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79 Download: 0

조지 시걸(George Segal) 조각에 나타난 인간 존재에 대한 성찰

Title
조지 시걸(George Segal) 조각에 나타난 인간 존재에 대한 성찰
Other Titles
A Reflection on Human Existence as Manifested in the Sculptures of George Segal
Authors
김소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조지 시걸(George Segal, 1924-2000)의 조각에 나타난 인간 존재에 대한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1960년대부터 조각가로서 활동하기 시작한 시걸은 버려진 물건이나 가구와 같은 오브제를 이용하여 미술관 내에 특정한 공간을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그는 실물주조 방식으로 제작한 인체조각을 그가 구축한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동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시걸은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관람객들로 하여금 미술관이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평소 쉽게 지나친 삶의 장면을 마주하게 함으로써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맥에서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 나아가 인간의 본질적인 존재에 대해 숙고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시걸의 조각에 대한 기존 연구는 일상 오브제의 사용, 이를 이용한 연극적 공간의 연출과 같은 형식적 특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그의 작품에 함축된 인간 존재의 의미를 다룬 학술적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논문은 시걸의 조각이 내포하는 인간 존재에 대한 의미가 그의 작업 방식을 통해 드러나고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간의 존재론적 문제를 작품의 주제로 다룬 미술경향들과 1960년대 미국 미술계의 흐름, 그리고 시걸의 개인적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인간에 대한 시걸의 관심이 형성된 배경과 그와 같은 관심이 구체적인 조형 방식의 발견으로 이어지게 된 배경에 대해 알아보았다. 나아가 그의 작업 방식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시걸의 작품이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어온 인간 존재에 대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조지 시걸이 활동하기 시작한 1960년대는 당시 미술계를 주도하고 있었던 추상표현주의에 대항하는 새로운 경향의 미술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던 시기였다. 시걸은 오브제를 결합한 앗상블라주 작품을 제작하거나, 해프닝에 참여하는 등 새로운 미술계의 흐름에 동참하면서 형식주의 모더니즘 미학에서 배제되어온 인간의 존재를 작품에 회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걸의 태도는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시각화한 미술가들로부터 영향 받은 것으로, 그는 이와 같은 예술적 태도를 바탕으로 인간에 대한 조형적 탐구를 이어나갔다. 이와 더불어 시걸은 그가 유대인으로서 지켜봐야했던 친족들의 죽음과 전쟁의 참상, 대공황이라는 사회적 상황, 그리고 가난한 이주민이라는 가정환경과 노동자 계층으로서 겪었던 고충과 같은 개인적 경험들을 바탕으로 인간에 대한 관심을 형성해나갔다. 먼저 인간에 대한 시걸의 성찰은 실제 인체를 그대로 떠내는 실물주조 방식을 통해 현실적인 인간의 물리적 존재감을 포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석고 붕대로 이용하여 몸을 떠낸 틀을 그대로 봉합함으로써 현실에 존재하는 인간의 모습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시걸은 실물주조 인체조각을 오브제들과 구조물로 구축한 공간에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현대사회라는 구체적인 맥락에 위치시켰다. 특히 그의 작품에서 소비사회의 속성을 지닌 오브제들은 일상의 장면을 재현하는데, 그는 오브제들과 인체조각의 배치를 통해 소비사회의 내러티브를 시각화함으로써 이와 같은 사회적 환경 가운데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고찰하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시걸은 역사적인 사건을 주제로 다루는 공공조각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도 인간을 중심에 두는 예술적 태도를 견지하였다. 그는 이를 위해 전통적인 기념비의 형식을 수용하는 대신, 실물주조 인체조각과 오브제를 함께 구성하는 일관된 작업 방식을 시행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시걸은 역사의 변곡점에서 인간이 마주한 가난이나 소외, 죽음과 같은 삶의 조건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정치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존재를 숙고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조지 시걸 작업의 궁극적인 목표가 단순히 일상의 장면을 제시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존재라는 보다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성찰에 이르도록 하는 것에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실물주조 방식과 오브제로 구축된 환경적 공간, 그리고 공공조각이라는 작업 방식이 그의 조각에 함축된 존재론적 의미를 구현하는 데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본 논문은 형식적인 측면에서 분석되어온 조지 시걸 작품의 미술사적 의미를 재조명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This dissertation addresses a study that contemplates on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explored by sculptures of George Segal (1924-2000). An active sculptor in the 1960s, Segal created a special space inside of an art gallery using objects such as abandoned commodities or furniture, illustrating a contemporary human life scene by installing life-size white plaster casts of human figures in the space he created. Using this method inside of a peculiar space like an art gallery, Segal made the audience to face a scene of everyday life that is of ten over looked so that they can ponder upon their own living form in various contexts of modern society and also on the quintessential existence of human beings. However, the existing academic research on Segal’s sculpture only focuses on the form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use of everyday objects and the presentation of the theatrical space using those objects, rather than on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implied in his art. The present study thus aims to ascertain that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connoted by Segal’s sculpture pervades his methods, and accordingly examines the context in which Segal’s interest in human was developed by focusing on artworks with tendencies concerning ontological problem of human, American artistic trend in the 1960s, and Segal’s personal experience. Furthermore, it analyzes Segal’s artistic method based on those contexts to see how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pervade his art that has been overlooked by existing research. In the 1960s when Segal was an active sculptor, new art tendencies were being actively ventured against the leading Abstract Expressionism. Segal joined the new trend of the art scene by creating assemblage or joining Happening, to restore the human existence in his art that had been excluded from aesthetics of Formalism and Modernism. Segal continued his formative study on human with his artistic attitude that has been influenced by other artists who studied the nature of human and visualized it in various ways. In addition, Segal continued to develop his interest in humanity through his personal experience such as witnessing his relatives’ death and the horrors of war as a Jew, social condition during the Great Depression, his family background as a poor immigrant and hardships of working class. Segal’s reflection on human was first demonstrated by capturing physical presence of realistic human through life-size white plaster casts of real human figures. Using bandages dipped in plaster and assembling the cast just as it is, he sought to materialize the human form that exists in real life. Furthermore, he positioned the life-size plaster casts of human figures in the concrete context of modern society by placing it within the space created with objects and structures. The objects with a characteristic of consumer society particularly reenact scenes of everyday life in his art, visualizing the narrative of consumer society through arrangement of objects and human sculptures and thus tempting the audience to reflect on life of human living in such social environments. Segal also maintained the artistic attitude centered on human even when creating a public sculpture based on a historical event. Instead of embracing traditional form of memorial monument, he executed the sculpture with his coherent arrangement of life-size plaster casts of human figures and objects. Segal focused on living conditions that human faces at inflection points in history, such as poverty, isolation, and death, thus promoting reflection on existence of humans living in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through this method. Through this discus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 ultimate goal of Segal’s art is not a mere representation of the scene of everyday life, but a reflection of more essential problem of human existence. It also confirms that his method of environmental space constructed by life-size casts of figures and objects, and a public sculpture is utilized to materialize the ontological meaning implied in his sculpture. In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sheds meaningful light on the art-historical meaning of Segal’s artworks that had been analyzed only from the formal aspect befo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