50세 이상의 이용자를 모두 포함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프로그램 대상의 분석과 프로그램 주제 선정을 위해 요구조사를 진행하였다. 요구조사에 사용한 설문지는 금융 리터러시 경험, 금융 리터러시 요구, 응답자의 배경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본조사에 앞서 마포평생학습관에 방문하여 사전 조사를 하여 설문지를 일부 수정하였다. 본조사는 2017년 기준 국가도서관 통계에서 성인이용자 10만 명 이상의 공공도서관 9개 관 중, 구 단위 지역이 겹치지 않도록 선정한 7개 관 중 유선으로 사전 문의 시 방문조사를 허가한 최종 6개 관(송파도서관, 남산도서관, 마포평생학습관, 양천도서관, 동대문정보화도서관, 정독도서관)의 만 50세 이상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019년 5월 13일부터 5월 30일까지 직접 방문을 통해 실시하여 회수된 150부 중 만 50세 미만의 응답자와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46부를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5의 빈도 분석, 기술통계, 다중응답분석을 이용하였다. 요구조사 결과, 만50세 이상의 공공도서관 이용자는 주로 방송 매체나 금융기관을 통해 금융정보를 얻으며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에서 응답한 경우는 3건에 그쳤다. 금융정보를 얻은 경험이 없다는 응답은 단 한 건으로 금융정보가 생활과 밀착된 필수 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금융정보를 얻을 때 가장 어려운 점은 금융정보의 출처가 불분명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인지 알 수 없다는 점, 금융 관련 용어가 익숙하지 않음, 특정 상품에 대한 광고인 경우가 많아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 필요로 하였던 금융정보는 세금과 연금 제도 관련 정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으며 연령과 성별에 따라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공공도서관에서 받기 원하는 금융 리터러시 교육 주제는 연금 제도와 은퇴 자산관리 및 투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 정보와 신용에 대한 요구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취업 정보는 연령대와 현재 경제활동 여부에 따라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에는 대상의 세분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 원하는 금융 리터러시 교육 주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성별에 따라서는 세금과 취업 정보 관련 주제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여성 응답자가 남성 응답자보다 평균연령이 낮아 연령대에 따른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연령대에 따라서는 취업, 세금, 재정관리 주제만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교육의 형식은 금융과 건강, 취미, 법률 정보 등 다양한 주제로 구성된 노후 대비 강의와 2회 이상의 금융 전반에 대한 강의였다. 요구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금 제도와 은퇴 자산관리를 주요 주제로 하는 4회분의 금융 리터러시 프로그램 계획안의 예시를 제안하였다. 계획안에는 교육의 세부 내용과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를 금융 리터러시 프로그램 경험이 있는 공공도서관 사서 두 명에게 검토를 받아 계획안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는 참여자의 금융 리터러시가 향상되었는지, 전달한 금융지식을 잘 이해했는지, 참여자의 금융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등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평가와 강의 횟수와 시간은 적절하였는지, 강사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하였는지 등 프로그램의 형식에 대한 평가가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리터러시 프로그램 모델에 따라 공공도서관 금융 리터러시 프로그램 계획안을 제안함으로써 공공도서관 금융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금융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잘 소화하기 위해서는 독해력, 수리력, 디지털 리터러시나 미디어 리터러시처럼 여러 종류의 리터러시가 필요하며 각 리터러시의 수준에 따라 교육의 자료, 형식, 수준,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대상자를 연령대로만 한정하여 각자 다른 리터러시 수준을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또 아직 국내에서는 공공도서관의 금융 리터러시 서비스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나 사서 교육 프로그램이 없으므로 향후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As citizens’ representative educational institutions, Public libraries provides various literacy programs for its users. Literacy refers to the ability to read, write, and understand native language. Public libraries are running various literacy programs such as a ‘Literacy Education’ that allows people to read and write their mother language, and recently developed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that can explore and utilize information to support various literacy education, and ‘Digital Literacy’ that educate how to use computers or smart phone to reduce the digital gap. According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s 2008 research result, the people who has illiteracy issues are only 1.7%, but according to the OECD skills outlook’s 2013 research result, Korea’s the middle and old age’s actual literacy rate tanked 20th among 22 countries, which is very low level among the OECD countries(OECD, 2013). This means they can just read and writhe but have a difficulty to understand some sentences and apply them. This suggests that literacy education in public libraries needs to be diverted and just basic literacy education is not enough. Financial literacy is an ability to select valid financial information, understand an apply it to achieve an individual’s financial goals and make effective decisions in solving financial problems. In the increasingly complicated financial environment and the flood of financial information, we need to be able to find accurate and relevant information to resolve financial problems in our lives wisely and make right financial decisions,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an opportunity to be educated and learn more about financial issu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inancial literacy program of public libraries. First of all,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literacy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were investigated. Next, in order to find out what kinds of contents factor should be included in the financial literacy problem, the financial literacy assessment tool of OECD_INFE, the Public Library Financial Literacy Guidelines of RUSA, the financial literacy core competency framework for adults of the G20/OECD INFE, and the New York Public Library’s a librarian training program “Money Matters Pro,” were investigated. And next, the current domestic case of the financial literacy program is investigated to see what kind of financial literacy programs are going on. To find out domestic cases, financial related programs posted on the homepage of 2017 nationwide public library list provided by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from April 1 to 8, 2019 was checked. Among total 1,042 libraries, 36 libraries were running 49 programs and of that, 22 libraries were running 26 adults program. Based on those cases, the financial literacy program in the library was typified. As a result, the most common forms in domestic programs were one-time lectures by authors of financial books or famous instructors, followed by two or more lectures on general finance issue. This research proposes a plan for public library’s financial literacy program by applying the content elements mentioned above and the typed program form to the adult literacy program model. First, the target for the financial literacy program was selected as a public library user over 50 years old, and then request investigation was processed for analysis of target and selection of topic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urvey was divided into financial literacy experience, financial literacy request, and respondents’ background. Prior to this survey, I visited the Mapo Lifelong Learning Center and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to revise the questionnaire. The research target is over 50years-old users from 6 libraries (Songpa Library, Namsan Library, Mapo Lifelong Learning Center, Yangcheon Library, Dongdaemun Information Library, Jungdok Library). These 6 libraries have selected because it has over 100,000 adult users (National Library of Statistics 2017) and are not overlapped within Ku unit area boundary, and allow us to visit for this research. Surveys were conducted from May 13 to May 30, 2019, and among 150 responses, the user below 50 years-old age and untruthful responses are excluded and final 146 responses were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result, frequency analysis of SPSS Statistics 25,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sponse method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urvey, users of public libraries over the age of 50 mostly obtained financial information through broadcasting media or financial institutions and rarely responded that they get information from the libraries or information centers. Only one responded that there were no experience of obtaining financial information, it confirmed that financial information is essential in life. The most difficult issue when obtaining financial information is that the origin of financial information is unclear and not reliable, financial terms are unfamiliar, and there are many cases of ads for specific products. The most needed recent financial information wa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ax and pension syste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gender. The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topics that respondents want to receive from public libraries in the future are the pension system, retirement asset management and investment. On the other hand, the demand regarding job information and credit information was relatively low. The job information varies greatly according to the age group and current economic activity status, it is obvious that the subdividing of the target audience is necessary when providing job related information. The research examined of there is any preference difference in the topic of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 According to gend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x and employment information but this seems because the female respondents have a lower average age that the male respondents and it reflected the differences by age groups. According to the ages, the topics of employment, tax, and financial manag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type of education preferred by the users was lecture on retirement prepared by various themes such as financial, health, hobby, and law and lectures about general finance more two tim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quest investigation, this study proposed an exemplary plan of four financial literacy program that focus on pension systems and retirement asset management. The plan provided details of education and reference materials. After the program is finished, an evaluation of the contents and format should be made. Content evaluation means whether participants improved their financial literacy, understood the financial knowledge, and how it affected participants’ financial attitudes. Format evaluation means propriety of the number of lectures and tim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literacy program of public library by proposing the financial literacy program plan for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literacy program model.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financial literacy programs, participants need a variety of literacy such as reading comprehension, numerical abilities, digital literacy, and media literacy, and according to each level of literacy, educational materials, format, level, and effect could be diversified. In this study,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target of the program is limited only by the age group so it does not reflect the different literacy level. Furthermore, in Korea public libraries, there is no guideline or librarian education program for financial literacy services, further studies and development ar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