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2 Download: 0

생애 초기 애착외상과 경험회피의 관계

Title
생애 초기 애착외상과 경험회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Life Attachment Trauma and Experiential Avoidance :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Distress Tolerance
Authors
송승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불편한 내적 경험을 회피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을 포괄하는 개념인 경험회피(Experiential Avoidance)는 다양한 정신장애의 발병과 유지의 예측 요인으로 반복 검증되고 있다. 수많은 연구자들이 만성화 된 경험회피의 예측 요인들을 탐색해오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생애 초기 애착외상 경험에 주목하여 경험회피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둘 간의 관계에서 부정정서를 내적으로 강렬히 경험하는 정도를 지칭하는 부정정서강도와 심리적 고통을 견뎌내는 내적 역량을 의미하는 고통감내력이 기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9~29세에 해당하는 전국 성인남녀 63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분석과 부트스트래핑 기반 유의성 검정을 통하여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성차를 통제하고 애착외상 경험의 심각도에 따라 부정정서강도, 고통감내력 그리고 경험회피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MIMIC 모형을 통한 잠재평균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 초기 애착외상과 경험회피 간의 관계에서 부정정서강도와 고통감내력이 매개하는 연구 모형을 설정한 후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정정서강도에서 경험회피로 이어지는 경로를 제외한 모든 직접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애 초기 애착외상과 경험회피 간의 관계에서 부정정서강도와 고통감내력의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 애착외상과 경험회피 간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단순매개효과, 부정정서강도와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정정서강도의 단순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외상 경험 수준에 따라 경험회피, 부정정서강도, 그리고 고통감내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혼입변인을 통제한 잠재평균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어릴 적 애착외상 경험이 빈번했을수록 경험회피와 부정정서강도 수준은 높고, 고통감내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생애 초기 애착외상 경험은 이후 높은 경험회피 수준을 직접적으로 예측할 뿐만 아니라 부정정서강도를 높이고 이를 감내하는 능력을 저해함으로써 불편한 내적 경험에 대한 회피 경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착외상 경험은 부정정서강도를 증폭시키지만, 강렬한 부정정서 경험이 즉각적인 회피 행위로 이어지지 않고 부정정서를 버텨내는 역량을 취약하게 만듦으로써 개인의 회피 경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애착외상 경험이 빈번할수록 부정정서는 더욱 강렬히 경험되고, 이를 감내해 내는 능력은 감소하며, 경험회피 수준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애착외상 경험이 누적됨에 따라 변인 간 수준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높은 경험회피 수준을 나타내는 집단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높은 경험회피 경향성의 원거리 예측 변인으로서 아동기 학대나 방임뿐만 아니라 양육자-자녀 간의 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외상적 스트레스원의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존재하는 기제 변인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만성적인 회피 성향을 다루는 데 있어 일차적으로 부정정서를 견뎌내는 내적 역량을 길러줄 필요성이 시사되며, 동일 자극에도 부정정서를 더욱 강렬히 경험하는 애착외상 집단의 특수성과 외상 경험의 누적 정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면밀한 탐색과 적절한 개입을 통하여 애착외상 경험이 있는 집단의 건강한 발달 경로 촉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Experiential Avoidance, a concept that encompasses various attempts to avoid uncomfortable internal experience, has been repeatedly verified as a predictor of the onset and maintenance of various mental disorders. Given that numerous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predictors of chronic experiential avoidanc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life attachment trauma and experiential avoidance. Moreover,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ether negative affect intensity, which refers to the degree of intrinsic intense experience of negative affect, and distress tolerance, which is conceptualized as the internal competency to endure psychological distress, act as a mediator.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633 Korean adults aged 19 to 29.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 and mediating effects of each variable. Additionally,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distress 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attachment trauma experience, the latent mean difference test using a MIMIC model was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life attachment trauma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mediation of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distress tolerance showed the significance of all direct paths except the path from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to experiential avoidance. Second, the results from bootstrapping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 of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distress toleranc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life attachment trauma and experiential avoidance revealed the significance of the simple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and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and distress tolerance. However,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latent mean difference test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xperiential avoidance,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distress tolera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attachment trauma experience revealed that,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s early life attachment trauma was more frequent, the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negative affect intensity was higher and distress tolerance was lower. Taken together, it was found that the early life attachment trauma experience did not only directly predict the high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but also Early life attachment experience in trauma not only directly predicts a high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but also increased the tendency to avoid uncomfortable instinct experience by enhancing the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hindering the endurance ability. Furthermore, although the attachment trauma experience magnified the negative affect intensity, the intense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did not lead to instant avoidance behaviors and deteriorated the endurance ability against the negative emotions so that it increased the individual tendency of avoidance. In addition, frequent attachment trauma was associated with more intense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reduced ability to tolerate, and increase in experiential avoidance; it was found that level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occurred, as the experience of attachment trauma were accumulated. This study aimed to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group with high experiential avoidance tendency. It confirmed the influence of various traumatic stress which can occur in the caregiver-child relationship as well as childhood abuse or neglect as a distance predictive variable of the high experiential avoidance tendency and verified the effects of the underlying mechanism in the proces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nurturing internal competence to endure negative emotions in dealing with the chronic avoidance tendency is required.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attachment trauma group and cumulative traumatic experience is also need. Close explorations and appropriate intervention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moting the healthy development path of the group with attachment traum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