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4 Download: 0

성인 초기 청년들의 그릿과 정신적 안녕감

Title
성인 초기 청년들의 그릿과 정신적 안녕감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ental Well-Being of early adulthood youths :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Calling and Job-Seeking Stress
Authors
정지혜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Career decision is an important developmental task early adulthood youths have to achieve, however, in the current unemployment crisis, they are experiencing a troubled career developmental process. This leads to the formation of negative perceptions regarding their careers, high levels of job-seeking anxiety and stress, and threatens their state of well-being. Therefore, social concern is required, and there lies a great importance in identifying factors that can promote early adulthood youths’ low levels of well-being.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used ‘mental well-being’, a multifaceted term composed of emotional well-being(the evaluation of one’s experience of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the evaluation of one’s psychological functioning in many aspects of life), and social well-being(the evaluation of one’s functioning in the society and the society’s prosperity as well) to observe youths’ well-being in many aspects. In addition, this study studied grit, defined as perseverance and passion to achieve long-term goals, as a variable that could promote youths’career development and increase their well-being, and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grit each has on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Moreov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areer calling, the pursuit of personal and pro-social goals in one’s career, and job-seeking stress, experiencing anxiety and a sense of crisis due to employment issues, as the underlying mechanism behin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Self-reported online surveys were answered by 339 currently umemployed youth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2.0, to analyze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and with Mplus 7.0,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s of career calling and job-seeking stress between grit and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all variables except for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calling and job-seeking stress were significant. Secondly,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which career calling and job-seeking stres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showed that all direct paths except for the path from career calling to emotional well-being were significant. Thirdly, the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calling and job-seeking stress showe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calling between grit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were significant. In addition,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stress between grit and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were significant as well. In conclusion, grit does not only directly predict early adulthood youths’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but also directly predicts career calling and job-seeking stress. In addition, grit significantly predicts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through career calling, however, fails to significantly predict emotional well-being through career calling. Moreover, grit significantly predicts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through job-seeking stress. This study proved that early adulthood youths’ grit promotes various well-being indicators such as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In addition, the study identified the role of career calling and job-seeking stress as the underlying mechanism in promoting well-being levels of youths who have to achieve their career developmental tasks and recognized grit not only as a positive personality trait that precedes career calling, but also as a psychological resource that reduces job-seeking stress. This shows that for youths who are placed in an unstable developmental stage,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helps to achieve their well-being, and in the process, helps them go through an adaptive career development process. Therefore, for youths who have to set their future goals autonomously and prepare the foundations for their future, it is highly important that grit be developed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provided empirical data for this suggestion. ;성인 초기는 진로결정이라는 중대한 발달과업을 가지지만, 국내 청년들은 극심한 청년취업난 속에서 혼란스러운 진로발달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이는 진로에 대한 부정적인 사고와 취업에 대한 높은 불안 및 스트레스의 형성으로 이어지며, 청년들의 낮은 안녕감을 초래한다. 따라서 현대사회의 성인 초기 청년들의 낮은 안녕감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요구되며,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들의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청년들의 안녕감을 다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정서적 안녕감(긍정정서 경험과 전반적인 삶 만족도를 평가), 심리적 안녕감(개인의 심리적 기능성을 평가), 그리고 사회적 안녕감(개인이 속한 사회 안에서의 기능성과 사회의 유능성을 평가)으로 구성된 ‘정신적 안녕감’을 살펴보았다. 또한, 진로결정의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적응적인 진로발달을 돕고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장기적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나아가는 힘인 그릿(grit)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각각에 미치는 그릿의 독립적인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그릿과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일 안에서 개인적 및 사회적인 목적을 추구하는 직업의식인 진로소명과 취업관련 문제로 인한 불안과 위기감의 경험을 의미하는 취업스트레스가 기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미취업상태인 성인 초기 청년들 33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2.0을 사용하여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Mplus 7.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그릿과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진로소명과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소명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상관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 간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둘째, 그릿과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진로소명과 취업스트레스가 매개하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소명에서 정서적 안녕감으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모든 직접 경로가 유의미하였다. 셋째, 그릿과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진로소명과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 그릿과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진로소명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그릿과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성인 초기 청년들의 그릿은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을 직접적으로 예측할 뿐만 아니라 진로소명과 취업스트레스도 직접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릿은 진로소명을 통해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진로소명을 통해 정서적 안녕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나아가, 그릿은 취업스트레스를 통해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 초기 청년들의 그릿이 개인의 주관적인 행복감뿐만 아니라, 심리적 및 사회적인 기능성에 기반한 안녕감에도 다각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증명하였다. 또한, 진로발달과업을 성취해야 하는 청년들의 안녕감을 촉진할 수 있는 기저 기제로 일 안에서 열정과 목적을 추구하는 진로소명과 이들이 당면하고 있는 취업스트레스의 역할을 확인하여 이를 반영한 개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그릿이 진로소명을 선행하는 성격 특질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취업스트레스를 낮추는 심리적인 자원으로써 역할을 다 함을 규명하였다. 이는 모호하고 불안정한 발달단계에 놓인 청년들에게 미래지향적인 목표의 설정과 이를 달성하고자 끈기 있게 노력하는 그릿이 이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그 과정에서 청년들이 진로결정 과업을 좀 더 건강하고 적응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주체적으로 자신의 미래 목표를 설정하며 미래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성인초기 청년들에게 그릿의 발달과 고취의 필요성이 시사되며, 본 연구를 통해 이를 위한 실증적인 자료가 마련될 것이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