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5 Download: 0

정보조직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영역 및 내용요소에 관한 연구

Title
정보조직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영역 및 내용요소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Major Areas and Components in Education to develop Information Organization Ability
Authors
최예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연경
Abstract
정보조직분야는 자원을 일정한 형태로 조직하고 기술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는 분야로 문헌정보학 교육의 시작점이다. 정보조직분야는 서지환경과 업무환경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기 때문에 정보조직 교육과정은 분류, 목록 등 전통적인 서지제어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정보조직과 관련하여 새롭게 등장한 개념이나 표준과 규칙, 업무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에 대한 내용들을 포함하도록 지속적으로 정보조직분야 교육내용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정보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조직분야 교육과정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야 하는 영역과 그 내용요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지적구조분석과 연계분석, 전문가평가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문헌정보학의 학문성과 문헌정보학의 교육영역, 관련 표준지침 등을 고찰하고, 정보조직교육의 의의와 정보조직분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교육내용을 파악하였다. 문헌정보학은 이론과정과 실무과정을 상호보완적으로 구성해야 하는 종합학문이자 현장학문으로, 자원을 분류하고 목록하는 지식과 기술을 다루는 정보조직은 문헌정보학 교육이 시작된 이후, 꾸준히 문헌정보학 정규교육과정에서 주요한 영역으로 기능하였다. 더불어 정보조직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자원에 대한 검색과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실무 현장에서 관련 지식이 직접적으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현재에도 여전히 매우 주요한 영역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보조직 관련 교육과정은 서지환경과 목록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교육내용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설문조사는 2018년 5월부터 10월까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실시하는 사서교육훈련 중 정보조직분야와 연관된 집합교육을 수강하는 현장사서 12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직접 집합교육 현장을 방문하여 총 120부의 설문을 배포하고, 모두 회수하였다. 설문분석에는, SPSS ver. 20.0과 MS Office Excel 2013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요인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활용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현장사서들 대부분 정규교육과정에서 정보조직분야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나, 실무적으로 매우 도움이 된다기보다는 분류, 목록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교육을 받았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조직분야를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핵심이자 필수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정보조직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조직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은 분류와 목록 이론의 적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어 실무에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을 다루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무적으로 적합하게 구성되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조직분야의 교육과정에서 분류체계의 적용(KDC, DDC, LCC), 도서기호의 유형 및 적용, 정보조직 실습 등에 실제 업무와 관련된 지식과 기술에 대해서는 보다 강조할 필요성이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조직분야 재교육과정에서는 메타데이터와 Linked Data, 서지프레임워크(BIBFRAME) 등 정보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에 대한 내용을 강조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구조분석에서는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보조직분야 교육영역과 연구영역의 지적구조를 분석하였다. 먼저 정보조직분야 교육영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교 22개교에서 개설하고 있는 정보조직분야 교과목 110개 강의개요에서 추출한 빈도수 10회 이상의 명사형 단어 71개를 대상으로 동시출현단어에 대한 피어슨 상관계수 행렬을 작성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정보조직분야 연구영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Web of Science를 활용하여 2017년을 기준으로 ‘KCI-한국어학술지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문헌정보학(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분야 학술지 중 문헌정보학 관련 주제를 망라적으로 다루며 학술적 성향이 강한 6종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주제(Topic) 검색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 중 한국어 키워드를 가지고 있는 1,215건에서 추출한 빈도수 7회 이상의 한국저자키워드 91개를 대상으로 동시출현단어에 대한 피어슨 상관계수 행렬을 작성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정보조직분야의 교육영역은 크게 분류, 목록, 색인, 메타데이터에 대한 이론적인 지식을 교육하는 교과목으로 구성된 영역과 전문 사서로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실무와 관련된 교과목으로 구성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보조직분야의 연구영역은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를 다루는 영역, 폭소노미와 색인, 자동분류에 대한 연구를 다루는 영역, 문헌정보학을 중심에 둔 기록관리학에 대한 연구를 다루는 영역, 메타데이터와 온톨로지, 시소러스 등을 중심으로 한 연구를 다루는 영역, 각국의 목록규칙과 자원을 기술하기 위한 각종 표준을 다루는 영역, 국가도서관,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등 각종 도서관에서 수행하는 자료조직업무와 정책을 다루는 영역, 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이용자연구, 각국의 분류체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저자키워드 기반 동시출현단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한 정보조직분야 교육영역과 연구영역의 지적구조에 대한 내용분석을 수행하여, 교육영역과 연구영역의 지적구조를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연계분석을 통해 정보조직분야를 정보조직일반, 분류, 주제분석, 목록, 색인초록, 메타데이터, 실습 등 7가지 영역으로 구조화하고, 문헌연구와 현장사서 12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총 60개의 내용요소를 선정하였다. 정보조직 일반 영역은 다양한 자원을 조직하고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다루는 영역으로 4개의 내용요소로 구성하였다. 분류 영역은 자원을 분류하거나 새로운 분류체계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다루는 영역으로 6개의 내용요소로 구성하였으며, 자원의 주제를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다루는 주제분석 영역은 11개의 내용요소로 구성하였다. 목록 영역은 자원을 기술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다루는 영역으로 24개의 내용요소로 구성하였으며, 색인과 초록을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다루는 색인초록 영역은 5개 요소로 구성하였다. 다양한 주제와 유형으로 표현되는 정보를 조직하고 기술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다루는 메타데이터 영역은 8개의 내용요소로 구성하였다. 정보조직분야에서 다루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실습과 인턴쉽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실습 영역은 2개의 내용요소로 구성하였다. 종합분석을 통해 구성한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과 영역별 내용요소의 적절성과 내용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학에서 분류, 목록, 메타데이터, 자료조직, 정보조직 등을 교육․연구하는 전임교수 14명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 기법을 활용하여 2019년 2월 1일부터 3월 19일까지 2차에 걸쳐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과 영역별 내용요소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SPSS ver. 20.0과 MS Office Excel 2013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설문문항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와 함께 중앙값과 최빈값, 사분 범위 등의 기술통계량과 함께 합의도, 수렴도, 내용타당도 비율 등을 분석하였다. 1차 평가 결과, 서술식 의견을 반영하여 주제분석 영역을 분류 영역에 통합하고, 목록 영역에 메타데이터 영역을 통합하였으며, 분류영역과 목록영역에 각각 1개의 내용요소를 추가하였다. 내용타당도 비율과 서술식 의견을 고려하여 1개 영역, 29개 내용요소를 삭제하여 정보조직분야를 4개 영역 33개 요소로 재구성하였다. 2차 평가 결과, 서술식 의견을 반영하여 중복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진 내용요소 2개를 삭제하였다. 2차 평가에서 추가적으로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 및 영역별 내용요소의 중요도와 난이도를 분석한 결과, 전문가들은 소속기관에 관계없이 한국십진분류법과 한국목록규칙, KORMARC 등 분류 영역과 목록 영역에서 다루는 대부분의 내용요소를 정보조직분야 정규교육과정에서 반드시 다뤄야 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목록 영역에 속하는 내용요소들은 난이도가 높은 내용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내용을 토대로 최종적으로 정보조직분야를 정보조직일반, 분류, 목록, 실습이라는 4영역으로 구성하고, 정규교육과정에서 반드시 교육되어야 하는 요소와 학생들의 수준이나 요구나 시간적 또는 물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난이도를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는 요소, 그리고 재교육과정에서 반드시 교육되어야 하는 요소로 구분하여 총 31개의 영역별 내용요소를 제시하였다. 정보조직과 관련된 기본적 개념을 다루는 정보조직 일반 영역은 정보조직분야 정규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다뤄야 하는 1개의 내용요소로 구성하였다. 분류 영역은 문헌분류와 주제분류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과 원리, 유형과 적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영역으로 총 11개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이 중 7개의 내용요소를 정규교육과정에서 필수적 다뤄야 하는 요소로 구분하고, 10개의 내용요소를 재교육과정에서도 다뤄야 할 요소로 구분하였으며 6개의 내용요소를 난이도 조정이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구분하였다. 서지를 제어하고 기술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과 도구에 대한 지식을 다루는 목록 영역은 총 18개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10개의 내용요소를 정규교육과정에서 필수적 다뤄야 하는 요소로 구분하고, 16개의 내용요소를 재교육과정에서도 다뤄야 할 요소로 구분하였으며 11개의 내용요소를 난이도 조정이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구분하였다. 정보조직 관련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실무적 능력을 키우기 위한 실습 영역은 정보조직분야 정규교육과정과 재교육과정에서 모두 필수적으로 다뤄야 하며, 난이도 조정이 반드시 필요한 1개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조직분야의 교육 및 연구영역의 지적구조를 연계하여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을 규명하고,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전문가평가를 함께 수행하여 전문적 지식과 실무적 요구를 모두 반영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그러므로 영역별로 도출된 내용요소를 정보조직분야 교과목에 대한 강의계획안이나 교수요목을 설계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향후 정보조직과 관련된 새로운 교육이나 연구가 진행되거나 현장사서에게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이 새롭게 등장하더라도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을 통해 언제든 정보조직분야의 영역별 내용요소를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보조직분야 영역별 교육내용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organization is a field that educates the necessary and needed knowledge and skills to organize and describe resources in a certain form. Information organization is a starting point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is a field which distinguishe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rom other disciplines. Since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of the bibliographic environment and the work environment,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curriculum should consistently developed the component to include not only a knowledge of traditional bibliographic control including classification and cataloging, but also a new concept or the new concepts, standards and rules required in the work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reas and components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the course of information organization education to cope with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To do this, literature research,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questionnaires, and expert evaluations were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related standard guidelines were examined. Also, the significance of information organization education and education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education course were grasp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s a comprehensive study area should be complementary to theoretical and practical courses, and the knowledge and skills of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to classify and catalogue resources are continuously developed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is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area in terms of effective management of information, search and access to resources, and the direct use of relevant knowledge in the field.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bibliographic and cataloging environments.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20 librarians who attending collective education training program related to the field of information organization conducted by National Library in Korea from May to October, 2018. A total of 120 survey were distributed, and all 120 copies were collected. For the survey analysis, SPSS ver. 20.0 and MS Office Excel 2013 were used with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most of the librarians have experience of taking courses related to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in regular education course, but it was being more significance that they have received basic information about classification and cataloging rather than actual practical help.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was recognized as the core and essential field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bu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of information organization was found to be average. In addition, the contents covered by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curriculum are dealt with detail about the practical contents necessary for the application of classification and cataloging theory, but they do not cover the newly required knowledge and skills as the information environment changes. So,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is structured appropriately in terms of practicality, and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or develop the education area and component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organization. In the course of information organization,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a need to emphasize more about the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the actual work including application of classification system (KDC, DDC, LCC), type and application of book number and information organization practice. Also, in the re-education process of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it is recognized that the new knowledge and technology needed to cope with the change of information environment such as metadata, Linked Data, and BIBFRAME should be emphasized. For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education area and the research area were conducted in order to grasp main subjects of information organization.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ducation area of information organization,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imilarity matrix with words was constructed and the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on 71 nominal words with 10 or more frequency extracted from the 110 information organization related lectures' course description. Also, for research araea of information organization, 6 journals which representative journals with regard to LIS and listed in Korea Citation Index(KCI) database provided by Web of Science(Wo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KCI-subject area were selected, and topic research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Korean author keywords for 1,215 articles were extracted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imilarity matrix with the co-occurrence 91 keywords with 7 or more frequency words was constructed to perform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ducation area in the field of information organization is broadly divided into a field composed of courses that teach the theoretical knowledge about classification, catalogue, indexing, and metadata, and a field composed of subjects related to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 for work as a professional libraria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earch area of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is divided into seven areas: (1) area for research on research trends, (2) area for research on folksonomy, indexing, and automatic classification, (3) area for research on record management focusing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 area for research focus on metadata, ontology, and thesaurus, (5) area for various cataloging rules and standards for describing resources in various countries, (6) area for material organization tasks and policies that are carried out by various libraries including national libraries, university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and (7) area for reading education, user study centering with school libraries and classification system schema in each country. After, the contents of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education area and research area derived from the co-occurrence keyword network analysis were analyzed, and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education domain and research domain were conducted.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was structured into 7 areas including information organization in general, classification, subject analysis, cataloging, indexing and abstracting, metadata, and practice. Also, referred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by 120 field librarians, a total of 60 content elements were selected. The general area of information organization is composed of 4 components which dealing with the knowledge needed to organize and manage various resources. The classification area consists of 6 components, which are dealing with the knowledge needed to classify resources or develop a new classification system. The subject analysis area, which deals with the knowledge required to analyze the subject of the resource, consists of 11 components. The cataloging area consists of 24 components, which cover the knowledge required to describe the resources. The indexing and abstracting area, which covers the knowledge required to create index and abstract, consists of 5 components. The metadata area, which deals with the knowledge required to organize and describe information expressed in various topics and types, is composed of 8 components. The practice area, which deals with the internship and the training required to carry out the tasks related to the field of information organization, consists of 2 components. In order to verify the adequacy and content validity of the main areas and components of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organized by the comprehensive analysis, couducted professional assessments. To collect feedbacks on the major areas and components of information organization, by using the Delphi survey technique, with 14 full-time professors teaching and researching classification, cataloging, metadata, and information organization from February 1 to March 19, 2019. With SPSS. 20.0 and MS Office Excel 2013, the mean, standard deviation, median, mode, and quadrant of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agreement, degree of convergence, and content valid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first evaluation, the subject analysis area was integrated into the classification area, the metadata area was integrated into the cataloging area, and 1 content element was added to the classification area and the cataloging area, respectively.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was reconstructed into 4 areas and 33 elements by deleting 1 domain and 29 components based on the narrative expression and content validity ratio. As a result of the second evaluation, 2 content elements with duplicate or similar meaning were deleted by reflecting the narrative com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the major areas and components in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in the secondary evaluation, the experts have recognized that most of the components covered in classification area and cataloging area, including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orean Cataloging Regulation and KORMARC, are important concepts that must be handled in the course of information organization education. Especially, the components belonging to the cataloging area were recognized as the one with high difficulty level. This tendency was not different by the affiliation of the panel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is divided into 4 categories: information organization, classification, cataloging, and practice. In addition, a total of 31 components of each areas are presented as divided into 3 factors: the factors that need to be educated in the regular curriculum, the factors that need to adjust the difficulty level considering the level or demand of the students and the temporal or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factors that need to be include in postprofessional education curriculums. First, the general area of information organization that deals with basic concepts of information organization related is composed of 1 component that must be dealt within the formal education course of information organization. Second, the classification area consists of 11 elements, covering the basic theories, principles, types and application methods of document classification and subject classification. Among them, 7 components are classified as essential elements in the regular education process. 10 components are classified as elements to be handled in the postprofessional education process. 6 components are classified as essential elements for difficulty adjustment. Third, the cataloging area covering the knowledge of the standards and tools needed to control and describe the bibliography are composed of 18 components in total. 10 components are classified as essential elements in the regular education curriculum. 16 components are classified into the elements to be handled in the postprofessional education process as well. 11 components are classified into the elements that are necessary to re-adjust the difficulty. Lastly, The practical area for developing the practical skills necessary for performing information organization related tasks should be dealt with in both the regular education course and the postprofessional education course in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consisted of 1 factor that is necessary for difficulty adjustment. The significancy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education and research area in the field of information organization, conducted the survey, and integrated them which allow to reflect both professional theory and practical requiremen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content elements derived from each area as basic data that can be helpful in designing the lecture plan or the curriculum on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In the future, even if new education or research related to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is in progress or the knowledge or skills needed for field librarians are newly introduced,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content elements of each area of information organization at any time through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designing contents of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