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1 Download: 0

독일 연방정부 및 주(州) 차원의 상호문화교육 실태 분석

Title
독일 연방정부 및 주(州) 차원의 상호문화교육 실태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n content and implementa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rman federal government and states
Authors
정다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한업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and implementation of German intercultural education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documents of the intercultural education by the German federal government and states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methods, and analyzed how these were reflect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y using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intercultural education, which is recommended by the German federal government, is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which is divided into attitudes,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toward diversity. The content categori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clude content on “self-culture and other cultures”, “history and effect of migration”, “cross-curricular learning” and “intercultural issues” that deal with sensitive topics such as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particular, the latest document from the federal government recommended that the cross-curricular learning such as European education, democratic education, global learning,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should be used in all subjects in connection with intercultural education. The method of intercultural education by the federal government was analyzed as “interaction and cooperation activities”, “multiperspective”, “multilingual approach” and “critical perspective”. Government-level documents emphasized to utilize the language competence of immigrant students and to develop the multilingual competence of all students. Secondly, the goal of intercultural education that the documents of states have suggested is the growth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subcategories are divided into attitudes,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toward diversity. The content of the intercultural education occupied a large part in the documents, which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document type is often a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ce. The content categori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clude “intercultural issues” such as discrimination, prejudice, conflict, and ethnocentrism, “awareness of diversity”, “history and effect of migration”, “coexistence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Legal rights of migrants”. Educational methods were structured into the categories of “transformation of perspectives and multiperspective”, “project learning”, and “multilingual approach”. The curriculum of intercultural education between the governmental level and the states level was presented similarly. Thirdly, contents of intercultural education presented in textbooks of Schleswig-Holstein Elementary School 3rd and 4th grade are as follows. The content categori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analyzed as “awareness of diversity”, “attitude toward diversity”, “conflict and equality”. First, “awareness of diversity” is about “diversity of ethnicity, religion, Europe, language” and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country”.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subjects were German and English. Linguistic diversity and ethnic diversity are frequently presented in German subjects, and the culture of English – speaking countries is frequently presented in English subjects due to the nature of language education. Next, “attitudes toward diversity” include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solidarity”, and “respect for diversity”, which were most emphasized in religion and English textbooks. Finally, the subcategories of “conflict and equality”, categories were analyzed as “conflict”, “inequality”, and “cause and effect of war”, which were the most discussed in religion textbook. In summary, the most presented part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as “awareness of diversity”, and the intercultural education contents were most revealed in English subject. However, it is analyzed that the textbooks do not fully reflect the intercultural education emphasized by the federal government and the stat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linked with the method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f education cannot be changed completely, teachers can use the intercultural teaching method.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suggest school to deal with sensitive issues such as discrimination, prejudice, inequality, and conflict related to issues of a multicultural society. Third, schools should promote the multilingual competence of all students. Fourth, intercultural educa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eacher training. Fifth,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seek ways to combine intercultural education with the curriculum in the long term.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analyzed documents are only at the recommendation level, so there was a limitation to reveal how german schools implement the education. Second, only 5 of the 16 states are analyzed. This study has not been able to analyze the intercultural education of all the states since the availability of documents were limited. Third, there was a limit to analyze how intercultural education is reflected in the overall German textbooks. In Germany, because of the discretion of the teacher in the selection of the textbooks, some schools did not use the textbooks of specific subjects, so the textbook analysis alone could not grasp the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actual classes. These limitations should be complemented by subsequent stud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cultural education of the German federal government and states systematically, which is regarded as a good practice of intercultural education. It will be helpful for Korea's schools where the need for intercultural education is emerging. Second, this analysis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본 연구는 독일 상호문화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찾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독일 정부가 권고하는 상호문화교육 자료와 주(州)가 제시하는 상호문화교육과정 및 지침서를 목표, 내용, 방법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것들이 초등학교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하여 한국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의 네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독일 정부차원의 상호문화교육은 어떻게 권장되고 있는가? 둘째, 독일 주(州)차원의 상호문화교육은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가? 셋째, 독일의 교과서는 상호문화교육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 넷째, 독일 상호문화교육이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질적 내용분석 방법 중 귀납적 방식으로 정부차원과 주차원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 번째 연구결과인 정부차원의 자료에서 분석된 상호문화교육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독일 정부가 권고하는 상호문화교육의 목표는 상호문화역량의 신장이며, 이는 다양성에 대한 태도, 지식, 기술, 행동으로 대별되었다. 다음으로, 상호문화교육의 내용범주는 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 있는 ‘자문화와 타문화’에 대한 내용과, ‘이주의 역사와 영향’, 차별과 편견과 같은 민감한 주제를 다루는 ‘상호문화적 쟁점’, 그리고 ‘범교과 학습주제’로 분석되었다. 특히 정부차원의 최신 자료에서는 유럽교육, 민주주의교육, 글로벌 학습,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같은 범교과 학습주제를 상호문화교육과 연계하여 전 교과목에서 활용하도록 권고되었으며, 상호문화교육의 내용보다는 방법에 중점을 두도록 강조되었다. 끝으로, 정부차원의 상호문화교육 방법은 ‘상호작용 및 협력활동’, ‘다관점성 활용’, ‘다언어적 접근’, ‘비판적 관점’으로 분석될 수 있었다. 정부차원의 문서는 이주배경학생들의 언어를 적극 활용하고 모든 학생의 다중언어역량을 신장시킬 것을 강조하였다. 두 번째 연구결과인 독일 주(州)차원의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호문화교육 목표는 정부 차원과 마찬가지로 상호문화역량의 신장이며, 하위 범주 역시 다양성에 대한 태도, 지식, 기술 , 행동으로 구분되었다. 주차원의 문서에서는 상호문화교육 내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문서의 형태가 교육적 실행을 위한 교사용 지침서인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 같다. 상호문화교육 내용의 범주는 차별과, 편견, 갈등, 자민족중심주의와 같은 ‘상호문화적 쟁점’과 ‘다양성 인식’, ‘이주의 역사와 영향’, ‘다문화사회의 공존’, 그리고 ‘정주민 및 이주민의 법적 권리’로 분석되었다. 교육 방법은 ‘관점의 전환과 다관점성’, ‘프로젝트학습’, ‘다언어적 접근’의 범주로 구조화되었다. 사실상 상호문화교육의 방법은 범주별로 뚜렷하게 구분되기가 어려우며, 각각의 범주들은 상관관계를 가진다. 정부차원과 주차원의 상호문화교육은 전반적으로 유사하게 제시되었다. 세 번째 연구결과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Schleswig-Holstein) 주의 초등학교 3·4학년 독일어, 영어, 생활세계수업, 종교 교과서에서 제시된 상호문화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제시된 상호문화교육 내용 범주는 크게‘다양성 인식’, ‘다양성에 대한 태도’, ‘갈등과 평등’으로 분석되었다. 먼저‘다양성 인식’은 ‘민족·종교·유럽·언어의 다양성’과 ‘목표 언어 국가의 문화에 대한 이해’에 대한 내용으로, 해당 범주가 가장 많이 제시된 교과목은 독일어와 영어였다. 독일어 과목에서는 언어적 다양성과 민족적 다양성이 빈번하게 제시되었으며 영어 과목은 언어교육의 특성상 영어권 국가의 문화가 빈번하게 다루어졌다. 다음으로‘다양성에 대한 태도’는 ‘아동권 인식’, ‘연대성’, ‘다양성 존중’등의 내용이 해당되며, 이는 종교와 영어 과목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끝으로, ‘갈등과 평등’범주의 하위 요소는 ‘갈등’, ‘불평등’, ‘전쟁의 원인과 결과’로 분석되었으며, 이 내용은 종교과목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종합하면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다양성에 대한 인식적 측면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으며, 상호문화교육 내용이 가장 많이 드러난 과목은 영어 과목이었다. 그러나 교과서에는 정부와 주(州)가 강조한 상호문화교육의 성찰적 요소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네 번째 연구결과인 한국에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상호문화교육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현재 시행되는 범교과 학습주제인 다문화교육에 상호문화 교수법을 접목시킬 수 있다. 둘째, 한국 정부는 다양성에 대한 피상적 접근을 넘어 다문화 사회의 쟁점과 관련된 각종 차별, 편견, 혐오, 불평등, 갈등 과 같은 민감한 주제를 다루도록 권고해야 한다. 셋째, 모든 학생의 언어적 역량을 신장시키는 것이다. 넷째, 교사연수에서 상호문화교육 실시하는 것이다. 다섯째, 장기적으로 한국 교육과정에 상호문화교육을 접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닌다. 첫째, 분석한 자료의 대상은 권고 수준에 그치고 있어 독일에서 실질적으로 교육이 어떻게 실행되는지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둘째, 본 연구는 독일의 16개 주 중에서 5개 주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한국에서 구할 수 있는 자료만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기에 모든 주에서 제시하는 상호문화교육을 분석하지는 못했다. 셋째, 하나의 주(州)의 초등학교 3·4학년 교과서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전반적인 독일 교과서에 상호문화교육이 어떻게 반영되는지 판단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독일은 교과서 선정에 있어 교사의 재량권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몇몇 학교에서는 특정 과목의 교과서를 사용하지 않아 교과서 분석만으로는 실제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상호문화교육을 면밀하게 파악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되어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상호문화교육이 잘 시행되는 것으로 평가되는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을 정부차원, 주차원, 교과서에서 제시된 교육목표, 내용, 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여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이는 상호문화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한국의 일선 학교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 다문화교육의 보완 및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추후 다문화 혹은 상호문화교육과정 개발에 함의를 줄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