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소연-
dc.contributor.author소유선-
dc.creator소유선-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0:45Z-
dc.date.available2019-08-13T16:30:45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94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944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528-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inting style of “Dianshizhai Huabao(點石齋畵報),” an Illustrated Newspaper published by Shenbaoguan(申報館) in Shanghai from 1884 to 1898 from an art historical aspect,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image of Joseon shown in pictorials associated with Joseon Dynasty(1392-1897) and the Korean Empire(1897-1910). During nineteenth century, illustrated newspapers emerged as a new medium with the invention of photo-lithography. While general newspapers consisted only of texts, the illustrated newspapers included images in order to gain huge popularity from the public. Not only was it extensively published around the world but also functioned as a means of distribution of visual images prior to photographs became widely available. In the late nineteenth-century Shanghai, Ernest Major(1841-1908), following the trend of illustrated newspaper which led to the publication of Dianshizhai Huabao. The previous illustrated newspapers in China borrowed images from the foreign newspapers; yet, this tended to create a sense of unfamiliarity among the Chinese readers. Dianshizhai Huabao, on the other hand, included illustrations that abided by the style of Chinese traditional painting by hiring Chinese Huashi 畵師. Its differentiated strategy brought an enormous popularity all around China and led a trend of a new medium called Huabao 畵報 [pictorial]. 4,666 different scenes included in Dianshizhai Huabao ranged over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al issues, culture and overseas news. It also has been studied in various academic circles. Although Dianshizhai Huabao is important considering its pioneer role in printing art focusing solely on images and in rapidly proliferating 4,666 different scenes in China, there has not yet been any in-depth discourse in art historical field. In response to this current academic situation, this paper will focus on Dianshizhai Huabao’s impact on Korean painting circles based on the active Joseon-Qing trade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second chapter of this paper will discuss the painters of Dianshizhai Huabao, the painting styles they imitated, and the spread of painting styles through some related publications from an art historical viewpoint. Furthermore, the fact that Dianshizhai Huabao included Joseon-related scenes is noteworthy as well.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are 84 Joseon-related scenes so far. Considering that there are 634 foreign-related pieces in total, it has a considerable percentage. Also, it is necessary to study Joseon-related pictorials inasmuch as the illustrated newspapers embodied and congealed their unknown mysterious world before the photography became widely available. Chapter III of this study classifies Joseon-related pictorials into different topics and examines the changing process focused on images. Chapter IV compares the perspective on Joseon in Dianshizhai Huabao with the Joseon-related foreign pictorials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of Joseon. This chapter also deals with the unrealistic descrip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images of Joseon from an art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images of Joseon have mainly focused on the Euramerican visuals. In addition, the researches on Joseon-related pictorials in Dianshizhai Huabao have been partially proceeded not focusing on the images but only on the writings. This research aims to study ‘visual image’ in which Joseon was represented by China, the background of its creation, and the manufacturing patterns as a result of artistic exchanges between the traditional paiting circles and the contemporary counterpart.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of looking into the painting style of Dianshizhai Huabao from an art historial viewpoint, and interpreting various implications of the images of Joseon by considering Joseon-related pictorials included in Dianshizhai Huabao.;본 연구는 1884년에서 1898년까지 上海의 申報館에서 발행된 그림신문인『點石齋畵報』의 화풍과 조선 관련 화보를 통해 나타난 조선이미지를 미술사적 관점으로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19세기에는 石印 기술이 발명되며 그림신문이라는 새로운 매체가 탄생하였다. 글로만 이루어져있던 기존의 신문과 달리 揷畵가 수록된 그림신문은 대중의 큰 호응을 얻으며 세계 각국에서 널리 발행되었을 뿐 아니라, 사진이 보편화되기 전 시각이미지의 유통에 크게 기여했다. 그림신문의 유행에 따라 19세기 말, 개항지였던 상해에서도 어네스트 메이저(Ernest Major,1841-1908)가 중국식으로 번안한『점석재화보』를 발행하였다. 외국 그림신문의 이미지를 그대로 차용하였던 중국의 기존 그림신문들과 달리『점석재화보』는 중국인 畵師들을 고용함으로써, 전통회화 양식과 근대식 삽화가 혼종된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곧 중국 전역으로 널리 유통되며 ‘畵報’라는 새로운 매체의 유행을 선도하게 된다. 정치·경제·사회·문화·해외소식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룬『점석재화보』에는 총 4,666장의 화보가 수록되어 있어, 이를 바탕으로 여러 학계에서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미지’가 主를 이룬 인쇄미술의 효시였으며, 저널 매체의 특성상 그 이미지가 대량 유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미술사학계에서는『점석재화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점석재화보』의 화풍은 조·청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19세기 말의 시대적 배경과 맞물려, 한국 화단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더욱 미술사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Ⅱ장에서는『점석재화보』의 畵師들과 이들이 계승한 양식, 관련 출판물을 통한 화풍의 전파를 미술사적 관점에서 두루 고찰하였다. 또한『점석재화보』는 조선 관련 화보들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확인되는 조선 관련 화보는 총 84장에 이른다. 4,666장의 전체 화보 가운데 외국 관련 화보가 총 634장 수록된 것을 고려했을 때, 조선 관련 화보의 비중은 결코 적지 않다. 특히 사진이 보편화되기 전 그림신문들은 미지의 세계를 형상화하며 국가 이미지를 고착화시키기도 했다는 점에서, 조선 관련 화보들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제기된다. 이에 본 논문의 Ⅲ장에서는 조선 관련 화보를 제재별로 분류하여 이미지를 중심으로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Ⅳ장에서는 조선이미지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조선 관련 해외 삽화들과『점석재화보』의 대조선관을 비교하고, 조선 관련 화보의 비사실적 묘사와 조선이미지의 유통에 대해서도 분석하고자 했다. 요컨대, 지금까지 조선이미지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구미의 시각자료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또한『점석재화보』의 조선 관련 화보들에 대한 연구가 일부 이루어졌으나, 이미지가 아닌 텍스트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같은 동아시아 국가인 중국이 조선에 투영한 ‘시각이미지’에 초점을 맞춰, 조선이미지의 생성배경과 제작양상을 회화 전통 및 동시대 화단과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해 보았다. 따라서 기존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점석재화보』의 화풍을 미술사적 관점에서 살피고, 조선 관련 화보에 주목하여 조선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해석을 새롭게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槪要 및 硏究動向 1 B. 板本 問題 6 Ⅱ. 點石齋畵報畵風의 美術史的 考察 10 A.點石齋畵報의 主要畵師 10 1. 吳友如 11 2. 朝鮮 關聯 畵報와 主要畵師 24 B. 畵風의 繼承과 飜案 37 1. 傳統 版畵 樣式의 계승 37 2. 서구 저널의 飜案 46 C.點石齋畵報關聯 出版物과 朝鮮 畵壇 52 Ⅲ. 點石齋畵報에 수록된 朝鮮 關聯 畵報의 展開 樣相 61 A. 政治 63 1. 甲申政變 63 2. 淸日戰爭 73 3. 朝鮮王室 80 B. 奇談 81 1. 奇事 82 2. 奇人 88 3. 禽獸 89 4. 怪物 95 C. 社會文化 98 Ⅳ. 點石齋畵報에 나타난 朝鮮이미지의 性格 112 A. 海外 揷畵와 點石齋畵報의 對朝鮮觀 比較 112 B. 非事實的 朝鮮이미지의 再現과 流通 132 Ⅴ. 결론 148 참고문헌 151 도판목록 161 도 판 170 中文摘要 213 ABSTRACT 2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321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點石齋畵報』에 나타난 朝鮮이미지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Joseon Image of Dianshizhai Huabao 點石齋畵報 [Dianshizhai Pictorial]-
dc.creator.othernameSo, Yousun-
dc.format.pagev, 21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