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53 Download: 0

서울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다문화 인식개선사업 현황과 과제

Title
서울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다문화 인식개선사업 현황과 과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Outlook of The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 Focus o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Seoul Metropolitan City
Authors
강비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known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s, and to examin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multicultural families of local resi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data that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current multicultural family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urrent programs that are in place to improve multicultural awareness. In detail, it is to find out which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program reflects and to analyze whether the object and contents of the project have the right direction. Throughout this work, information is provided on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s in Korea. Despite the fact that many budgets have been put into the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 up to now, it is difficult to find the data that summarize the operation status, contents, and effectiveness of actual program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share information on highly effective programs that have been difficult to share so far,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good quality programs and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cultural, ethnic,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of foreign residents in the region.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concrete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a program manual that improves awareness of immigrants considering the intercultural context in the future. Second, this study examines, among Korean reside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e difference of participation and attitude of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and awareness of 'multicultural'. This provide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practical and effective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The survey was conducted into two group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local residents. Throughout this survey, evaluation of the project, improvement direc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were examined. The area of study was Seoul Metropolitan City, the capital city of Korea.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the largest resident population in Korea,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foreign residents, and a high population density, which is expected to bring frequent contact between the local population and immigran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ere will be a variety of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s in Seoul due to the higher number of foreign families living in this area compared to other regions. Furthermor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reside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residing by regions, the research areas were divided into 25 regions,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o understand the status of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s, we conducted a survey of 24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which are established and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in 24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A literature survey was applied using existing data and statistics along wit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questionnaires to form this study. Additional research material was used in this study such as statistical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rtal, ‘Danuri’ website which is operated by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o check the status of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s.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ere conducted as needed to gather data. The participation and attitude of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s and the multicultural awareness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A total of 314 responses were analyzed for 110 multicultural families and married immigrants and 204 general citize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events, education, and small group gathering. It was found that all 24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located in Seoul operate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s in various forms every year. The 'event' type was operated in 17 districts of Seoul where foreign residents are inhabited regardless of the type of entitlement. The 'education' type was operated by all 24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this was conducted as a way to train marriage immigrants a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instructors and dispatch them to local schools. This was more like a marriage immigrants employment support program, than the meaning of improving multicultural awareness in the region. The 'small group gathering' type was operated by only fiv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which were located in concentrated areas of foreign residents from certain countries such as China. Second, several limitations were found in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s, many programs were conducted in a onetime form rather than a continuous one. Additionally, the contents of the program tended to be limited to cultures represented by costumes, dances, traditional plays, and culinary cuisines of various countries. Furthermore, there is a lack of continuing competency development, education, diaries, and guidelines for educational contents for marriage immigrant lecturers dispatched to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Third, as a result of the survey, participation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and marriage immigrants within the program was lower than those of Korean residents. The reason for the low participation rate was the lack of publicity followed by the lack of time to participate. Most individuals perceived the necessity of improving multicultural awareness, but they were not able to provide elaborate comments due of the lack of information. Individuals were interested i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but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forese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awareness improving in their environments. Finally, in the cognitive survey on multiculturalism,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Korean residents to foreign reside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re not so negative. They [Korean residents] did not find a way to communicate with multicultural families or foreign residents. The results of this survey show that if Korean residents were given the opportunity of continuous and structured encounters with foreign reside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ey could find a positive attitude between intercultural understandings through reciprocated exchange.;결혼이민자의 유입,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다양한 체류유형 외국인의 국내 거주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정주민과 외국인 주민의 접촉이 빈번해지면서 다문화 인식개선에 대한 필요성은 커졌다. 특히 다문화가족의 경우, 장기간 부정적 다문화 인식에 노출됐고, 이에 비롯된 편견, 차별, 그리고 고정관념에 따라 학교, 직장 등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10년간 한국 정부는 정책적으로 끊임없이 다문화 인식의 긍정적 제고를 위해 노력하였지만,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서울서베이’와 같은 실태조사 결과는 제자리 걸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다문화 인식개선을 위해 어떠한 사업과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정리하고 사업의 만족도와 참여도에 대해 질문해봄으로써 현행의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이 가진 한계점을 생각해 보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개선점을 고민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 번째, 현재 운영되고 있는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의 현황을 알아보는 것이다. 현재까지의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에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재 사업운영 현황과 내용, 효과성에 대해 정리한 자료는 찾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외국인 주민 특성과 운영 중인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을 함께 살펴보고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의 한계점에 따른 개선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두 번째, 다문화가족과 정주민의 다문화 인식개선 프로그램 참여도와 태도, 다문화 인식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고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에 대한 평가와 발전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문화 인식개선의 대상인 다문화가족과 지역 주민의 의견을 조사하여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다문화 인식개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연구지역은 거주 외국인 주민 수가 높고, 외국인 밀집 지역이 다수 존재하며, 거주지의 인구밀도가 높아 외국인과 정주민의 접촉이 높을 것이라 예상되는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세부적으로 서울시의 25개 행정구를 5개 생활권인 도심권, 서남권, 서북권, 동북권, 동남권으로 구분하여 지역별 외국인 주민 특성과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 현황을 정리하였다.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의 경우 다문화가족 지원법에 따라 다문화가족과 결혼이민자, 외국인 주민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운영되고 있는 전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218개소 중 서울특별시 관내의 24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자료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역의 권역별 특성 파악을 위해 기존 문헌과 통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각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운영 중인 다문화가족 지원포탈 ‘다누리’ 홈페이지의 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안 중 2017년에서 2018년의 2년간의 사업내용을 취합하고, 문헌분석을 하였다. 필요에 따라 센터 실무자와 비대면 전화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정주민과 다문화가족의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의 참여도와 만족도는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다문화가족 110명과 일반인 대상자 204명의 총 314건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은 크게 행사형, 교육형, 모임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서울시 관내의 24개 모든 기관에서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을 매년 여러 형태로 운영하고 있었다. 행사형의 경우 다문화 인식개선 캠페인, 축제의 형태로서 다문화가족의 거주 비율이 높거나 외국인의 왕래가 잦은 17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었다. 특히 도심권 지역의 경우 전국을 포괄하는 대규모의 행사형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이 운영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지속성이 없는 일회성, 단발성으로 진행되며, 전통춤, 놀이, 의상, 음식 등으로 대표되는 문화체험에 한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교육형은 결혼이민자를 ‘다문화 이해 교육’ 강사로 양성하여 지역의 유치원, 학교에 파견하는 형태로 24개소 모두 운영하고 있었다. 하지만 교육형의 경우 다문화 인식개선보다 결혼이민자 취·창업을 지원하는 의미가 컸고, 교육을 진행하는 결혼이민자 다문화 강사에 대한 지속적인 보수교육과 매뉴얼 등의 지원이 부족하여, 교육 내용과 질적 수준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졌다. 모임형은 다문화가족 자녀의 비율이 높거나 외국인 밀집 지역이 분포한 5개 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다른 유형에 비교해 지속적인 만남이 가능하고 상호문화 교류가 개인 대 개인으로 이루어지는 모습이 나타났다. 둘째, 지역별 거주 외국인 주민 특성이 5개의 권역별로 다르게 파악되었으며, 이를 적극적으로 고려된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이 계획·운영되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지역별 거주 외국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도심권은 용산구를 포함하여 서울시에서 가장 다국적의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결혼이민자와 유학생 비율이 낮고 단기체류자가 많이 거주하고 있다. 동북권에는 유학생과 결혼이민자가 많이 거주하며 외국인 자녀의 비율이 높다. 하지만 정주민 거주 비율이 높아 외국인 주민 비율이 높지는 않으며, 동남·동북 아시아계 출신의 외국인 주민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서북권의 경우 결혼이민자, 유학생과 기타 체류 외국인의 비율이 높으며 북미지역과 유럽지역 출신 외국인 주민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다. 서남권은 서울시에서 가장 많은 외국인 주민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중국 국적 동포 밀집 지역이 형성되어 있어 외국 국적 동포 혹은 외국인 근로자의 거주 비율이 높고 유학생이 거의 없으며 국적취득 외국인 비율이 높다. 동남권에는 서울시에서 외국인 주민의 수가 가장 적지만 결혼이민자와 외국인 근로자, 외국인 주민 자녀의 수가 높이 나타나는 지역으로, 북미, 유럽 국적 출신의 외국인 주민이 집중되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동남권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은 대부분 외국 국적 동포로, 동남권의 결혼이민자는 한국인과 결혼한 외국 국적 동포로 조사되었다. 동남권의 경우 통계수치와는 달리 실제로 다문화 인식개선의 대상이 되는 외국인 주민의 거주 비율은 낮은 것으로 파악되어 진다. 이처럼 지역별로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남에 따라 다문화 인식개선의 대상이 되는 외국인, 다문화가족과 지역 정주민에 맞추어 사업이 계획, 진행될 때 효과적인 개선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다문화가족과 정주민 대상의 설문 조사결과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 참여율은 전반적으로 낮았고, 비슷한 참여율을 나타내었다. 두 집단 모두 ‘홍보가 부족하다’라는 점은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지적하였고, 특히 다문화가족의 경우 ‘참여할 시간이 부족하다’라는 응답도 상당수 있었다. 프로그램 참여자는 대부분 ‘내용은 흥미로우나 실질적인 인식개선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대하기 어렵다’라는 견해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 정주민의 다문화가족과 외국인 주민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부정적이지 않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들은 소통의 방법과 지속적인 만남의 기회를 얻지 못했을 뿐, 상호문화적 만남의 공간이 마련된다면 기꺼이 상호이해를 위해 노력하고자 하는 긍정적 태도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다문화 인식개선에 대한 다양한 교육적 틀과 사업운영 방식에 관한 연구가 실행돼야 한다. 다문화 인식개선의 중요성은 무엇보다 지역 정주민의 상호문화적 태도를 끌어내고, 이주민과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함께 고민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문화 가족지원센터를 비롯한 기관에서 체계적,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대상자별 다문화 인식개선 프로그램이 개발·보급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접근하여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 또한 필요하다. 두 번째, 다문화 인식개선은 중구난방식이 아닌 제도화된 사회기관 부문에서 체계적인 교육 틀을 가지고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 미디어, 기업, 공공기관 등에서 다문화 인식 교육의 중요성을 심어주고 구체적인 교육 매뉴얼을 갖추도록 해야 하며 이는 물론 다양성, 인권, 양성평등의 내용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유지원과 초등학교 단위에서 시행되는 다문화 이해 교육은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육과정과도 병행하여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물론 이를 가르치는 다문화 강사의 전문가적 자질도 충분히 검증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세 번째, 지역 주민과 이주민이 집단 대 집단이 아닌 개인과 개인의 상호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만남의 장을 만들어 가야 한다. 따라서 다문화 주체와의 직접적 교류와 접촉이 발생할 수 있도록 지역 내에서 혹은 이웃들 간의 만남의 장을 만들어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상호문화에 대한 존중을 배우는 것이 다문화 인식개선의 첫걸음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