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수정-
dc.contributor.author김승희-
dc.creator김승희-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11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1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3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39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632-
dc.description.abstractIntroduction: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is a debilitating psychiatric disorder which is characterized by low mood and loss of pleasure for at least two weeks. MDD may result in enormous socioeconomic burden. Although neuroimag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brain mechanisms of MDD, the brain mechanisms underlying first-episode major depression without antidepressant effects remain yet to be explored. The present study, thus, is aimed to investigate gray matter volumetric differences between female patients with medication-naïve first-episode MDD and healthy controls. Associations between the structural changes and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were examined within the patient group.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included 34 female patients with medication-naïve first-episode MDD and 36 age-matched female healthy controls.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ssessed using the semi-structured clinical interviews. Diagnosis of MDD was performed through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the DSM-IV (SCID-IV).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was assessed us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DRS). High-resolution T1-weighted images were acquired using 1.5 Tesl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ner. Differences in gray matter volum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with a voxel-based morphometry approach. Within-group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between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and the gray matter volumes in regions that showed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MDD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The MD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DI score (t = -10.80, p < 0.001) and HDRS score (t = -32.73, p < 0.001) than healthy controls. As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s, the MDD patients showed a smaller volume of gray matter within the right precentral gyrus (t = 3.73, p < 0.001) and right lingual gyrus (t = 3.99, p < 0.001). There were no brain regions in which the MDD patients showed greater gray matter volume than healthy controls. The total intracranial volume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 = 0.49, p = 0.63). Within the MDD pati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ray matter alterations and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In the present study, female patients with medication-naïve first-episode MDD showed lower gray matter volume in the right precentral gyrus and right lingual gyrus as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he gray matter alterations and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within the patient group. The current findings of the brain structural changes during early stage of first-episode major depression may provide insights into the structural brain mechanisms as well as therapeutic strategies of first-episode major depression.;서론: 주요우울장애는 전세계적으로 과중한 질병 부담을 야기하는 정신질환으로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한다. 주요우울장애의 뇌 구조적, 기능적 병태생리를 밝히고자 하는 뇌영상 연구가 다수 수행되어 왔으나, 항우울제의 영향을 배제한 초발 주요우울장애 환자군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뇌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항우울제 복용 이력이 없는 초발 주요우울장애 여성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간 회백질 용적을 비교하고, 환자군의 구조적 변이와 우울 증상의 심각도 간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항우울제 복용 이력이 없는 초발 주요우울장애 여성 환자군 34명과 이들과 비슷한 연령대의 여성 정상대조군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우울장애의 진단은 구조화된 임상면담도구(Structural Clinical Interview for the DSM-Ⅳ, SCID-Ⅳ)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의 인구학적 정보는 나이ㆍ성별ㆍ교육연한ㆍ결혼상태 등을 조사하여 파악하였고, 우울 증상의 심각도는 자가보고설문인 벡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와 객관적 면담 척도인 해밀턴 우울증 평가 척도(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DRS)로 평가하였다. 뇌자기공명영상을 통해 T1 강조영상을 획득한 후, 화적소기반 형태계측법을 수행하였다. 분석 시 사용한 소프트웨어는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12 (SPM 12)으로, 이를 이용해 T1 강조영상의 전처리 및 군 간 회백질 부피 차이를 비교하는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환자군 내에서 회백질 부피와 우울 증상 사이의 상관 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주요우울장애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간 사회인구학적 특징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벡 우울 척도(t = -10.80, p < 0.001) 및 해밀턴 우울증 평가 척도(t = -32.73, p < 0.001)는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더 작은 회백질 부피를 가지는 영역은 오른쪽 중심앞이랑(right precentral gyrus; t = 3.73, p < 0.001), 오른쪽 혀이랑(right lingual gyrus; t = 3.99, p < 0.001)으로 나타났으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더 큰 회백질 부피를 가지는 영역은 발견되지 않았다. 양 군 간 전체 뇌 부피 역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 = 0.49, p = 0.63). 환자군 내에서 회백질 부피와 벡 우울 척도 간의 상관 분석을 수행한 결과, 벡 우울 척도 및 해밀턴 우울증 평가 척도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는 영역은 없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항우울제 복용력이 없는 초발 주요우울장애 여성 환자군과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회백질 부피 차이를 확인하여, 환자군의 오른쪽 중심앞이랑과 오른쪽 혀이랑 영역의 회백질 부피가 감소되어 있는 것을 관측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이와 우울 증상 간 유의한 상관성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힌 주요우울장애 초기의 회백질 변이는 주요우울장애의 회백질 변화에 대한 이해를 더하여 질환의 치료 전략을 세우는 데 일조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4 A. 연구배경 4 B. 연구 목적 및 가설 33 Ⅱ. 연구방법 34 A. 연구대상 34 B. 사회인구학적 특징 조사 및 임상적 평가 35 C. 뇌자기공명영상 획득 36 D. 화적소기반 형태계측 37 E. 통계분석 38 Ⅲ. 연구결과 40 A. 사회인구학적 특징 및 우울 증상 심각도 비교 40 B. 초발 주요우울장애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간 회백질 부피 차이 42 C. 회백질 부피 변화와 우울 증상 간 상관 분석 45 Ⅳ. 고찰 46 A. 본 연구의 결과 요약 46 B. 초발 주요우울장애 환자군의 회백질 부피 감소 49 C. 본 연구의 강점 및 한계점 53 참고문헌 55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62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초발 주요우울장애 여성 환자에서의 회백질 부피 감소-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화적소기반 형태계측-
dc.title.translatedGray Matter Volume Reduction in First-episode Femal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A Voxel-based Morphometry Study-
dc.creator.othernameKim, Seung Hee-
dc.format.pageii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뇌·인지과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뇌·인지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