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원-
dc.contributor.author이고은-
dc.creator이고은-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07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07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4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49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615-
dc.description.abstractIn order to read the text which contains many words, attention, a mechanism to selectively process numerous stimuli presented in the environment(Carrasco, 2011), should be allocated properly. However, the role of attention in visual word recognition has been overlooked because there was a conventional view that word recognition would be controlled by automatic processes (Brown, Gore, & Carr, 2002; Rayner, Pollatsek, Ashby, & Clifton Jr., 2012). Spatial attention was manipul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ttention in visual word recognition tasks such as lexical decision and naming tasks. Spatial attention is defined as a mechanism to shift the focus of awareness to a certain location in the visual field (Carrasco, 2011; Posner, 1980). It was observed that attention could affect the process of word recognition, when the spatial attention was directly manipulated in the lexical decision and the naming task (McCann, Folk, & Johnsto, 1992; Waechter, Besner, & Stolz, 2011). The performance of word recognition was improved when presenting spatial cues at the location where the target words would appear (valid cues), compared when presenting spatial cues at the location where the target words would not appear (invalid cues). Previous research showed that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could vary depending on various variables which had an impact on the process of word recognition. As an index of spatial attention, the cuing effect was calculated as th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word recognition between the valid trials and the invalid trials. The larger cuing effect indicates the greater effect of spatial attention because it reflects the greater difference in performance depending on whether spatial attention is given. In the previous study in English, the magnitude of the cuing effect decreased when the familiarity of the words was increased with the repetition of those words (Risko, Stolz, & Besner, 2011). When the visual quality of words was poor, the cuing effects were increased (Risko, Stolz, & Besner, 2010). The cuing effects were smaller when semantically related words preceded the target than when unrelated words did (Stolz & Stevanovski, 200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in Hangul word recognition. It is examined whether spatial attention affects Hangul word recognition as in English literature and whether the demands of spatial attention are varied depending on the variables affecting word recognition tasks. First, we examined whether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word frequency, a lexical variable. Second, the influence of the visual quality of words on spatial attention was investigated. Third, the role of spatial attention was examined with the semantic and non-semantic context. Semantically related words were preceded targets as semantic context, orthographically related nonwords preceded them as non-semantic contex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st, it was observed that spatial attention affects Hangul word recognition (Exp. 1). The cuing effects appeared in the lexical decision task and naming task, and the magnitude of the effects was similar across the tasks. Second,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varied according to word frequency (Exp. 2). While the cuing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when word frequency is high, the significant cuing effects were obtained in the lexical decision and the naming task when word frequency is low. Third,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were similar across the visual complexity of words but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trast (Exp. 3). The cuing effects did not differ between the words with high complexity and those with low complexity. However, the cuing effects were larger when the contrast is low than when the contrast is high. Fourth,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were similar regardless of whether the contexts were semantically related or not (Exp. 4). The cuing effects did not varied when semantically related words preceded targets, compared to when unrelated words preceded them. Fifth,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decreased for the targets when orthographical context was provided (Exp. 5). The cuing effects were smaller when orthographically related nonwords preceded targets than when unrelated nonwords preceded them (Exp. 5). This study was the first to examine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in Hangul word recognition. It was observed that spatial attention had an important role in Hangul word recognition. Furthermore, based on the theoretical model of word recognition, we investigated whether variables related to lexical, prelexical, and postlexical processes could affect the demands of spatial attention.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decreased when lexical processing was facilitated in case of words with high word-frequency.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increased when prelexical processing was degraded with low visual quality. Orthographical context that was likely to promote prelexical processing could reduce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However, there was no evidence that semantic context that might facilitate postlexical processing could vary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spatial attention is important in Hangul word recognition and that spatial attention could be affected by the variables related to processes of word recognition, that is, lexical, visual, and contextual variables. ;주의는 환경에 제시되는 수많은 자극 중 특정 자극을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기제로(Carrasco, 2011), 수많은 단어로 이루어진 글을 효과적으로 읽기 위해서는 주의의 적절한 할당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시각적 단어 재인 과정에 대해서는 자동적인 처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단어 재인에서의 주의의 역할은 간과되어 왔다(Brown, Gore, & Carr, 2002; Rayner, Pollatsek, Ashby, & Clifton Jr., 2012). 어휘판단과제, 명명과제와 같은 대표적 시각적 단어 재인 과제에서 주의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주로 공간주의(spatial attention)가 조작되었다. 공간주의는 우리가 볼 수 있는 시각장에서 특정 위치로 의식의 초점을 향하게 하는 기제라고 할 수 있다(Carrasco, 2011; Posner, 1980). 공간단서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공간주의를 조작하게 되면, 주의가 시각적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McCann, Folk, & Johnston, 1992; Waechter, Besner, & Stolz, 2011). 표적 단어가 제시되는 위치에 공간단서를 제시하는 것(타당 단서)은 표적단어가 제시되지 않는 위치에 공간단서를 제시할 때(비타당 단서)에 비해 단어 재인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얻는다. 공간주의는 단어 재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공간주의의 영향은 비타당한 단서가 주어졌을 때의 수행에서 타당한 단서가 주어졌을 때의 수행을 뺀 단서효과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단서효과가 클수록 공간주의가 주어지는가에 따라 수행의 차이가 더 큰 것이기 때문에, 공간주의의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영어권 선행연구에서는 단어가 많이 반복되어 친숙성이 증가할수록 단서효과는 감소하였고(Risko, Stolz, & Besner, 2011), 시각적인 질이 떨어지면 단서효과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isko, Stolz, & Besner, 2010). 또한 표적 단어와 의미적으로 관련된 단어가 제시되는 경우에는 무관한 단어가 제시된 경우보다 단서효과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Stolz & Stevanovski, 2004). 본 연구에서는 한글 단어 재인에서 공간주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한글 단어 재인에서도 공간주의의 영향이 영어권 연구와 유사하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단어 재인 과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에 따라 공간주의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검토한 변인으로 첫째, 어휘적 변인인 단어빈도에 따라 공간주의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시각적 변인으로서 단어의 시각질을 조작하여 공간주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셋째, 맥락적 변인으로 의미적인 맥락과 비의미적인 맥락에 따라 공간주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의미적인 맥락으로서 표적단어와 의미적으로 관련있는 단어를 제시하였고, 비의미적인 맥락으로서 표적단어와 표기적으로 관련있는 비단어 자극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주의는 한글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 1). 어휘판단과제와 명명과제에서 모두 단서효과가 나타났으며, 단서효과의 크기는 두 과제 간 유사하였다. 둘째, 단어빈도에 따라 공간주의의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다(실험 2). 고빈도 단어에서 단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저빈도 단어에서는 단서효과가 어휘판단과제와 명명과제 모두에서 나타났다. 셋째, 단어의 시각적 복잡성에 따라 단서효과는 유사했으나, 단어의 대비에 따라서는 단서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실험 3). 복잡성이 높은 단어와 복잡성이 낮은 단어에서 단서효과의 크기는 다르지 않았으나 대비가 높을 때보다 대비가 낮아 단어가 흐릿하게 보일 때 단서효과는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미적으로 관련된 맥락이 제시될 때와 무관한 맥락이 제시될 때 단서효과는 다르지 않았다(실험 4). 표적단어와 의미적으로 관련된 단어가 선행되었을 때와 무관한 단어가 선행되었을 때의 단서효과는 유사하였다. 다섯째, 무관한 맥락이 제시될 때에 비해 표기적으로 관련된 맥락이 제시될 때에 단서효과는 감소하였다(실험 5). 표적단어와 무관한 자극이 선행되었을 때에 비해 표기적으로 관련된 자극이 선행되었을 때 단서효과가 작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 단어 재인에서 처음으로 주의의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주의가 단어 재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단어 재인 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토대로 어휘(lexical) 처리, 어휘전(prelexical) 처리, 어휘후(postlexical) 처리와 관련된 변인에 따라 주의의 역할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고빈도 단어에서처럼 어휘 처리가 향상될 때에는 주의의 영향이 감소되는 것으로, 시각질이 감소하여 어휘전 처리가 저하될 때에는 주의의 영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기적인 맥락을 제시하는 것은 어휘전 처리를 촉진하면서 주의의 영향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미적인 맥락을 제시하여 어휘후 처리가 촉진되는 경우 주의의 영향이 달라진다는 증거는 얻지 못했다. 단어 재인과 관련된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 즉, 어휘적 변인, 시각적 변인, 맥락적 변인들에 따라 주의의 영향이 달라질 수 있는지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공간주의와 언어 처리: 공간단서 패러다임 4 B. 언어 처리의 자동성에 관한 입장 5 C. 시각적 단어 재인 모형 7 D. 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 1. 어휘적 요인 11 2. 시각적 요인 12 3. 맥락적 요인 13 E. 연구문제 14 Ⅲ. 실험 1 17 A. 연구방법 17 1. 참가자 17 2. 기구 17 3. 재료 및 설계 18 4. 절차 19 B. 결과 및 논의 20 1. 오반응률 21 2. 반응시간 22 Ⅳ. 실험 2 24 A. 실험 2A 24 1. 연구방법 24 가. 참가자 24 나. 기구 25 다. 재료 및 설계 25 라. 절차 26 2. 결과 26 가. 오반응률 27 나. 반응시간 27 B. 실험 2B 28 1. 연구방법 28 가. 참가자 28 나. 기구 29 다. 재료 및 설계 29 라. 절차 29 2. 결과 29 가. 오반응률 29 나. 반응시간 31 C. 논의 32 Ⅴ. 실험 3 33 A. 실험 3A 33 1. 연구방법 33 가. 참가자 33 나. 기구 34 다. 재료 및 설계 34 라. 절차 35 2. 결과 35 가. 오반응률 35 나. 반응시간 36 3. 논의 37 B. 실험 3B 38 1. 연구방법 38 가. 참가자 38 나. 기구 38 다. 재료 및 설계 38 라. 절차 40 2. 결과 및 논의 40 가. 오반응률 40 나. 반응시간 41 Ⅵ. 실험 4 44 A. 연구방법 44 1. 참가자 44 2. 기구 44 3. 재료 및 설계 45 4. 절차 47 B. 결과 48 1. 오반응률 48 2. 반응시간 48 C. 논의 50 Ⅶ. 실험 5 52 A. 연구방법 52 1. 참가자 52 2. 기구 52 3. 재료 및 설계 52 4. 절차 54 B. 결과 및 논의 54 1. 오반응률 54 2. 반응시간 55 Ⅷ. 종합논의 57 참고문헌 64 부록1. 실험 1의 단어 자극 목록 69 부록2. 실험 2의 단어 자극 목록 70 부록3. 실험 3A의 단어 자극 목록 72 부록4. 실험 3B의 단어 자극 목록 74 부록5. 실험 4의 단어 자극 목록 75 부록6. 실험 5의 단어 자극 목록 77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98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시각적 단어 재인에서 공간주의의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in visual word recognition-
dc.creator.othernameLee, Ko Eun-
dc.format.pageix,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