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Breast Cancer Awareness and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s among Cambodian Women

Title
Breast Cancer Awareness and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s among Cambodian Women
Other Titles
캄보디아 여성들의 유방암에 대한 인식도와 유방암 자가 검진 실천정도
Authors
HENG, RACHANY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성희
Abstract
To assess breast cancer awareness and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s among Cambodian women. A cross-sectional study was used with 268 female participants, aged 20 to 59 years, who visited outpatient departments of three health centers in the Siem Reap Province, Cambodia. For instruments, breast cancer awareness was measured using the breast cancer awareness scale (B-CAS) and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 way ANOVA, and a Chi-square test were utilized to analyze data with SPSS version 25.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 total of 118 women were aged from 20 to 29 years (44.0%). The majority of the studied participants were Buddhist (95.1%), and married/divorced (92.9%). Half of the study women were attained less than secondary education (58.2%), housewives (52.2%), and lived in urban areas (59.7%). About 86.2% of the participants had children, members of an extended family (40.3%), and lived with a family income less than USD 100 per month (41.4%). There were 66.4% of the participants with age at first marriage less than 24 years, 57.5% of the participants had an age at first pregnancy less than 24 years, and 56.7% of participants never used an oral contraceptive.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had not begun the menopause (92.5%), no history of breast problems (94.8%), and no family history of cancer (97.4%). 2. The breast cancer awareness scores were: 9.85 for knowledge of breast cancer risk factors, 12.76 for knowledge of breast cancer warning signs and symptoms, and 23.21 for attitude to breast cancer prevention. 3. Half of the participants (51.1%) had ever performed breast self-examination during their lifetime, and slightly fewer (50.4%) had practiced breast self-examination in the past 12 months. The percentages of participants who had practiced breast self-examination in the past 12 months were as follows: once every 12 months (16.4%), once every 6 months (11.6%), once every 2-3 months (12.7%), and once every month (9.7%). 4. The level of knowledge of breast cancer risk facto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ral contraceptive use. The level of knowledge of breast cancer warning signs and symptom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ducation level, type of family, and having a family history of cancer. The attitude to breast cancer preven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amily income and oral contraceptive use. 5. The lifetime breast self-examination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oral contraceptive use, and having a history of breast problems. The practicing of breast self-examination in the past 12 month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oral contraceptive use, and having a history of breast problems. 6. The practicing of breast self-examination in the past 12 month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woman’s attitude to breast cancer prevention. The study result shows that Cambodian women have a low level of breast cancer awareness and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s. Among Cambodian women,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positive attitude to breast cancer prevention.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for healthcare workers to provide effective educational breast cancer programs and breast self-examination screening for women to improve their knowledge, positive attitude to breast cancer prevention, and breast self-examination practices. ;캄보디안 여성들의 유방암에 대한 인식도와 자가검진 실천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횡단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캄보디아의 시엠립 지방에 위치한 3개의 건강센터의 외래를 방문한 20세에서 59세 사이의 268명의 여성 방문자들이었다. 유방암 인식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된 유방암인식척도를 사용하였다. 유방암 자가검진 실천정도는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 검정, 카이제곱검정,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사후분석으로 쉐페검정법을 SPSS 25버전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참여 대상자의 연령대별 그룹 중 20세부터 29세까지의 여성 그룹이 44%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참가자의 대부분은 불교(95.1%)였으며 92.9%가 결혼/이혼상태였다. 약 절반 정도(58.2%)의 참여자가 중학교 보다 낮은 수준의 교육을 받았으며, 52.2%가 가정주부였으며, 59.7%가 도시 거주민이였다. 약 86.2%의 참가자가 자녀들이 있었고, 40.3%가 대가족 구성원이며, 41.1%가 월 100 US 달러 보다 적은 가족수입으로 살고 있었다. 절반이상의(66.4%)의 참가자들의 처음 결혼 당시 연령은 24세보다 적었으며, 57.5%의 참가자가 24세 보다 적은 나이에 처음으로 임신하였고, 56.7%의 참가자가 피임약을 사용한 경험이 없었다. 대부분의 참가자 페경이 되지 않았으며, 유방과 관련된 문제가 없었으며, 가족중에 암진단 받은 사람이 없었다. 2. 유방암 인식 정도에 대한 점수는 다음과 같다: 유방암 위험 인자에 대한 지식정도는 9.85였으며, 유방암 경고 증상에 대한 지식은 12.76, 그리고 유방암 예방에 대한 태도는 23.21을 보였다. 3. 약 절반정도(51.1%)의 참가자들이 지난 삶동안 유방암 자가 검진을 실천하였고, 지난 12개월 동안 50.4%의 참가자들의 유방암 자가 검진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참가자들의 구체적인 개월수에 따른 유방암자가검진 실천율은 다음과 같다: 12개월 마다 한번씩은 16.4%이며 6개월마다는 11.6%와 2-3개월마다는 12.7%, 그리고 매달마다 실천하는 참가자는 9.7%였다. 4. 유방암 위험 요인에 대한 지식의 수준이 경구피임약 복용과 유의하게 연관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유방암의 증상에 대한 지식 수준은 교육수준과 가족의 형태(핵가족 또는 대가족), 암에 대한 가족력과 유의하게 연관이 있음을 보였다. 유방암 예방에 대한 태도는 가족의 수입과 경구피임약의 복용 유무와 유의하게 연관이 있음을 보였다. 5.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유방암 자가 검진 실천은 결혼상태와 경구피임약 복용, 그리고, 유방관련 문제의 과거력과 유의하게 연관이 있음을 보였다. 지난 12개월동안의 유방암 자가 검진은 결혼상태와 경구 피임약 복용 유무와 유방관련 문제의 과거력과 유의하게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6. 과거 12개월 동안 유방암 자가 검진은 여성의 유방암 예방에 대한 태도와 유의하게 연관이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캄보디아 여성의 낮은 수준의 유방암 인식정도와 유방암 자가 검진 실천 수준을 보였다. 캄보디아 여성의 유방암 자가 검진 실천수준은 유방암 예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연관이 있었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 여성들의 유방암에 대한 인식정도과 유방암 자가 검진의 실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의료종사자들의 유방암 인식 개선 및 유방암 자가 검진을 증진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나타내주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