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6 Download: 0

한국 아방가르드 협회(AG)의 작업에 나타난 비판의식

Title
한국 아방가르드 협회(AG)의 작업에 나타난 비판의식
Other Titles
The Critical Consciousness Expressed in the works by Korea Avant-Garde Association
Authors
이소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은 1960년대 한국의 미술운동 그룹‘한국 아방가르드 협회’ (이하 AG로 통칭, 1969~1975)의 비판의식이 구현되는 양상을 살펴본 연구이다. AG가 등장한 1960년대 말 한국 사회는 매우 혼란스럽고 다변적인 시기를 지나고 있었다. 국민국가 형성과 산업화 과정에서 민주주의와 민족주의, 반공주의 등의 가치들이 복잡하게 충돌하고 교차하며 역동적인 변화를 거듭한 것이다. 반면 미술계는 추상미술을 중심으로 한 형식주의적 실험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는 당대의 다변적인 사회상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AG는 이러한 기존 미술계의 한계를 인지하면서 그룹이 속한 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반응의 한 양태로서 동시대 사회적 현실을 반영한 미술을 추구하였다. 이들은 기하학적 추상회화에서 콜라주, 오브제, 설치, 팝아트, 대지미술, 퍼포먼스, 이벤트에 이르기까지 매체와 장르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작업을 통해 동시대 현실을 미술에 반영하고 그 문제의식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이러한 AG 작업의 다원적 국면은 이 그룹이 미술내부의 형식실험에 국한된 것으로 해석하는 근거로서 작용하였다. 지금까지 이 그룹에 대한 연구는 외형적 분류방식에 의한 연대기적 서술에 그치곤 하였으며, 특히 이 그룹의 작업이 미술 내부를 비판한 기하추상과, 제도와 사회현실을 비판한 탈회화적 경향을 동시다발적으로 전개하는 독특한 국면을 드러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분석 역시 불충분하게 이루어졌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AG의 작업을 당대 정치·경제·문화적 문맥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이들의 전작업에 당대 현실 전반에 대한 비판의식이 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이들은 앵포르멜로 대표되는 형식주의 모더니즘 미술에 반해 과거 추상미술이 허용하지 않았던 콜라주, 설치 등의 다양한 장르들을 도입하여 기하학적 형태와 구조를 탐구하였다. 또 이러한 실험을 산업화 가치관과 전통담론이 서로 상충하던 당대의 독특한 문화지정학적 현실을 드러내는 시각기호로서 활용하며 심화시켰다. 또한 이들은 서구의 형식주의 모더니즘 미술개념을 무분별하게 수용하던 미술계 현황을 비판하며 비물질적 요소, 프로세스, 열린 구조로서의 작품 개념 등 모더니즘의 순수성을 거스르는 새로운 예술 개념들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그 자체로 당대 사회의 규범에 도전하는 대항문화(counter-culture)의 가치관을 실천한 것이었다. 나아가 이들은 당대 사회적 구조에 내재된 억압의 기전들을 투영함으로써 대중들에게 현실을 재인식시키고, 예술의 사회적 발언이라는 현대미술의 과제를 실천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AG의 다양한 작업을 비판의식으로 통괄하여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그룹활동의 다원적 경향을 보다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실마리를 얻었으며, 이들이 비판한 대상이 미술 내부의 문제에서 제도와 사회로 점차 확장되며 전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하학적 추상미술과 탈회화적 경향이라는, 형식주의자들에게 상호배타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온 방법들이 한 그룹 안에 공존하게 된 배경을 마련하고, 결과적으로 그룹활동을 앵포르멜과 단색화 사이의 과도기적 시도로서가 아니라 독자적인 영역으로 정립할 수 있는 독특한 국면을 지닌 것으로 재인식시키고자 했다. 즉 AG의 활동은 순수한 형식실험이었다기보다 미술과 삶의 경계를 넘나들며 미술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동시대 한국의 사회적 맥락을 미술에 반영하고자 한, 그런 의미에서 ‘한국적’ 전위의식의 산물이었던 것이다. 이처럼 사회적 맥락을 미술 안으로 끌어들인 AG의 활동은 회화를 중심으로 기술되어 온 한국현대미술사에 폭과 깊이를 더한 선례로서 그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ressions of critical consciousness by Korea Avant-Garde Association (hereafter AG, 1969 ~ 1975) in the 1960s. In the late 1960s when AG was organized, the Korean society experienced historical transitions and confusions. In the process of national state form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complex conflicts and interactions among ideologies such as democracy, nationalism, anti-communism, resulted in dynamic social upheavals. Meanwhile, the formalist experiments centered on abstract art was the mainstream of the art world at that time, failing to reflect the dynamic society of the time. Recognizing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art world, AG pursued art reflecting contemporary social reality as a mode of active responses to the society. Their works, which freely crossed the boundaries of media and genres, such as geometric abstract paintings, collages, objects, installations, films, earth arts, performances and events, aimed to reflect contemporary reality in art and expressed their critical consciousness. However, in the existing studies, the multiplicity of the AG works served as a basis for the interpretation that the group was confined to formalistic experiments within art. The existing studies on AG have been confined to chronological descriptions according to external classification, and in particular, analysis on the unique works of the group that simultaneously developed geometric abstraction that criticized the art world and the de-painting tendency that criticized social reality has been insufficient. In this regard, to fill the gap in the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d AG's works with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time and discussed their critical consciousness embedded in their entire works. First of all, in opposition to modernism art represented by Inforamel, AG introduced various genres such as collage and installation which were not allowed by the existing abstract art, and explored geometrical forms and structures. It was used as a visual symbol to reveal the unique cultural and geopolitical circumstances of the contemporary era when industrial values ​​and traditional discourse conflicted each other. They also criticized the contemporary art world that had accepted the Western formalistic modernist art concepts indiscriminately and proposed new art concepts that opposed modernism's purity, including immaterial elements, processes, and the idea of works as open structures. This was to realize the counter-culture values ​​that challenged the norm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Furthermore, they projected the mechanisms of oppression inherent i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time, thereby encouraging the public to re-recognize the reality to the public and practicing the task of contemporary art, the making of social remarks. As explained above,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various works by AG under the theme of critical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the clues to understand the multiplicity of the group activities in a more holistic manner were acquired,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objects of their criticism were gradually extended from the issues in the art world to the system and the society. The study laid a basis in which geometrical abstract art and de-painting tendency, the methods regarded as mutually exclusive to formalists, coexisted in a group and reconsidered the group activities as unique artworks that could be established independently not as a transitional trial between Inforamel and the Korean Monochrome painting. In the sense of expanding the scope of art across the boundaries of art and life and reflecting the social context of contemporary Korea in art, the activities of AG were the products of the 'Korean' Avant-Garde consciousness rather than the pure formalistic experiments. The AG activities, which brought the social context into art, are significant as a precedent that adds breadth and depth to the contemporary art history of Korea, which had been centered on pain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