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3 Download: 0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 선호 연구

Title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 선호 연구
Other Titles
Housing Preferences of the 2nd Generation Baby Boomers After Retirement in South Korea : Focusing on Residential Perception & Retirement Readiness
Authors
김가람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순희
Abstract
본 연구는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 선호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차 베이비부머 세대는 1968년부터 1974년까지 총 7년간 태어난 세대를 뜻한다. 먼저,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주거와 관련된 내용이 실제로 우리 사회 내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가를 텍스트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소비자 조사를 바탕으로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호와 관련된 영향변수와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즉, 주거 인식, 은퇴준비 충분성, 주거 선호 변수를 토대로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호와 관련된 변수들의 영향 관계 및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및 네트워크텍스트 분석과 소비자 실증분석의 두 부분으로 분류된다. 먼저,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호 관련 기사 및 언론 보도자료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및 네트워크텍스트 분석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논의되는 키워드와 이슈를 살펴보았다. 이후 소비자 조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2017년부터 2년간 14개 언론사에서 보도하였던 639개의 언론자료들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및 네트워크텍스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호가 우리 사회에서 주요하게 논의되는 이슈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주거, 은퇴, 부동산이 빈번하게 언급되는 키워드이며, 은퇴와 관련하여 주거 및 부동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주거의 물리적인 측면 및 부동산에 대한 이슈와 더불어 노후, 주거 선호 등의 키워드를 통해서 은퇴 후 주거와 관련하여 다양한 이슈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소비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현재 주거 특성은 아파트(71.4%)가 가장 많았으며, 점유형태의 경우 자가(68.9%)가 가장 많았다. 주거 규모의 경우 25~32평 이하, 33~40평 이하가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은퇴 후 주거특성을 살펴보면, 현재 주거 유형에서는 단독주택이 10.1% 차지한 것에 비해 은퇴 후에는 단독주택 거주가 51.2%로 과반수가 넘었다. 주거 규모의 경우에는 19~24평과 25~33평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점유형태의 경우 90%가 넘게 자가의 형태를 원했다. 둘째, 현재 주거특성에 따른 주거선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주택규모와 자산규모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주택규모의 경우 투자성과 과시성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두 33~40평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산규모의 경우 접근성, 안전성, 투자성, 과시성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두 11억이 이상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은퇴 후 주거특성에 따른 주거선호의 차이 검증 결과, 지역, 주택유형, 주택규모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접근성, 과시성, 시설 모두 현재 거주지 주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2차 베이비부머 세대들은 은퇴 후에도 자신이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 근처에서 살고 싶어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주택 유형에서 접근성의 경우 아파트를 제일 선호하였으며, 과시성의 성향을 가진 2차 베이비부머들은 단독주택, 시설의 경우 주상복합 및 오피스텔을 가장 선호하였다. 주택 규모와 관련해서는 경제적 실용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은 19~24평 이하 평수를 가장 선호하였고, 투자성, 과시성, 시설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은 41평 이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적 실용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은 은퇴 후에 33~40평 이하, 41평 이하 규모의 주거보다는 소형 평수인 19~24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재 주거특성에 대한 은퇴준비 충분성 변수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주택유형, 주택규모, 자산규모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주택유형은 다가구 및 연립 집단에 비하여 아파트의 평균값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조사대상자의 71%가 아파트에 현재 거주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주택규모의 경우 18평 이하 집단, 19~24평 이하 집단, 그리고 25~32평 이하 집단에 비해 33~40평 이하 집단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자산규모의 경우, 1억 이하 집단보다 4~5억 이하 및 2~3억 이하 집단의 평균이 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컸으며, 이보다 11억 이상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은퇴 후 주거특성에 따른 은퇴준비 충분성의 차이 검증 결과, 주택 규모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3~40평 이하의 주택규모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은퇴준비 충분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거인식을 기준으로 변수들 사이의 연결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베이지안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적 주거인식과 외적 주거인식은 은퇴준비 충분성을 제외하고 모든 변수와 분류적 연결을 가지고 있다. 은퇴준비 충분성과는 연계적 연결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연결을 살펴본 결과, 내적/외적 주거인식과 종속변수인 주거선호의 7개 모든 차원이 원인과 결과의 형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로, 베이지안 네트워크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인식을 기준으로 은퇴준비 충분성, 주거선호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회귀분석과 매개효과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외적 주거인식의 경우 접근성, 투자성, 과시성, 시설에 정적(+)영향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미치고 있었다. 주거에 대한 사회 경제적인 외부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인식하는 2차 베이비부머들은 은퇴 후 주거와 관련하여 접근성이 높고 투자 가치가 있으며 자신의 사회적 지위가 나타나는 곳을 선호하였다. 반면, 주거에 대해서 삶의 본질적인 의미인 내부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인식하는 2차 베이비부머들의 경우 안정성, 경제적 실용성, 환경친화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내적 주거인식이 강하게 나타나는 2차 베이비부머는 주거가 안전한 곳에 있는지, 경제적으로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곳인지, 환경 친화적인지에 대해서 선호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주거에 대해서 어떤 방식으로 인식하는 지에 따라서 은퇴 후 주거선호의 양상이 상이하게 다름을 알 수 있다. 일곱째로, 은퇴준비 충분성은 경제적 실용성에 부적(-)영향 미치고 있으며 접근성, 과시성, 시설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은퇴준비에 대해서 충분히 준비하고 있는 2차 베이비부머들은 은퇴 후 주거를 선택할 때, 접근성이 좋으며 주거 자체 브랜드의 인지도가 높으며 첨단 시설(스마트 홈)를 선호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경제적 실용성의 경우 주거 규모 단지가 크고 자신의 경제적 규모에 알맞은 주거를 선호하였다. 이로써 은퇴준비가 충분히 이루어졌을 경우에, 경제적 실용성에 대한 선호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독립변수인 내적 주거인식이 종속변수인 주거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은퇴 준비성 변수가 어떻게 매개역할을 할 것인가를 검증한 결과, 경제적 실용성과 과시성 변수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존재한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호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비한 가운데, 은퇴 기간이 최대 10년이 남은 2차 베이비부머의 세대를 위한 주거 정책 및 사회적 준비 작업의 기초가 되는 은퇴 후 주거 선호에 대해서 정보를 제공하였음은 물론, 은퇴 후의 주거인식과 은퇴준비 충분성이라는 측면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관련분야의 학문적 지평을 넓혔다는데 것에 가장 큰 의의가 있다. 실제로, 은퇴 후 주거선호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주요 변수들은 주거 이동 여부, 점유 형태, 주택 유형과 같은 주거 특성을 중심적으로 연구가 진행된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인식을 내적과 외적으로 구분하고 은퇴준비 충분성을 중심으로 은퇴 후 주거선호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내적 주거인식과 외적 주거인식이 은퇴 후 주거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의 상이한 결과를 통해서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에 대한 패러다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데이터마이닝 텍스트 언어 분석과정을 거쳐 이슈를 도출하고 해당 내용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연구의 당위성을 입증하고자 하였지만, 비교적 제한된 샘플로 통계분석을 실시한 양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라는 점에서 일반화의 한계점과 함께 후속연구로 2차 베이비부머세대의 주거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ousing preferences of the 2nd generation baby boomers, 2nd baby boomers (aged between 38 and 45) hereafter, in Korea after retirement. First, analysis methods suggest that 2nd baby boomers are highly relevant discussion topics, showing why this study is of importance.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housing preferences of the 2nd baby boomers in their post-retirement years and other variables are presented, with the clarifications made based on survey results. Lastly, the study examines the mediation effect of preferences on where 2nd baby boomers will live depending on how well-prepared they are for retirement. The following factors are also taken into account, including residential perception, retirement readiness, and variables that affect housing preferences. This particular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focuses on text mining and network analysis while the other uses real data analysis. That is, keywords and trends in the Korean society were looked at in detail, utilizing press releases of the 2nd baby boomers through the text network analysis. As for the real data analysis, this method was applied to explore housing preferences of the 2nd baby boomers who stop working. The fin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d foremost, housing preferences of 2nd baby boomers were a relevant social issue within Korea after the text network analysis, as exhibited in 639 articles released by 14 media outlets from 2017 and 2018. More specifically, keywords such as housing, retirement, or real estate have been frequently mentioned in the articles. In fact, retirement is a topic of interest to many in Korea, as highlighted from the attention given in residential areas as well as real estates. Other additional keywords (old age, housing preferences, etc.) imply how several issues revolve around where one lives after retirement. Meanwhile, data analysis found that 71.4% of 2nd baby boomers currently live in apartments. For the type of occupancy, 68.9% had their own homes. At least 60% lived in 25~32 floor space(approx. 82.6~105.8m2) and 33~40 floor space (109~132.2m2) residential areas. In their post-retirement life, 51.2% resided in single-family homes, up from 10.1% before the 2nd baby boomers retired. They preferred to stay in 19~24 floor space(62.8~79.3m2) or 25~33 floor space(82.6~105.8m2) residential areas. 90% of them wanted their own homes, possibly because one can feel a sense of ownership and have a peace of mind. Second, home size and capital amount varied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housing preferences according to current residence of the 2nd baby boomers. Home size seemed to be determined by one’s investment tendencies and whether one has a boastful personality. Most preferred to live in residential areas less than 33~40 pyeong. Depending on the amount of capital, differences were shown in location convenience, home safety, investment tendency, and boastful personality. Many had at least 110 million won saved up. Third, when considering housing preferences after retirement of the 2nd baby boomers in light of current residence, the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results. If one prioritized location convenience, living in apartments was at the top of the list whereas 2nd baby boomers who had boastful tendencies preferred to live in single-family homes. Given a choice, they wanted to live in mixed-use buildings or officetels (small apartment units in multi-purpose buildings). In other words, 2nd baby boomers caring for cultural space and location convenience favored apartments, while others who would rather show off their wealth wanted to stay in single-family homes. In regards to home size, practical and frugal 2nd baby boomers prefer to live in residential areas less than 19~24 floor space. On the other hand, those who focus more on investment potential, showing off their wealth, or have a certain type of residence they want to stay, less than 41 floor space residential areas was their choice. The former group tends to favor 19~24 floor space apartments due to lower maintenance expenses. Fourth, differences have been found in the type of residence, size of homes, and capital amount when looking at retirement readiness depending on where 2nd baby boomers now live. It was clear that more assets allow one to better prepare for retirement. In post-retirement years, those who prefer 33~40 floor space residential area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 retirement readiness scores. Fifth, the Bayesian network analysis demonstrated the connection between various variables based on residential perception. Excluding retirement readiness, both internal and external residential perceptions established a categorical connection with all other variables.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se two residential perceptions may be still linked with retirement readiness. Internal and external residential perception were in a cause-effect relationship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seven elements related to housing preferences. Last but not least, with the Bayesian network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residential perception of the 2nd baby boomers influence their retirement readiness and housing preferences. More specifically,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ediation effect explain that a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hip exists between external residential perception and location convenience, investment potential, boastful personality, along with type of residence. When 2nd baby boomers with an external residential mindset enter retirement, they usually preferred to live in convenient, lucrative areas. Showing off their social status was another reason for such preference. In contrast, another positive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an internal residential mindset and home security, economical aspects, and environmentally-friendly living spaces. Those with an internal mindset want to live in areas that they can handle financially and prefer living spaces that do not pose a threat to the environment. Therefore, depending on what residential perception that 2nd baby boomers have, this affected where they lived in their post-retirement years. A nega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retirement readiness and frugality, whereas a positive one is shown in location convenience and boastful personality. 2nd baby boomers highly opt for residential areas that are convenient, familiar to many people in Korea, and equipped with the latest technologies (smart homes). Conversely, practical and frugal baby boomers preferred places that fit into their budgets. Yet if they felt ready for retirement, they started to focus less on financial aspects. Additionally, the extent of influence on how internal residential perception (independent variable) was made on housing preferences (dependent variable) was examined, taking into account retirement readiness. Thus, a mediation effect was partially observed in factors regarding the frugality and boastful personality of the 2nd baby boomers. Traditional research on the retirement of the 2nd baby boomers mainly concentrated on residential mobility, type of occupancy or residence.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puts more attention on internal and external residential perceptions, and how such mindset affects housing preferences after retirement. An overall trend about the 2nd baby boomers is outlined through such analysis, which highlighted varied outcomes. Meanwhile, from a policymaker perspective, more research is conducted on the 1st generation baby boomers who have already started to retire. Preparing for retirement is no easy feat, requiring time and effort. This particular study selected 2nd baby boomers as a topic to analyze their retirement readiness and housing preferences. Since there is still some time remaining for the 2nd baby boomers until their retire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ovide building blocks for policymakers, who play a role in helping 2nd baby boomers for their retir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