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3 Download: 0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의 부모양육과 다문화 성격에 관한 비교문화연구

Title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의 부모양육과 다문화 성격에 관한 비교문화연구
Other Titles
A Cross-Cultural Study on Parenting and Multicultural Personality in Korean and Canadian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ng Rol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Values
Authors
한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세계화의 흐름에서 다문화/상호문화 역량을 갖추는 것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다문화/상호문화 역량의 구성개념인 다문화 성격은 다문화/상호문화 맥락에서 개인의 효율적인 적응을 예측하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격 특성으로, ‘문화적 공감, 유연성, 사회적 주도성, 정서적 안정성, 열린마음’을 말한다. 이러한 일반적 성격 특성이 다양한 다문화/상호문화 맥락에서 개인의 효과적인 적응에 기여한다는 것이 여러 연구들에서 밝혀졌으나, 어떠한 변인들이 다문화 성격에 기여하는지는 체계적으로 확인되진 못했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다문화 성격에 기여하는 관련 변인의 역할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다문화/상호문화 역량 증진 개입의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연구 1에서는 van der Zee, van Oudenhoven, Ponterotto와 Fietzer(2013)의 다문화 성격 척도 단축판(Multicultural Personality Questionnaire-Short Form, MPQ-SF)의 한국판 타당화 연구를 한국 대학생에게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판 다문화 성격 척도 단축판(Korean-MPQ-SF)의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다문화/상호문화 역량 준거변인(예, 상호문화 감수성, 외집단 수용성)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한 후,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의 다문화 성격 비교문화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 집단 간 주요변인들의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이후 부모양육과 다문화 성격의 관계에서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 변화에 대한 개방성/보수주의 가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1, 2 모두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1의 참여자는 성인진입기(만 18 ~ 25세)에 해당하는 한국 대학생 총 388명이었다. 연구 1에서 van der Zee 등(2013)의 MPQ-SF를 K-MPQ-SF로 선번역하고 역번역 했을 때 문화적 적절성에 벗어나는 문항 내용은 없었고, 번역본과 원본 간 개념적 동등성도 적절하였다. K-MPQ-SF의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을 때, 각 요인별 수렴 및 변별 타당도가 적절하였다. 그러나 다문화 성격 중 유연성과 정서적 안정성을 제외한, 문화적 공감, 사회적 주도성, 열린마음의 세 요인에서만 준거관련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세 요인의 신뢰도는 적절한 수준이었다. 이를 토대로, 연구 2에서 다문화 성격의 문화적 공감, 사회적 주도성, 열린마음의 세 요인만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2의 참여자는 성인진입기의 한국 대학생 385명과 캐나다 대학생 349명이었다. 연구 2의 주요변인에서 집단 차이를 살펴봤을 때, 개인주의 문화의 캐나다 대학생이 집단주의 문화의 한국 대학생에 비해 어린 시절 경험했던 부모 과보호 수준을 더 높게 보고하였다. 변화에 대한 개방성 상위범주 가치 중에서, 한국 대학생은 캐나다 대학생 보다 행위 결정을 중시하는 자기주도-행동 가치 점수가 높았지만, 자율적 사고에 대한 자기주도-사고 가치 점수는 더 낮았다. 한국 대학생은 캐나다 대학생 보다 상대적으로 즐거움과 만족을 중시하는 쾌락주의 가치 점수가 더 높았고, 새로움과 변화에 대한 자극추구 가치 점수는 더 낮았다. 한편, 보수주의 상위범주 가치 중에서, 한국 대학생은 캐나다 대학생 보다 안전-개인적 가치, 동조 가치 점수가 더 높았지만, 전통 가치 점수는 더욱 낮았다. 다문화 성격과 관련해서, 한국 대학생은 캐나다 대학생에 비해 열린마음이 더욱 부족했지만, 사회적 주도성은 더욱 높았다. 본격적으로, 다문화 성격 모형의 다집단 분석에서 집단 차이를 확인하였다. 부모 돌봄이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을 낮추는 직접경로는 한국 대학생에게만 유의하였다. 또한 부모 돌봄이 다문화 성격을 높이는 직접경로 역시 한국 대학생에게 더욱 강력하였다. 비록 집단 차이가 유의하진 않았지만, 변화에 대한 개방성 가치가 다문화 성격을 높이고, 보수주의 가치가 다문화 성격을 낮추는 직접경로는 각각 한국 대학생에게만 유의하였다. 이 외에도, 과보호가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을 높이는 직접경로,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이 변화에 대한 개방성을 낮추고/보수주의 가치를 높이는 직접경로,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이 다문화 성격을 낮추는 직접경로가 두 집단 모두에게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의 간접효과 차이를 확인하였다. 부모양육이 다문화 성격에 이르는 간접 경로에서 다음의 간접효과의 집단 차이가 유의하였다. 즉, 부모 돌봄이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을 낮추고, 낮아진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이 변화에 대한 개방성 가치 추구를 높여서, 결국 다문화 성격을 증가시키는 이중매개효과가 한국 대학생에게만 해당되었다. 비록 간접효과의 집단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부모 과보호가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을 높이고, 높아진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이 변화에 대한 개방성 가치를 감소시켜, 결국 다문화 성격을 저해하는 이중매개효과가 한국 대학생에게만 유의하였다. 또한 간접효과의 집단 차이가 유의하진 않더라도, 캐나다 대학생의 경우에만 부모 과보호가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을 높여 다문화 성격을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상호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문화에 특화된 개입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먼저, 부모자녀 관계가 밀착되고 상호의존성이 강한 집단주의 한국 문화에서 부모의 정서적 보살핌과 자율성 지지적인 양육이 증진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반면, 자녀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불안을 유도하는 과보호의 부정적인 영향을 문화에서 보편적으로 감소시켜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낯선 이(異)문화 상호작용이 위협적이지 않음을 인지하며 불확실한 상황을 수용하도록 돕는 전략이 제공되어야 함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집단과 외집단의 구분이 강한 집단주의 한국 문화에서 가치 고찰 및 가치 교육이 제공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상호문화 역량 증진에서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개별적 개입 뿐 아니라, 가정의 부모양육, 학교의 가치 교육,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사회문화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한 맥락적 개입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Multicultural/intercultural competence has become more important as prompted by globalization. A multicultural personality, which is a construct of multicultural/intercultural competence, includes five stable traits that are predictors of multicultural/intercultural effectiveness, as in cultural empathy, flexibility, social initiative, emotional stability, and open-mindedness. Although many studies show that these dispositions contribute to effective adjustment in intercultural situations, it is not systematically known what the variables are that contribute to the multicultural personality. The major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the role of each variable’s influence on having a multicultural personality in order to prepare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The first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ulticultural Personality Questionnaire-Short Form (van der Zee, van Oudenhoven, Ponterotto, & Fietzer, 2013). In this study,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construct validity were conduct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MPQ-SF was also verified. In the second study,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multicultural personality of Korean and Canadian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First of all, group difference tests of major variables were conducted. Multi-group path-analysis was also examined for the mediation effect of uncertainty intolerance and the high-order values of openness to change and conser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multicultural personality. Studies 1 and 2 were conducted by an online self-report survey. In the first study, the participants included 388 Korean university students from age 18 to 25, in emerging adulthood. Cultural appropriateness and conceptual equivalence of the MPQ-SF was confirmed through forward- and backward-translation.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K-MPQ-SF was proper. However, only the three constructs of cultural empathy, social initiative, and open-mindedness, but not flexibility or emotional stability, showed proper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reliability of these three constructs was also at an appropriate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1, only the three constructs of cultural empathy, social initiative, open-mindednes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of Study 2. Participants in Study 2 were 385 Korean and 349 Canadian university students in emerging adulthood. Canadian participants showed higher parental overprotection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than Korean ones. Belong to the higher-order value of openness to changing, the self-direction-action value was rated more highly by Koreans than Canadians did, while the value of self-direction-thought, which means autonomy of thought inclusive of creativity, curiosity, and interest, was the value that Koreans reported lower for than Canadians did. However, Koreans attributed more importance to the value of hedonism than Canadians; meanwhile, Koreans reported a lower level for stimulation about novelty and challenge than Canadians. Belong to the higher-order vale of conservation, personal security and conformity were the values Koreans rated as more important than Canadians did, but tradition was the value that Koreans reported less importantly than Canadians did. In regard to group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personality, Koreans’ open-mindedness was lower Canadians’, but Koreans’ social initiative was higher than Canadians’. Regarding direct effects and group differences from multi-group analysis, the group differences of two direct effects were significant. Parental care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intolerance of uncertainty for Korean, but not for Canadian participants. Parental care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 personality higher for Koreans than Canadians. Although group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the value of openness to change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multicultural personality for Koreans, but not Canadians. The value of conservation had also direct negative effects on multicultural personality only for Koreans. In addition, significant for both groups was that overprotection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directly affected lower values for openness to change,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directly influenced lower multicultural personality. Finally, this study confirmed the group differences of indirect effects between the Korean and Canadian groups. The double-mediation effect of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openness to change valu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 and multicultural personality was significant for only Koreans, but not for Canadians. Even thought the group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mediation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between parental overprotection and multicultural personality was significant only for Canadians, but not for Koreans. Though the group difference was also not significant, the double-mediation effect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openness to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overprotection and multicultural personality were significant only for Korean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ulture-specific interventions in order to promote multicultural/intercultural competence were suggested. The present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care and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especially in the collectivistic Korean culture. Meanwhile, this study suggested that overprotective parenting related to maladaptive findings which are universal across culture. This study also proposed strategies which could be used to help recognize that uncertainty, which can be caused by unfamilia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not aversive or threatening, and to accept and tolerate uncertainty. Finally, the values of openness to change and conservation directly influenced multicultural personality for only Koreans. This stud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value contemplation and value education in Korea’s collectivistic culture, which has clear group categorization between in-group and out-group. On that basis, this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contextual interventions such as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in the family and values education in school, and a socio-cultural atmosphere which is open and accepting of out-group members, as well as individual interventions in order to manage uncertain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