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7 Download: 0

조선후기 율문(栗文) 청화백자 연구

Title
조선후기 율문(栗文) 청화백자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chestnut design blue and white porcelain of the 19th-20th century
Authors
임지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The theme of this thesis, white porcelain with chestnut design – Yulmun Cheonghwa Baekja, indicates those with triple chestnuts designed and painted in underglaze cobalt blue in late Joseon Dynasty. This chestnut design unexpectedly appeared in late Joseon period, which is assumed to be affected by Japan. In Japan, the triple chestnut design was decorated on exported items to Europe. In early 18th century, the chestnut designed white porcelains had been produced in Hizen and Tsushima Island for the purpose of export to Joseon and this design had started to influence Joseon. Those porcelain for export to Joseon have pattern of chestnut combined with the letter ‘壽(longevity)·福(luck)’. A Japanese scholar Mikami Tsugio claimed this combination as Joseon series. This style is not found in Japanese consumption site but excavated only in production site in Japan and consumption site in Joseon, which indicates that the chestnut design was added only for those exported to Joseon. These Japan derived design has same composition and components with those produced in Joseon in the 19th century, so that this resemblance impli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and its influence. Therefore, this thesis will discover the connection between Joseon and Japan of white porcelain with triple chestnuts painted in underglaze cobalt blue. Also, its production background and feature will be analyzed by looking into its design and condition. The result is as follows. Even though it is hard to measure when chestnut design started in Japan, the earliest artifacts discovered were from 1600s. In this period, the design had two chestnuts supported by branches that stretches up from the bottom and these style of white porcelain was produced in Hizen area including Arita. Arita is a leading place of porcelain production and development, since the first success of porcelain production in 1610s. Until 1757, before the porcelain export was officially stopped, the area had manufactured large amount of export exclusive porcelain. All the chestnut design porcelain found in Japan till now is verified as ones for export. Import of white porcelain produced in Hizen started before 1770s, which is even earlier than the opening of ports, as a form of present, donation, or bestowal. Those imported from Hizen and Tsushima island before the opening of ports was the agent in 1770s. However, from early 1780s, Tsushima island started to produce porcelain by themselves. From this change, the status of Japanese porcelain differed from luxury presents to general merchandise. The record of Japanese porcelain export before the opening of ports confirmed this change. It is proved that in Tsushima island, there were kilns named Tatekame Shika, and fire burned porcelains were exported directly, rather than purchasing from Hizen. Synthetically, in the period before the vitalization of ports, this self-production of porcelain resulted in sufficient profit in finance of Tsushima island as one of the important trade list. Detailed analysis of Japanese chestnut designed porcelain was conduct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ose produced in Joseon. In the 19th century, triple chestnut design porcelain was produced in Bunwon government kilns. It was the first appearance of chestnut, which tells that the origin of the design is Japanese porcelain for export. For the concrete analysis, the patterns of porcelain inherited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with chestnut design and from the classification, the feature and type of the artifacts were organized. In consequence, the chestnut design appears in many various kinds of products like bowl, cup, lid, bottle, covered bowl, vase, and dish. Dish type takes up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porcelain with chestnut design. Even though the design originated from Japan, it was developed into three styles in Joseon production. By analyzing styles of the design, it was found that the chestnut pattern had been transformed into unique style in Joseon; some added and others decomposed. Still, there were some similarities with Japanese chestnut design porcelain. In particular, according to type of porcelain, tablewares like dishes, bowls, and cups and special types like vase had difference in its design. This distinction is assumed that the design differed depending on consumers: royal family and general public. Tablewares which were consumed by public were applied to by its Japanese chestnut design directly. While, to special type porcelain used in royal court they added Joseon-style gilsang-mun, patterns that wishes good fortune like turtles, cranes, and herb of eternal youth, which resulted from conservatism of the royal court. Lastly, demand for chestnut porcelain was considerable for both Japan and Joseon production and its number showed continuous popularity as seen in the excavated layer in 19th and early 20th century. From trade and distribution records, it is revealed that Japanese chestnut design porcelain was consumed by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public in early 19th century, the time before the opening of ports. Also, this thesis studied the consumption of chestnut design porcelain after the vitalization of ports and that the influence of Japanese porcelain encroached the domestic porcelain markets. Surprisingly, chestnut design could also be seen in paintings from early 20th century. This shows how Japanese chestnut design on porcelain continuously passed down far to paintings in Joseon.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white porcelain with chestnut designed and painted underglaze in cobalt blue in late Joseon is as follows. First, chestnut design is a significant instance showing the fact that Japanese porcelain were imported earlier before the opening of ports and received to white porcelain painted underglaze in cobalt blue in late Joseon. From this research, it became clear by analyzing target artifacts and Japanese artifacts that there was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Joseon which had been assumed loosely. Second, it is shown by apprehending patterns of white porcelain with chestnut designed and painted underglaze in cobalt blue according to type of porcelain that the style of accepting foreign pattern varied depending on the class of consumers. Also, it is verified that chestnut design derived from Japan was produced and used independently in some types of porcelain according to different preference of divergent classes. Third, it presents a new meaning to art history in the realm of visual culture including crafts and paintings by verifying the fact that chestnut design derived from Japan was used not only for the porcelain in early 20th century but for the paintings. That is, white porcelain with chestnut designed and painted underglaze in cobalt blue in late Joseon gives a specific clue to the appearance of having pattern in common between porcelains and it has high value as materials verifying propagation of style and reproduction process between Korea and Japan.;本論稿のテーマである朝鮮後期の栗文染付とは、栗の木の枝に三個の実が入った毬の絵(三栗文)が青料で描かれた磁器を指す。朝鮮後期に突如現れたこのような文様は、日本から影響を受けたものと思われ、ヨーロッパに輸出した日本製の栗文白磁に様式の淵源を見出すことができる。また、朝鮮後期に栗文染付が製作されたことには、18世紀前半から肥前・対馬で朝鮮向けとして生産した日本の栗文白磁が影響を及ぼしたといえよう。朝鮮向け栗文白磁とは「壽・福」字と栗文様(三栗文)がともに描かれた様式の磁器で、三上次男氏はその様式を「朝鮮系」だと指摘したことがある。 これは日本国内の消費地ではみられなく、日本の生産地と朝鮮の消費地でみられる朝鮮向け磁器の意匠である。このような「壽・福」字と栗文様を描いた日本磁器は、19世紀に朝鮮で製作された栗文染付と同じ構図や文様の要素を持っているため、朝鮮と日本の交流および影響関係を確認できる資料として注目される。本論稿では朝鮮の栗文染付と日本の栗文白磁との関係を明らかにし、朝鮮向け栗文白磁の現状と造形を分析することで、朝鮮後期に栗文染付が製作された背景や様式の特徴について考察しようとした。その内容をまとめると次のようになる。 日本磁器に栗文様が描かれ始めた時期は明確ではないが、現存する最古の日本製栗文磁器は1600年代に製作されたものである。この時代の栗文様は、一本の幹が高くのびあがり、その上方から左右に広がった枝に二つの栗の実が毬から顔を出している定型的な構図のものであり、有田をはじめとした肥前で製作されたものとみられる。有田は1610年代にはじめて焼成に成功した後、磁器の生産と発展を主導した地域である。1757年に公式的な磁器輸出が終了されるまで、輸出が盛んになった時代には輸出向け磁器の大量生産が行われた。これまで日本で確認された栗文白磁は全て輸出向けとして製作された製品だと推測される。 肥前磁器は、朝鮮開港前の1770年代以前から進上物・贈与・礼物として朝鮮に伝わった。開港する前、貿易品として朝鮮へ輸出した磁器の場合、1770年代には肥前で製作したものを対馬藩が買い込んで輸出していたが、1780年代初めからは対馬が直接生産して朝鮮へ輸出した。この過程で、日本磁器は高級進上物から一般の人々を対象とする輸出品中心へ方向を大きく転じるよになった。これを確認するため、当時の日本磁器の流通状況がうかがえる記録を検討した。それにより、対馬で立龜窯と志賀窯などの窯を開始し磁器を生産・輸出していたこと、開港前の対日貿易状況から朝鮮への磁器輸出が対馬の財政にある程度の利益をもたらしていた貿易品目だったことが確認できた。さらに、朝鮮で製作された栗文染付と比較するため、日本の栗文白磁の文様も詳細に分析した。 朝鮮向けの意匠で飾られた栗文白磁は、19世紀には広州の分院里の官窯で生産された。栗文様は、かつて朝鮮では白磁に使われたことのない新たな文様であるため、日本から伝わった栗文白磁が影響を与えたといえよう。朝鮮後期の栗文染付の様子や特徴を具体的に把握するため、器形および文様が確認できる伝世品を他の文様との組み合わせによって分類し、対象品の特徴と種類を分析した。その結果、栗文様は朝鮮後期の栗文染付のうち、碗、杯、蓋、瓶、鉢、蓋物、壺、大皿、皿など様々な器種に描かれたことを確認し、皿類が大多数を占めていた。日本で先行して製作された栗文白磁の文様要素を採用したとされる文様を朝鮮の様式へと変容した程度によって三つのタイプに分けてみた結果、タイプごとに文様の様式は分解および結合しながら日本の栗文白磁にはみられない朝鮮ならではの様式として展開していたことが確認できた。加えて、日本の栗文白磁との比較から様式的に共通する点を確認し、これによって日本磁器は朝鮮後期の栗文染付にいかなる影響を及ぼしていたのか具体的に把握できた。 とりわけ、栗文染付に描かれた文様の様子を器種ごとに調べてみたところ、皿をはじめとした鉢、杯、小鉢(甫)のようなパンサンギと立壺のような特殊器種に描かれた文様の図柄が異なることを確認した。これは消費者層によって海外から伝来した文様を受け入れる方法が異なっていたからだと思われる。すなわち、 日本の栗文様をそのまま取り入れたパンサンギとは違い、王室の需要にあわせて製作したと想定される特殊器種は王室に好まれていた文様を取り込み、より朝鮮化した吉祥文様を採用したのは海外からの文様に対する王室の保守的な考え方に関係あるといえよう。 最後に、消費地で出土した日本の栗文白磁の層位と文様の様子を検討し、19世紀~20世紀前半に日本で生産された朝鮮向け栗文白磁の意匠が大きく変化することなく持続的に使われ、多数消費されていたこともわかった。日本の栗文白磁は地方の役所と一般の人々を対象に幅広く消費されたと考えられ、19世紀初期のドンレ(釜山)とその周辺の日本磁器の流通状況がわかるいくつかの記録から、開港する前の日本磁器の流通状況を調べた。それとともに、開港後、日本に国内陶磁器市場を蚕食されていった朝鮮の窯業状況を調べることで19世紀~20世紀前半の日本栗文磁器の消費について考察した。 さらに、20世紀前半に製作された印刷物と絵画にあらわれる栗の図柄から、朝鮮後期に絵画に登場する栗の図柄は近代に入っては日本から伝来した栗の図柄に代替され、持続的に浸透していったこともわかった。 以上の分析や検討から、朝鮮後期に製作された栗文染付の意義は次のようになる。第一に、日本陶磁は開港する前には伝来しており、朝鮮後期の白磁に取り入れられたということを裏付ける代表的な例である。本論稿は栗文白磁と日本の遺物をともに分析することでこれまで日本と朝鮮の間にあると推定されてきた影響関係を明らかにすることができた。第二に、栗文染付を器種別に文様の様子を把握し、消費者層によって海外から伝来した文様の取り入れ方が異なっていたことを示した。これにより、日本から伝来した栗文様が朝鮮国内の嗜好と好みを反映しながら独自製作・使用されたことが確認できた。第三に、陶磁器の文様として日本から伝来した栗文様が20世紀前半には陶磁器だけでなく絵画にも広く使われていたことを確認することで、工芸や絵画という視覚文化の領域に対して新たな美術史的意義を示した。つまり、朝鮮後期の栗文染付は磁器の文様が共有されていたことを裏付ける具体的な手がかりであり、韓日両国間で様式が伝来および再生産した過程を確認できる資料として重要な意義を持つ。;본고의 주제인 조선 후기 율문 청화백자는 세알의 밤이 있는 밤송이를 표현한 三栗文의 소재를 청화안료로 장식한 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밤 문양은 조선 후기에 갑작스럽게 등장하여 일본과의 영향관계에서 이해되고 있는데, 그 중 유럽에 수출된 일본 율문자기에서 그 양식적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조선 후기에 율문 청화백자의 직접적인 제작배경으로는 일본이 18세기 전반부터 히젠과 대마도 지역에서 조선 수출용으로 생산한 율문자기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조선 수출용 율문자기란 ‘壽·福’자와 밤나무 문양이 결합된 양식의 자기를 말하는데, 일본인 학자 미가미 츠기오(三上次男)은 이러한 율문과 수복문자의 조합을 조선계(朝鮮系)로 표현한 바 있다. 이것은 일본 내 소비지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일본 생산지와 조선 소비지에서 발견되는 조선 수출용 의장이다. 이처럼 수복문자와 율문이 결합된 문양을 장식한 일본 자기들은 19세기 조선에서 제작된 율문청화백자와 동일한 시문구도 및 문양 요소들이 나타나 조·일 교류와 그 영향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로 주목된다. 본고는 조선후기 율문 청화백자와 일본 율문자기와의 영향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조선수출용 율문자기의 현황과 조형을 분석함으로써 조선 후기 율문 청화백자의 제작 배경과 양식적 특징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일본의 자기에서 율문(栗文)이 언제부터 등장하였는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현재 전하는 율문 자기 중 가장 이른 시기는 1600년대로 확인된다. 이 시기의 율문은 밤송이가 벌어져 두 개의 밤알이 드러나며 나뭇가지가 이를 아래에서부터 받치며 위로 뻗어나가는 모습이 도안화된 것으로, 아리타를 포함한 히젠 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아리타는 1610년대에 최초로 자기 소성에 성공한 이후 일본 내 자기 생산과 발전을 이끌었던 지역으로, 1757년 공식적으로 자기 수출이 끊기기 전까지의 해외 수출시기에 수출용 자기의 대량생산이 이루어졌다. 현재까지 일본에서 발견된 이 시기의 율문자기는 대부분 히젠 지역에서 수출을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자기의 각 시기별 유입 과정은 조선시대 대일외교의 변화와 함께 변화하는데 17세기 후반에는 진상·증여·예물의 형태로 국내에 유입되었으며 18세기 중후반에 본격적인 조선 수출로 이어졌다. 일본자기는 1770년대에 히젠 지역에서 생산된 것을 대마번이 매입하여 수출하다가 1780년대 초부터는 대마번에서도 직접 자기를 제작하여 조선에 수출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과정에서 고급 진상품이었던 일본자기의 선호 층이 확대되면서 국내 유통망에 자연스럽게 합류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17~18세기 조일 무역관계 관련 기록을 검토하여 개항 이전의 일본 자기 유통상황을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대마도에서 다테카메가마(立龜窯)와 시카가마(志賀窯)등의 가마를 만들어 직접 자기를 생산 및 수출하였던 사실과 개항 전 대일무역 상황을 종합하여 조선으로의 도자기 수출이 대마도 재정에 일정 부분 이익을 가져다주는 무역 품목임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리타와 대마도 지역 출토품을 통해 조선수출용 자기의 제작 상황을 살펴본 결과 이들 출토품 중 모두 수복문자가 결합된 조선수출용 양식으로 율문이 상당부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의장의 율문 자기는 대마도 가마터에서 비교적 많은 수량이 발견되고 국내 소비지에서도 확인된다. 출토품들의 문양을 세밀하게 분석한 결과 조선수출용 율문자기는 壽·福자를 필사하였다는 특징 외에도 유럽 수출용으로 제작한 율문자기와 다르게 절지된 나뭇가지 대신 지면에서부터 나무를 표현하고 초화를 함께 구성한 도안화된 양식을 지녔다는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양 요소를 기준으로 조선후기 율문 청화백자의 조형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조선후기 율문 청화백자에서 두드러지는 양식적 특징은 일본의 조선수출용 율문자기의 도안을 그대로 차용한 양식과 19세기 청화백자에서 나타나는 화조문 요소와 결합한 조선화된 양식으로 구분된다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기형 및 문양을 확인할 수 있는 전세유물을 대상으로 시문된 기종과 문양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선후기의 청화백자 중 율문은 접시, 완, 잔, 병 등 다양한 기종에 시문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양은 일본에서 선행하여 제작된 율문자기의 문양 요소를 차용한 것에서 조선만의 양식으로 변형된 정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각 유형에 따라 문양의 양식이 해체 및 결합되며 일본 율문자기에서는 볼 수 없는 조선만의 양식으로 전개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특히, 율문 청화백자의 기종에 따른 시문양상을 살펴본 결과 완, 접시, 잔과 같은 반상기와 호와 같은 특수기에 시문되는 문양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소비층에 따라 외래 문양이 다르게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왕실의 수요에 의해 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특수기종들이 일본의 율문 양식을 그대로 수용한 반상기와 다르게 기존에 왕실이 선호하였던 문양들과 결합하고 조선화된 길상문 양식을 차용한 것은 외래 문양에 대한 왕실의 보수성과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국내 소비지 출토품과 회화 및 각종 인쇄물에 나타난 밤 도상을 통해 19세기~20세기 전반의 조선 율문 청화백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율문 청화백자는 1925년을 하한년대로 갖는 동대문 운동장에서 출토된 바 있으며, 조선고적도보 등에도 나타나 조선후기 청화백자 양식의 한 예로서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시기의 국내 소비지 출토유물들 중 일본에서 제작된 자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에 주목해 보다 다각적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율문 자기들이 서울과 경상 지역의 관청과 인근 거주하는 일반인 중심으로 소비되었음을 파악하였고, 기록을 통해 19세기 초엽의 동래와 그 인근 지역에 일본자기가 상당량 유통되었던 상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개항 이후 일본에 의해 국내 도자기 시장이 잠식되어 갔던 요업 상황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19세기~20세기 전반의 일본 율문자기 소비에 대해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20세기 전반에 제작된 인쇄물과 회화에 나타난 밤 도상을 살펴봄으로써 조선후기에 회화에 등장한 밤 도상이 근대에는 일본에서 유입된 밤 도상으로 대체되고 지속적으로 유포되는 상황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과 검토 내용을 통해 파악된 조선후기 율문 청화백자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율문은 개항 보다 더 이른 시기에 일본자기가 유입되고 조선후기 청화백자에 수용된 사실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본 논문은 그간 일본과 조선과의 막연한 영향관계가 추정되어온 것을 율문 청화백자라는 대상유물과 일본 유물을 아우른 분석을 통해 영향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혀냈다. 둘째, 율문 청화백자의 기종별 시문 양상을 파악하여 소비층에 따라 외래문양의 수용 방식이 달랐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본에서 유입된 율문이 조선 내부의 기호와 취향을 반영하며 독자적으로 제작·사용됐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도자기의 문양을 통해 일본에서 유입된 율문이 20세기 전반에 도자기뿐만 아니라 회화에도 공유된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공예와 회화라는 시각문화 영역에 새로운 미술사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즉, 조선후기 율문 청화백자는 자기 간의 문양공유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단서이며, 한·일간의 양식 전파 및 재생산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