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1 Download: 0

고등학생의 미래결과에 대한 고려와 자기통제가 능동 지연행동과 수동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고등학생의 미래결과에 대한 고려와 자기통제가 능동 지연행동과 수동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Self-Control on Active Procrastination and Passive Procrastination
Authors
문지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결과에 대한 고려가 자기통제를 통해 능동·수동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및 경기도에 위치한 4개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5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법을 이용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미래결과에 대한 고려는 Strathman, Gleicher, Boninger와 Edwards(1994)가 개발하고 Joireman, Shaffer, Balliet와 Strathman(2012)이 수정한 미래결과에 대한 고려 척도(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scale [CFC])를 번안하여 측정하였다. 자기통제는 Tangney, Baumeister와 Boone(2004)가 개발한 자기통제력 척도(Self-Control Scale [SCS])를 김진하(2013)와 한호성(2007)이 번안하여 사용한 척도로 측정하였다. 능동지연은 Choi와 Moran(2009)이 개발한 능동 지연행동 척도(Active Procrastination Scale [APS])를 김희정(2010)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동지연은 Aitken(1982)의 지연행동 척도(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API])를 박재우(1998)가 번안하고, 추상엽(2008)이 고등학생에 맞게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경로분석을 실행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미래결과에 대한 고려는 자기통제를 통해 능동·수동 지연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미래결과에 대한 고려의 하위요인 미래결과고려가 높을수록 자기통제력이 높았으며,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능동지연행동은 높게, 수동지연행동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미래결과에 대한 고려의 하위요인 즉각적결과고려가 높을수록 자기통제가 낮게 나타났으며, 자기통제가 낮아짐으로 능동지연행동이 낮게 나타나고 수동지연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래결과에 대한 고려가 자기통제를 통해 능동·수동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고등학생의 능동·수동 지연행동 연구에 미래결과에 대한 고려의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지연행동에 관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and self-control on active·passive procrastination. A total of 510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Self-control, Active Procrastination and Passive Procrastinat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from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scale(CFC; Joireman et al., 2012; Strathman et al., 1994), Self-control scale(SCS; Tangney et al., 2004), Active Procrastination scale(APS; Choi & Moran, 2009),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API; Aitken, 1982).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indirectly influenced active·passive procrastination through self-control. High levels of sub-scale CFC-Future influenced higher self-control, and higher self-control influenced higher active procrastination and lower passive procrastination. Also, when sub-scale CFC-immediate was higher, it influenced lower self-control, and lower self-control influenced active procrastination to be lower and passive procrastination to be higher.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and self-control have an effect on active·passive procrastination.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to the active·passive procrastin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study of procrastination during adolesc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