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0 Download: 0

차압(appropriation) 개념을 중심으로 본 이브 클랭(Yves Klein)의 조형적 태도

Title
차압(appropriation) 개념을 중심으로 본 이브 클랭(Yves Klein)의 조형적 태도
Other Titles
Yves Klein’s Formative Style Focusing on the Concept of Appropriation
Authors
류경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이브 클랭(Yves Klein)의 작품에 나타난 조형적 태도를 차압(appropriation)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프랑스의 누보 레알리즘(Nouveau Réalisme) 작가 중 한 명이었던 클랭은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던 1950년대 중반부터 삶을 이루는 본질적 가치에 대하여 탐구하였고, 이를 예술과 통합하고자 시도하는 과정에서 차압의 조형적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클랭의 작업을 차압의 미학이 적용된 것으로 보고, 그가 차압이라는 행위를 통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리얼리티를 구현하는지 주목하였다. 클랭이 활동하던 시기의 미술계에서는 급격한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표현방식으로서 새로운 조형언어를 필요로 하였다. 그중 누보 레알리스트들은 차압이라는 방식을 채택하여 자신들이 속한 사회와 주변 환경에 대하여 증언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러한 차압은 사회적 메시지와 순수한 조형성을 조화롭게 포괄하는 태도였다. 외부적 리얼리티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다른 누보 레알리스트들과 달리, 클랭은 현실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의 본질을 예술로써 담아내기를 시도하였으며, 일찍이 차압 개념에 입각하여 비물질적인 요소들을 조형화하는 독자적인 작업들을 전개하였다. 클랭은 짧은 활동 기간 중 다양한 방식의 작업들을 실험하며 발전시켜 나갔는데, 다채로운 시도 속에서도 일관적으로 삶의 한순간들을 포획하고 있었다. 그의 대표작인 ‘모노크롬(Monochromes)’ 작업에서는 과거의 전통적 예술 관념에 도전하기 위한 방법으로 모든 구성을 제거한 순수한 단색만을 사용하였다. 단일한 색면은 비물질적 에너지를 침투하여 확산시키는 매개체가 되는 것이었다. 또한 깊은 색채와 미세한 질감의 차이는 추상회화와 유사한 조형감각을 보여준다. 이어 그는 ‘인체측정(Anthrophométries)’ 작업에서 모델의 몸을 살아 있는 붓으로 사용하였다. 그는 모델이라는 대상을 단순히 관찰하여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의 즉각적인 자취를 남기는 방식으로 인간의 생명력을 궁극적으로 포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인체 형상은 보다 풍부한 조형성을 창출하게 되었다. 나아가 그는 ‘우주계측(Cosmogonies)’과 ‘불의 회화(Peintures de Feu)’ 작업에서는 물, 불, 공기, 흙 등의 4원소를 통하여 자연의 순간적 상태의 흔적을 작품에 정착시켰다. 이 과정에서 인간을 둘러싼 환경이 더욱 직접적인 방식으로 표출되었다. 동시에 그는 여러 시각적 장치를 첨가하고 결합하여 조형적 효과 또한 부각시켰다. 마지막으로 전시와 출판물 형태의 작업을 통하여 그는 실체가 없는 시공간을 작업으로 끌어들이며 개념적인 요소까지 차압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눈에 보이지 않는 현실을 상정하여 그 이면의 관념적인 영역까지 포착하고자 하였던 그는 비물질적이고 비가시적인 것을 차압하는 방식의 정점에 이르게 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클랭의 전 작업의 기저에 차압이라는 원리가 자리하고 있었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예술적 가능성으로서의 차압 방식이 그의 작업에서 효과적이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차압의 원리는 궁극적인 현실을 포획하기에 적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클랭이 자신의 총체적인 예술세계를 구현할 수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클랭 작업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차압 개념을 통하여 확장시키며, 클랭의 시도가 새로운 시대에 대한 대안이자 가능성이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당대의 진정한 리얼리스트였던 클랭의 미술사적 위치를 재고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This study aims to explore Yves Klein’s formative style focusing on the concept of appropriation. Klein, one of the French Nouveau Réalists, searched for the intrinsic values of life since the mid-1950s when he began his career as an artist in earnest, and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m with art, he found the formative possibility of appropriation. Shedding light on the application of the aesthetics of appropriation to Klein's works, this study discussed how he implemented his own unique reality through appropriation in his works. The art world at the time of Klein needed anew formative language as a way of expressions to respond rapid social changes. By adopting the appropriation method, Nouveau Réalists were able to testify about the society and systems; appropriation was a harmonious inclusion of social message and pure formality. Unlike other Nouveau Réalists who showed external reality as they were, Klein tried to express the essence of all phenomena in the real world as art, and developed his own artworks to formulate immaterial elements in a basis of the initial concept of appropriation. Klein experimented and advanced a variety of works during his short period of career, and consistently captured moments of life in these various attempts. His representative works, Monochromes, used only pure monochromes without any composition as a means to challenge the traditional notion of art. A single colored plane became a medium that penetrated and spread immaterial energy. Also, the differences in deep colors and fine textures showed a sense of molding similar to abstract paintings. Afterwards, in Anthrophométries, he used a model’s body as a living brush. Instead of simply observing and representing an object called a model, he wanted to ultimately capture human vitality by leaving its immediate trace. Such human shape created richer formability. Furthermore, in Cosmogonies and Peintures de Feu, he had the traces of nature settled in his works through four elements. In this process, the environment surrounding human beings was expressed more directly. At the same time, he added several visual techniques and combined them to highlight the formative effects. Finally, in exhibition and publications, he succeeded in appropriating the conceptual elements by bringing intangible time and space into his artworks. Aiming to conceive an invisible reality and to capture the conceptual realm behind it, he reached the highest point of appropriation of immaterial and invisible objects. This study identified the principle of appropriation at the basis of Klein's entire works and confirmed that the appropriation method as an artistic possibility was appropriate in his works. The principle of appropriation was suited to capture the ultimate reality, which enabled Klein to embody his overall artistic world. Therefore, this study extended the existing discussions about Klein’s works based on the concept of appropriation, and found that Klein's attempt was an alternative and possibility for a new a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Klein's art historical position, which was a true realist of the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