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나나-
dc.contributor.author정재은-
dc.creator정재은-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1:01Z-
dc.date.available2019-08-13T16:31:0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9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90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59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학령 후기 아동의 실행기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령 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총 69명(4학년 18명, 5학년 25명, 6학년 26명)을 대상으로 실험법과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동의 실행기능은 과제수행을 통해 측정되었으며, 한국판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신민섭, 박민주, 2007), 숫자 따라 하기(Wechsler, 1949), 한국판 아동 색 선로 검사(신민섭, 구훈정, 2007)의 세 가지 과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동의 자기효능감은 김아영과 차정은(1996)이 개발하고,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한혜진(2002)이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표현으로 수정한 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적응은 조수정(2014)이 학령 후기 아동을 대상으로 개발하고 타당화한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확인하였고,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행기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절차를 따라 3단계에 걸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 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실행기능 중 억제 능력과 전환 능력은 학교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작업 기억의 경우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구체적으로는 억제 능력과 전환 능력은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요인들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작업 기억은 학업태도/규칙준수 하위요인과만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아동의 실행기능은 자기효능감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구체적으로는, 억제 능력은 자기조절 효능감과, 작업 기억은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과, 전환 능력은 모든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과 정적인 관련이 있었다. 셋째,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은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은 모든 학교적응의 하위요인들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과제난이도 선호는 학업태도/규칙준수와 학교만족감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억제 능력과 전환 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효능감에 의해 부분 매개되었다. 즉, 아동이 억제 능력과 전환 능력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을 높게 느꼈으며 결과적으로 학교적응을 더 잘하였다. 이러한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 대상 연구가 주를 이루는 실행기능 연구를 학령기로 확장하여, 실험을 통한 실행기능 연구를 통해 각 실행기능의 하위요인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아동이 실제로 가지고 있는 능력이 능력에 대한 믿음인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아동의 실제 능력을 증진 시켜주는 것과 동시에, 아동이 스스로 자신의 능력을 믿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 및 상담 현장에서 다양한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executive functio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during middle childhood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 and school adjustment. A total of 69 late-school ag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two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n were tested on tree executive function of tasks (i.e., stroop color and word test, digit span, and trail making tes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ate-school aged children’s inhibition and shift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Children who had higher levels of inhibition and shifting displayed high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In contrast, working memory was not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Seco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That is, children who had higher executive functions tended to have higher self-efficacy. Third,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The higher self-efficacy led to the high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during middle childhood. Fourth,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i.e., inhibition and shifting) and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ecu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for late-school aged children.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ing self-efficacy could be a key to help children who experience difficulties at school. Findings at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base of developing self-efficacy programs for late school-aged children and it could reduc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proble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A. 학교적응 6 B. 실행기능과 학교적응 8 C. 실행기능,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 11 Ⅲ.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16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16 B. 용어정의 18 Ⅳ. 연구방법 20 A. 연구참여자 20 B. 조사도구 20 C. 조사절차 26 D. 자료분석 27 Ⅴ. 연구결과 및 해석 29 A. 실행기능,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29 B. 실행기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30 Ⅵ. 논의 및 결론 36 참고문헌 43 부록 57 ABSTRACT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27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학령 후기 아동의 실행기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 on School Adjustment during Middle Childhood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dc.creator.othernameJeong, Jae Eun-
dc.format.pagev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