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설경옥-
dc.contributor.author박민경-
dc.creator박민경-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0:35Z-
dc.date.available2019-08-13T16:30:35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6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66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0487-
dc.description.abstract자신이 경험한 긍정적 사건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면서 부가적인 심리적 이점을 얻는 행위인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는 개인의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 연구는 한국의 대학생이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를 망설이게 되는 심리적 과정을 관계적 차원에서 밝히고,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에 대한 상대방의 반응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Choi 등(2018)의 연구에서 한국인이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를 망설이게 하는 변인으로 언급한 ‘관계적 우려’를 공적 자의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타인의 반응 예상의 세 가지 변인으로 구체화하여, 공적 자의식이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 시도의 감소로 이어지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공적 자의식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타인의 반응 예상을 매개로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 시도를 예측하는지 검정하였다. 연구 2에서는 긍정적 사건을 공유하는 화자와 청자 간의 목표 유사성과 심리적 거리라는 두 상황적 요인을 설정하고, 각 차원의 조합을 통해 만들어진 4개의 상황에서 나타나는 청자의 정서, 화자에 대한 호감도 및 화자에게 보이고 싶은 반응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검정을 위해 연구 1에서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01명, 연구 2에서는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1의 분석결과 첫째, 공적 자의식이 높은 개인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타인의 부정적인 반응 예상의 순차적인 매개로 낮은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 시도를 보였다. 둘째, 공적 자의식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 시도로 이어지는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공적 자의식이 타인의 반응 예상을 매개로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로 이어지는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2의 분석결과는 첫째, 긍정적 사건을 공유하는 화자와 청자 간 목표가 유사할 때보다 대조적일 때, 청자의 부정정서는 더 낮았고, 화자에 대한 호감도는 더 높았으며, 긍정정서와 화자에게 보이고 싶은 반응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화자와 청자 간 심리적 거리가 멀 때보다 가까울 때, 청자의 긍정정서는 더 높았고 부정정서는 더 낮았으며, 화자에 대한 호감도는 더 높았고, 화자에게 보이고 싶은 반응은 더 긍정적이었다. 셋째, 목표의 유사성과 심리적 거리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개인에게 개인내적, 사회적 자원을 축적할 수 있게 해주는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가 한국사회에서 망설여지는 과정을 추론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긍정적 사건을 말하는 화자에 대한 청자의 대인평가가 목표의 유사성과 심리적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여,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가 적절한 상황에서 이루어진다면 상호작용하는 두 사람 모두에게 긍정정서를 넘어서는 긍정적인 경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의의를 지닌다.;Capitalization, which is how an individual can acquire additional psychological benefits when telling others about one’s positive experiences, while it is an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one’s well-being, individual differences may occur on the attempts of capitalization depending on personal or situational factors. This research aims to figure out the psychological process on why Koreans hesitate trying capitalization in term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how people may react differently to it depending on the situation. Study 1, based on Choi et al.(2018)’s research, viewed ‘relationship concerns’ as the reason why Koreans hesitate capitalization, thus it specifically broke the variable down to three; public self-consciousnes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nticipated response of the other person, looking at how public self-consciousness can lead to less attempts of capitalization. Specifically, it tested if public self-consciousness leads to attempts of capitalization while being mediated b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nticipated response of the other person. Study 2 assumed two situational factors, which are similarity of goals and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wo people who share a positive event, which were then combined into four different situations, allowing the researcher to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stener’s emotions, likability towards the speaker, and the response the listener wanted to express towards the speaker. For such purposes, Study 1 surveyed 301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ile study 2 surveyed 176 college students. Study 1 showed that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showed low levels of capitalization attempts wit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nticipating negative response as sequential mediators.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capitalization attempts was not significant.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anticipated response of others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capitalization attempts was not significant as well. Study 2 showed that when two people sharing a positive event did not share similar goals, the listener’s negative emotions where lower, the likability towards the speaker was higher,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ponse expressed towards the speaker. When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he two was closer, the listener’s positive emotions were higher, negative emotions were lower, the likability towards the speaker was higher, and the response expressed towards the speaker was more positive. Lastly, the interaction between similarity of goals and psychological distance was not significant. This research helps to provide basis on the process why capitalization is often hesitated in Korea, despite how it can help one accumulate intrapersonal and social resources. In addition, it showed that the listener’s relational evaluation on the speaker may shift depending on similarity of goals and psychological distance, implying how capitalization can be a positive experience beyond mere positive affections for both ends when it is done in the right situ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 4 B. 공적 자의식 9 1. 공적 자의식 9 2. 공적 자의식과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 12 C.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13 1.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13 2.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 15 3.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공적 자의식 16 D.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에 대한 예상되는 타인의 반응 18 1.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에 대한 지각된 타인의 반응 18 2.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에 대한 예상되는 타인의 반응 20 3. 예상되는 타인의 반응과 공적 자의식 21 4. 예상되는 타인의 반응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21 E.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와 목표의 유사성 및 심리적 거리 23 Ⅲ. 연구 1: 공적 자의식과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타인의 긍정적 반응 예상의 매개 효과 26 A. 연구 방법 27 1. 연구 참여자 27 2. 연구 절차 27 3. 측정 도구 28 4. 분석 방법 31 B. 연구 결과 32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2 2.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 시도, 공적 자의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예상되는 타인의 반응의 관계 34 C. 논의 41 1.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41 2.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 시도, 공적 자의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예상되는 타인의 반응의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 43 Ⅳ. 연구 2: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를 하는 화자와 청자의 유사성과 심리적 거리에 따른 청자의 정서, 호감도, 반응에서의 차이 검증 46 A. 연구 방법 47 1. 연구 참여자 47 2. 연구 절차 47 3. 측정 도구 50 4. 분석 방법 52 B. 연구 결과 53 1. 조작점검 및 기술통계 53 2. 목표 유사성과 심리적 거리에 따른 긍정정서 차이 검증 54 3. 목표 유사성과 심리적 거리에 따른 부정정서 차이 검증 55 4. 목표 유사성과 심리적 거리에 따른 호감도 차이 검증 56 5. 목표 유사성과 심리적 거리에 따른 긍정적 반응 차이 검증 57 C. 논의 58 Ⅴ. 결론 및 제언 62 A. 연구 결과 요약 및 종합 논의 62 B. 연구 의의 및 제언 64 참고문헌 69 부록1. 연구 1 설문지 83 부록2. 연구 2 시나리오 87 부록3. 연구 2 설문지 91 ABSTRACT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98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한국 대학생의 긍정적 사건의 자원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화자와 청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관계적 우려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apitalization in Korea : Based on perceived relationship concerns between two interacting individuals-
dc.creator.othernamePark, Minkyung-
dc.format.pagevii,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