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4 Download: 0

부패 법률 데이터의 지식화에 관한 연구

Title
부패 법률 데이터의 지식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Knowledge Engineering on the Legal Data about Corruption : Focused on the Building of a Legal Ontology about Corruption
Authors
박가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승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the aggregate of corruption-related legal knowledge into interchangeable information by utilizing computer systems. This is based on the view that legal knowledge about corruption is a sort of data or legal contents. This book focuses on building a legal ontology as a methodology structuralizing these legal datum. A legal ontology is a part of ontology, that is defined as ‘explicit conceptualisation of domain’. It makes legal knowledge to be sharable and reusable. Furthermore, it can be used to establish knowledge base systems or create expert systems. A research on corruption has accumulated various fields of study, such as law, public administration, and economics. There are also many legal systems related to curb corruption. These researches and laws related to corruption play a role as a fundamental data to establish legal ontology that has a domain of corruption. The legal ontology presents and structuralizes legal information of corruption. This is because the legal ontology is a tool of a presentation of knowledge. The ontology shows a process of knowledge engineering that corruption-related researches transform into legal information in computer systems. A legal knowledge about corruption can be said to be an area chosen for concrete presentation. In other words, the legal ontology about corruption aims to structure the contents of scattered acts, statutes related to the domain. The purpose here is to explore a little further into making a platform of knowledge that allows computers and researcher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ontology. We may consider the subject under three headings: (1) Searching for a New Methodology for corruption research; (2) Structuralization of corruption-related data; (3) Building a legal ontology about corruption. First of all, we need to look back on previous studies about corruption. To put it more precisely, legal studies related to corruption have not been organically structured individual achievements. It means that no historical theorem or accumulation of discourse on issues was made in the study of corruption-related legal systems. In the operation of the legal system similarly, the accumulation of relevant knowledge was not effectively achieved due to the limitations that it was difficult to ensure the continuity of the work. The lack of accumulating knowledge would arise from not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a formality which is able to systematize results of studies and operation about corruption-related legal systems. In other words, there is little attempt to apply new methodologies to the research environment. There was no awareness of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and the connection of academics.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corruption effects on the entire of social members, and also is necessary to participate in watching and reporting related to corruption. Therefore, it is worth to pursue the expansion of access to relevant knowledge or systematization of disclosure through the use of computer systems. In the second chapter, we will begin by considering references of specialized research groups, such as the Korea Association for Corruption Studies. This step defines the pattern of the study and points out the limits. Then this paper observes how to utilize ICT for academic research to find out a new methodology. Especially we took note of Legal Tech and AI & Law in the field of law. Above all, a legal ontolog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lation of existing legal knowedge. In this chapter we explain a role (legal) ontologies and their methodology. Many existing ontologies are analyzed because they are a viable resource for construction in the form of predefined concepts and relations. In the third Chapter, we describe to structuralize the data related to corruption in order to refine the underlying contents as a previous process to build a ontology. Firstly, we inquire into the concept of corruption, the cau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rruption.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corruption unique to our country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fields such as political, systemical, social-cutural, and private sector, and the hierarchy and types of the codified corruption-related legal system were defined. In addition, from a comparative legal perspective, other countries' corruption-related legal systems were reviewed. The forth chapter describes the process of actually building a legal ontology about corruption. The domain specific ontology represents the contexts of the corruption-related legal systems which are structuralized into obligated, prohibited(disallowed) and allowed norms, and this classification is the normative status of a behaviour with respect to a certain norm. The built ontology provides the basic knowledge on which specific rules to curb corruption and punish corruption crimes like a bribery. The methodology of the ontology involves transforming the legal knowledge derived from the previous stucturalization into classes and properties by using a protégé the tool to make an ontology. The ontology can be used to make a knowledge-based system, a platform for academic research and a legal expert system about corruption. The work presented in this paper contains only codified legal contexts but it is expected to be used by many ways. If it is upgraded and expanded according to specific uses, it can be shared by various users, such as public officers, task processors, and the general public. Though the ontology, sharing and accumulating legal knowledge of corruption on the Web could lead to the creation of an integrated database on corruption, and the path to creating a corruption AI could be closer. This paper describes the role of a knowledge-engineering that explains the processes of knowledge acquisition, presentation and stucturalization. There can be more discussion and new directions addressed as a way to understand and exchange corruption-related specialized research areas with computer systems. Moreover, we hope that this paper serves a momentum to make a new research environment to be able to organize and accumulate knowledge by using various methods of knowledge expression, including a ontology, in various fields of law and even across disciplines.;이 연구는 부패에 관한 법제도 및 관련 연구성과 등을 법률콘텐츠 또는 데이터라는 측면에서 바라보고 이를 종합하여 컴퓨터시스템에 탑재하여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부패 관련 법지식의 총체를 컴퓨터에 축적하여 상호 교환할 수 있는 정보 및 지식으로 만들기 위한 연구를 추구하였다. 그 수단으로서 법률 온톨로지를 구축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법률 온톨로지는 법 분야의 일정한 개념에 관한 형식적이고 명시적인 명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특정한 개념에 관한 공통 요소를 형식화하여 지식의 공유와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지식베이스 구축이나 전문가시스템 생성의 기반이 된다. 부패라는 주제와 관련해서는 법학을 비롯한 행정학 등 여러 사회과학적 분야에서 다양한 논점들이 다루어졌고 이를 규율하는 법률도 다양하다. 기존에 이루어진 부패연구와 법률의 구체적인 내용과 해석을 기초 데이터로 전제하여 우리나라 부패 관련 법제도를 대상으로 부패 법률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는바, 이는 부패 관련 법률 데이터의 구조화를 표방한다. 즉, 특정한 주제인 부패 관련 연구를 정보화하여 컴퓨터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식화(지식 엔지니어링)하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방향은 기존의 부패 관련 연구에 대한 반성적 고려에서 출발한다.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부패 관련 법제도에 대한 연구들은 문제의 산발적 지적과 해결책 제시에 그치고 연구자들 상호간 유기적인 소통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였다. 즉, 부패 법제도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여러 쟁점이 계속 논의되고 법령의 개정에 일부 반영될 뿐 쟁점의 논의에 대한 역사적 정리나 담론의 축적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연구가 대부분 비정형문서의 형태로 이루어져 정형화된 지식 기반이 확립되지 않았다는 현실에 기인한다. 연구의 성과나 제도운영에 관한 데이터들을 체계화하거나 메타데이터를 구축하는 등의 접근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한 것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즉, 기존의 부패 법제도의 운영이나 연구 환경을 정보통신기술의 이용으로 개선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다고 보았다. 기술의 발달은 학문연구나 제도운영과 상호 무관할 수 없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특히, 부패에 관한 법제도의 연구나 운영의 경우 부패의 다양한 양상에 대한 이해와 대처, 부패문제에 대한 높은 사회적 관심이나 부패 관련 신고 활성화 등 일반 국민의 의식 전환 및 참여가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에 컴퓨터시스템의 활용을 통하여 관련 지식의 접근가능성 확대나 담론의 공개화 등을 추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 부패와 관련한 연구의 양상과 제도 운영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한계점을 도출하고자 한국부패학회 등 부패 관련 전문연구단체의 문헌들을 종합하고 연구패턴을 분석하였다. 한편,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하여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학문연구의 방법이나 주제에 변화가 생기는 모습에 주목하였고, 특히 법학 분야에서 리걸테크나 AI & Law 분야의 발달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법률 온톨로지의 개념과 역할, 기존의 구축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부패 관련 법률 온톨로지의 설계 방향 및 구체적 방법론을 정립하였다. 실제 온톨로지의 구축에 앞서 그 바탕이 되는 내용을 정제하기 위하여 부패 관련 데이터를 구조화하고자 하였다. 먼저, 부패에 관한 이론적 기초를 정리하여 부패의 개념, 원인과 우리나라에 고유한 부패의 특성을 분야에 따라 살펴보고, 성문화된 부패 관련 법제도를 대상으로 체계와 유형을 파악하고 종래 논의된 법적 쟁점을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비교법적 시각에서 다른 나라의 부패 관련 법제도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부패 법제도의 범위와 구조를 파악하고, 개별구체적 법제도를 의무규범, 금지규범 및 허용규범으로 항목화하였다. 항목화된 법제도의 내용을 근거로 부패 법률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개별·구체적 법제도가 구조적으로 어디에 위치하고 각 제도가 어떤 관계를 갖는지에 대하여 규명하고, 클래스와 프로퍼티로 구성되는 온톨로지 요소를 정의하여 프로티지라는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렇게 구축한 부패 관련 법률 온톨로지는 부패 관련 지식베이스나 전문가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반 지식에 해당한다. 위 온톨로지의 효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부패 법률 온톨로지를 기초로 부패 연구의 플랫폼이나 부패 법지식기반 데이터베이스에 사용되는 지식 표현의 양상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부패 법률 온톨로지는 관련 법령의 내용만을 반영한 것이지만, 향후 이를 고도화하고 구체적 용도에 따른 확장을 거듭하게 된다면 공무원, 업무처리자나 일반국민 등 다양한 사용자에 의하여 공유될 것으로 본다. 이러한 부패 법률 온톨로지를 바탕으로 부패 지식을 웹상에서 공유하고 축적한다면 부패에 관한 지식기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고, 부패 인공지능을 만드는 길도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지식 엔지니어링의 입장에서 부패 관련 전문연구의 영역을 이해하고 지식화하여 컴퓨터시스템과 상호교환할 수 있는 방법으로 법률 온톨로지의 구축을 시도하였으나 앞으로는 온톨로지에 국한하지 않은 더 많은 지식 표현의 방법에 대한 논의가 펼쳐질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새로운 연구의 장이 펼쳐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