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1 Download: 0

박인환의 아방가르드 시학 연구

Title
박인환의 아방가르드 시학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vant-garde Poetics of Park In-hwan’s poetry : Based on Grotesque as the strategy of subjectification
Authors
김민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끝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gard Park In-hwan as an Avant-gardist in the field of 1950s art, and to identify grotesque in his poetry as an activist's practice of subjectification. Through art-subject's procedure of truth, the theory of Alain Badiou, this study pursues the process of reaching the truth's infinity through an artistic approach. In this study, Park In-hwan's avant-garde poetry is dynamically visualized into a grotesque manifestation. Park In-hwan was a poet who delicately yet boldly defined the avant-garde movement in the 20th century and unconventionally led the field by breaking the traditional art form. His avant-garde poetics was not just confined in the superficial aspect but uncovered the truth by weaving future images through poetry. It is evident in his work that he dreamed of a ‘Singular Universalism’. This study showcases his subjective act through grotesque portrayal, marking the Korean War as a watershed. This study also deals with his works written between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nd before the Korean war; as a contrast to the procedure of truth which showed the art of ‘rarefaction’. The grotesque in chapter Ⅱ is visualized as Park In-hwan's confused panic in ‘artistic situation’. His grotesque refers to the fear about an unfamiliar daily routine depicting a corpse and the god of death in this artistic situation. But as ‘generic human beings’, Park In-hwan wandered around the boundaries of the already established area of art and conducted an artistic experiment. The Korean War is considered to have transformed Park In-hwan's belief on reason/purpose for existence. The post-war traumatic symptom reflects the situation where there was a chaotic disorder between formalized versus non-formalized. In this process, he observed that he had sensed a major shift of paradigm defining beings and criticized its violence. The grotesque in chapter Ⅲ is the aspect of filling out movements of unprecedented beings as Park In-Hwan's response about ‘artistic event’. His grotesque appears to announce death of subject in poems and captures the limping gesture of those who survived the war as proof of event. During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he creates a chaos between the life as a ‘human animal’ and the formal life, which serves to proclaim that the previous structure of situations is no longer valid in their new lives. He presented those who are wounded as in a state of malformation. The appearance of malformation is the evidence of an artistic event. At this time, the occurrence of the malformed human beings is a manifestation of a uniform paradigm through the grotesque. The grotesque in chapter IV appears to be woven by Park In-Hwan's artistic axiom as an ‘artistic gesture’. He rearranged regulations about existence in this situation through the practical strategy of the subject, called Grotesque. It could be considered that his creation of a new ontology was laid out on the basis of ‘void’. Ultimately His grotesque helps us to get to the origin of existence. It is concluded that Park In-hwan's avant-garde poetry showed the practice of crossing the ‘gap’.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we can reconsider Park In-hwan as a simultaneous subjective shape when the state pressed its existence by forcing the only two ways available in 1950s. His avant-garde was not withdrawn but represented resistance through an aesthetic strategy. Ultimately Park In-hwan could be reconsidered as a poet who had practiced ‘subtraction’ and his grotesque poetry could be considered as the subject's own way of act of resistance.;본 논문의 목적은 박인환을 1950년대 예술 영역의 아방가르디스트로 바라보고 그의 시에 나타난 그로테스크를 바디우적 주체화의 행동주의적 실천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서 알랭 바디우의 진리 공정에 따라 예술을 통해 진리라는 무한에 가닿는 경위가 박인환의 아방가르드 시학에서 그로테스크로 가시화된다고 밝히며 역동적으로 굴절하는 그로테스크의 발현을 초점화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전쟁을 기준으로 박인환의 주체적 행적을 그로테스크를 통해 추적하되, 해방 직후 발표한 작품은 주체화 이전 상태의 양상으로 살펴보았다. 박인환은 20세기 아방가르드 운동에 발맞춰 전통적인 예술 형식과 단절하고 예술의 현재화를 실천하던 시인이었다. 박인환의 아방가르드 시학은 단순히 예술 형식의 전위에 국한되지 않고 도래할 미래상(象)을 예술을 통해 직조한다는 데서 진리를 향한 실천적 짜임이 된다. Ⅱ장에 나타난 그로테스크는 ‘예술적 상황’에서 박인환의 혼란스러움이 응집된 공포로 가시화된다. 예술적 상황에서 박인환의 그로테스크는 시체화된 타자와 죽음의 신의 표상을 그리며 생경해진 일상에 대한 두려움을 지칭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적(類的) 존재’로서 박인환은 획정된 예술 영역의 한계를 헤매며 실험을 감행한다. 한국전쟁은 박인환의 존재에 대한 사유를 변모시켰다고 볼 수 있는데, 전쟁의 외상적 증후는 형식화된 것과 그렇지 못한 것들 사이의 관계가 무질서해지는 현재적 상황을 반영한다. 이 과정에서 박인환은 존재를 규정하여 정체화하려는 획일적 패러다임을 감지하게 되고 그것의 폭력성을 비판했던 것으로 고찰된다. Ⅲ장의 그로테스크는 ‘예술적 사건’에 대한 응답으로서 박인환이 전례 없는 존재의 움직임을 시에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단지 살아만 있는 시적 주체에게 의사 죽음을 표출하거나 전후 상해 입은 자들의 절뚝이는 몸짓을 통해 살펴보았다. 사건은 주체화 과정에서‘인간 동물’로서의 삶과 분열토록 만들고 이전의 상황의 구조가 통용되지 않음을 선언토록 종용한다. 사건과 조우했다는 증거로서 박인환은 자신을 포함해 살아남은 자들을 탈정체화(désidentification)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탈정체화된 존재의 발생은 상황 내 자리한 공백의 체현으로서 그로테스크를 통한 획일적 패러다임의 고발로 기능한다. Ⅳ장의 그로테스크는 ‘예술적 몸짓’으로 비로소 ‘예술-주체’로 지칭된 박인환의 개별적 예술 공리로 직조된다. 박인환은 상황 속에서 존재를 쓸모 있는 존재로 정체화시키는 허상의 패러다임을 고발하기 위해 그로테스크를 끝까지 밀고 나가면서 마침내 기존의 패러다임을 재배열한다. 이처럼 박인환은 존재란 비일관적인 다수임을 증명해내면서 그로테스크를 통해 존재론을 정초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박인환의 그로테스크는 잊고 있었던 존재의 시원(始元)을 비추는 창구가 된다. 박인환의 아방가르드 시학은 예술의 최전방에서 존재의 ‘차이’를 횡단하는 실천을 보여주었다고 귀결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50년대 국가가 양자택일의 선택지만 강요하며 존재를 압박해갈 때, 박인환의 아방가르드 정신은 퇴보한 것이 아니라 예술 영역으로 옮겨져 미학적 전략을 통해 저항성을 견지한다고 보면서 박인환을 주체적 형상으로 재전유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박인환은 현 상황의 파괴가 아닌, 예술을 통한‘벗어나기’의 실천을 펼쳤다고 재고되면서 박인환 시에 나타난 그로테스크를 주체의 투사적 이행으로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