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5 Download: 0

북한당국이 제작한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의 기호학적 분석

Title
북한당국이 제작한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의 기호학적 분석
Other Titles
A Semantic Analysis on the inter-Korean summit Documentary Films Produced by the North Korean Regime
Authors
이영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서 제작한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를 통해 북한당국이 북한 주민들에게 전달하려 한 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남북정상회담은 남과 북을 대표하는 지도자 두 사람이 직접 만나 서로에 대한 이해와 신뢰를 쌓는 과정이다. 따라서 남북 교류를 증대시키고 기존의 지형을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록영화를 통해 북한 주민에게 전달한 남북정상회담에 관한 담론에 주목하였다. 분석대상 자료는 정치적 목적을 띄는 북한당국이 제작한 기록영화이다.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는 행사기록영화의 한 종류로 다른 유형의 기록영화보다 정치적 성격이 뚜렷하고 당의 노선과 정책이 깊이 반영되는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는 북한당국의 의도를 종합적으로 반영해 북한의 남북관계에 대한 정책 방향과 북한 지도자의 의향을 나타내는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분단 이후 지금까지 총 5회 남북정상회담이 있었고 북한당국은 총 5편의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를 제작해 방영했다. 본 연구는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의 서사구조를 내용구조와 인물구조로 나누어 기호학적으로 분석해 서사구조의 특성을 도출했다. 도출 결과를 김정일과 김정은 시기로 나누어 비교분석해 북한당국이 기록영화를 통해 전달한 지속적인 담론과김정은 시기에서 변화된 담론을 포착했다. 이를 통해 김정은 시기의 비핵화 대외 전략이 외교 정책에도 반영되어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의 담론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는지 규명하고 새롭게 등장한 지배 담론이 무엇인지 분석했다.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의 서사구조 특징을 바탕으로 도출해 낸 북한당국의 지속적 담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는 표면적으로 남북정상회담의 행사를 전달하지만 심층적으로는 남북정상회담을 북한 최고지도자의 업적으로 신화화하며“수령의 탁월한 지도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부각한다. 기록영화는 수미상관의 양괄식 서사구조로 남북한을 이끌 지도자는 우월한 지도력을 갖춘 북한 최고자임을 강조한다. 둘째, 이에 따라 북한 주민은 통일 대업을 이끌며 북한 체제를 위해 노력하는 수령에게 무조건 충성하고 지지해야 한다는 사회주의적 생명체론을 각인시킨다. 셋째,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에서 지속적으로‘우리민족끼리’정신에 기반을 둔 통일을 주장한다. 김정은 시기는 우리민족끼리 정신의 언급 빈도가 김정일 시기보다 낮지만 북한당국의 주장은 여전히 그 흐름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기록영화는 수신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이항대립항을 이용해 선전 효과성을 높이는데 북한당국도 이 방식을 충실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북한 당국은 이런 방식을 활용하여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를 통해 북한 지도자의 위대성을 선전하고 지배체제를 공고하게 만드는 담론을 지속적으로 생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를 통해 나타나는 담론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정은 시기 기록영화는 그 자체로 지도자의 절대성을 강조한 김정일 시기와는 달리 최고지도자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행동력을 강조한다. 둘째, 김일성의 권위와 업적을 강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선대지도자를 언급하던 김정일 시기와 달리 김정은 시기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는 선대지도자를 언급하지 않고 김정은 본위의 지도자 형상을 강조하고자 한다. 셋째, 남북정상회담의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를 국내에서 국제로 확장해 설정한다. 넷째, 기록영화에 등장하는 대한민국 대통령은 일방적으로 북한지도자에게 감사를 전하는 인물로 나타나지만 김정은 시기에는 서로 협력하는 쌍방적 관계로 등장한다. 다섯째, 부인을 동반하지 않고 홀로 등장했던 김정일 시기와는 달리 김정은 시기는 부인과 동행한다. 본 연구는 북한당국이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를 통해 시기에 맞는 당의 사상을 효과적으로 반영해 수신자에게 전달하면서 여전히 기록영화를 강력한 사상적 무기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재확인했다. 남북정상회담 기록영화의 전체적 내용은 김정일 이후 김정은 시기까지 비슷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지만 등장인물의 특성은 크게 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북한당국이 체제 유지에 유리한 방향으로 남북정상회담의 내용을 일부 왜곡하고 과장해 기록영화라는 매체로 담론을 재생산하여 체제 내부의 결속을 강화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course shown in the inter-Korean summit documentary films produced by the North Korean regime, in which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ry to convey a certain message to North Koreans. The inter-Korean summit is a process in which the heads of state meet in person and gain mutual understanding and trust. Therefore, it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inter-Korean exchanges and reshape the existing terrain. Based on this importance,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discourse shown in the North’s documentary films on all the past inter-Korean summits. The target of this analysis is documentary films with a political purpose. The inter-Korean summit documentary films are categorized as an event documentary, which is characterized by its political character. They depict the regime’s policies and deeply reflect the regime’s future political course, unlike other types of documentary films. Therefore, the inter-Korean summit documentary films are important data that emulate the intentions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nd the policy direction of North Korea's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intention of the North Korean leader. Since the division, there have been five inter-Korean summits so far, and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produced documentary films for each of the summits. In this study,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films was broken down into content and character, which were then analyzed by using semantic analysis. The study was able to reveal the continued and the changed discourse put forth by the North Korean regime between the Kim Jong Il period and the Kim Jong Un period. This study also analyzed whether the denuclearization foreign strategy of Kim Jong Un was reflected in the North’s foreign policy to also possibly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film, bringing up the newly formed dominant discourse. The continuing discourse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inter-Korean summit documentary films is as follows. First, the films superficially convey the events of the inter-Korean summit film, but in depth, it deepens the myth of the inter-Korean summit as the achievement of the supreme leader of North Korea and emphasizes the need for excellent leadership of the leader. The films accentuate that the Supreme Leader who will lead the two Koreas is indeed the supreme leader of North Korea through the bilateral narrative structure. Second, the films reiterate the Theory of Socio-Political Body which states that the people must obey and support the supreme leader in any means and lead the unification themselves. Third, the films insist on the reunification based on the idea of 'ethnic solidarity(Uriminzokkiri).' Although the frequency of the mention of the spirit of the Korean people was lower during the Kim Jong Un period than that of the Kim Jong Il period,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insisted on emphasizing of the spirit of our nation. Fourth, the films use propaganda effects that are easy for recipients to understand intuitively. Through this discourse,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ontinue to promote the greatness of the North Korean leader through the Inter-Korean summit documentary films and continue to create discourse to solidify the ruling system. The following are the changed discourses that were discovered through the films. First, the documentary films during the Kim Jong Un regime emphasize the active and progressive action of the supreme leader. This is drastically different from the Kim Jong Il period, which emphasized the absoluteness of the leader himself. Second, the films from Kim Jong Un regime aim to boast the leadership of Kim Jong Un, without mentioning the deceased former leaders. However, during the Kim Jong Il era, the films continuously mentioned the former leader, Kim Il Sung, to emphasize Kim Il Sung's authority and achievements. Third, the influence of the inter-Korean summit was extend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urth,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is shown to exercise bilateral relations with Kim Jung Un whereas with Kim Jong Il, the South Korean president was depicted as unilaterally giving thanks to the North Korean leader. Fifth, for the first time, the films during Kim Jung Un regime shows the leader accompanied by the First Lady. Through these continued or changed discourses of the South-North summit talks, the films revealed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constantly transformed and reproduced myths surrounding their North Korean leaders. This study reaffirmed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re effectively using documentary films as a powerful ideological weapon, demanding that they reflect upon the ideals of the party in a timely manner through the inter-Korean summit documentary films. Although the overall contents of the films remained similar from the Kim Jong Il period to the Kim Jong Un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gures varied greatly from one anothe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re distorting and exaggerating the contents of the summit in the direction of maintaining their regime and reproducing the discourse as a medium of documentary films, strengthening their internal solidar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