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4 Download: 0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 탈중심화, 반추의 매개효과 검증

Title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 탈중심화, 반추의 매개효과 검증
Other Titles
Testing The Mediator Effect of Mindfulness, Decentering, Brooding on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Authors
나윤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마음챙김, 탈중심화,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청년실업의 악화로 취업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생들은 점점 더 많은 취업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심각한 취업스트레스는 우울을 경험할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대학생의 심리적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사이에 어떠한 심리적 기제가 있는지 살펴보고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따른 우울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26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질문과 취업스트레스, 마음챙김, 탈중심화, 반추, 우울을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Mplus 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2단계 접근법(Two-step approach: Anderson & Gerbing, 1988)에 따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차례로 검정하였고, 부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마음챙김, 탈중심화, 반추, 우울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 탈중심화, 반추를 매개로 하는 다중매개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하였고,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를 마음챙김, 탈중심화, 반추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음챙김과 반추는 각각 취업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으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이르는 매개경로에서 마음챙김과 탈중심화, 마음챙김과 반추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봤을 때,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증가하면 마음챙김과 탈중심화가 감소하여 반추가 증가하고 그 결과 우울이 증가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여 기존에 취업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마음챙김, 탈중심화, 반추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마음챙김, 탈중심화, 반추를 통해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으며 이에 따라 취업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대학생의 우울을 줄이기 위한 개입방법으로 마음챙김과 탈중심화를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반추를 감소시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이는 취업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대학생의 우울을 관리할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with depression, with mindfulness, decentering, and brooding as mediating variables. Currently, employment becomes difficult due to worsening youth unemployment. College students are experiencing more and more job-seeking stress. Severe job-seeking stress can threaten the psychologic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because i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depression. Therefore, this research wants to see if there is any psychological mechanism between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and to help manage the depression caused by the job-seeking stress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one has collected data from 326 college students for job-seeking stress, mindfulness, decentering, brooding, and depression, along with demographic informat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Mplus 7.0. In order to asses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ed sample,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correlation alanalysis to a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Next, a two-step approach(Anderson & Gerbing, 1988) was conducted to assess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sequentially, while the mediation effect was assed using bootstrapp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variable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mindfulness, decentering, brooding, and depression all have meaningful correlation with one-another.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the fitness of a multiple mediation model with mindfulness, decentering, and brooding turned out to be acceptable, while the mediation effect turned out to be partial. Also, while mindfulness and brooding respectably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e mediation path from job-seeking stress to depression was not affected by mindfulness and decentering, or with mindfulness and brooding. In conclusion, when college students are stressed over job-seeking, their level of mindfulness and decentering decreases while brooding increases, leading to increased depression.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discovered a specific mechan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while providing an original theoretical basis on mindfulness, decentering, and brooding in the relationship. Especially, it experientially proved how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directly affects depression, along with how it indirectly affects depression through mindfulness, decentering, and brooding, show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means to enhance mindfulness and decentering while reducing brooding as a way of intervention for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depression due to job-seeking stress. This research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psychotherapy and education to manage college students’ depression from job-seeking str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